『唯識』- 자증분(自證分)과 견분(見分)과 상분(相分)의 비유 (본문)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자증분(自證分)과 견분(見分)과 상분(相分)의 비유 (본문) 61-3-204 又 立況解自證分見相二分者. 且如自證分起見相二分 更執二分爲我法. 如結巾成免. 手巾是有 喩自證分. 結手巾爲免頭 手巾上本無免頭. 今結出之. 是故 名無. 如自證分.. [佛敎]/唯識講義 2012.01.05
『唯識』- 삼성(三性)은 성(性)과 상(相)이 걸림 없다 (강의)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삼성(三性)은 성(性)과 상(相)이 걸림 없다 (강의) 삼성(三性)은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 의타기성(依他起性), 원성실성(圓成實性)이죠. 이 삼성은 성과 상이 걸림이 없다, 이런 말이죠. 성품 성(性)자는 모양이나 색깔이 없는 것을 얘.. [佛敎]/唯識講義 2012.01.05
『唯識』- 삼성(三性)은 성(性)과 상(相)이 걸림 없다 (본문)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삼성(三性)은 성(性)과 상(相)이 걸림 없다 (본문) 60-5-203 是以三性無際 隨一全收 眞妄互融 性相無礙. 如來一代時敎 恆沙義門 密意 總在三性門中 眞俗本末 一時收盡. 以顯唯識正理 更無異轍. 以依他性是唯識體 從依他起分別 卽是遍計.. [佛敎]/唯識講義 2012.01.05
『唯識』- 삼성(三性)은 성(性)과 상(相)이 융통하다 (강의)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삼성(三性)은 성(性)과 상(相)이 융통하다 (강의) ‘성(性)’은 성품 성자를 얘기하고 ‘상(相)’은 모양 상을 얘기하는데 이 두 개는 반대적인 개념이에요. 상(相)은 모양과 색깔이 있지만 성(性)은 모양과 색깔이 없고 비어있는 걸 얘.. [佛敎]/唯識講義 2012.01.05
『唯識』- 삼성(三性)은 성(性)과 상(相)이 융통하다 (본문)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삼성(三性)은 성(性)과 상(相)이 융통하다 (본문) 60-1-202 問 夫此三性法 爲當是一是異. 若道是一 不合云 依圓是有 遍計是無. 若道是異 又云 皆同一性 所謂無性. 答 此三性法門 是諸佛密意所說. 諸識起處 敎網根由. 若卽之取之 皆落凡.. [佛敎]/唯識講義 2012.01.05
『唯識』- 의타기성(依他起性)은 멸(滅)할 수 있다 (강의)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의타기성(依他起性)은 멸滅)할 수 있다 (강의)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 의타기성(依他起性), 원성실성(圓成實性) 세 가지 얘기를 했는데, 의타기성은 말 그대로 타를 의지해서 일어나는 성품이죠. 그것은 없어질 수가 있다는 거예요. .. [佛敎]/唯識講義 2012.01.05
『唯識』- 의타기성(依他起性)은 멸(滅)할 수 있다 (본문)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의타기성(依他起性)은 멸(滅)할 수 있다 (본문) 59-8-201 問 依他起相 但是自心妄分別有. 理事雙寂 名體俱虛 云何有憂喜 所行境界. 答 譬如夜行 見杌爲鬼 疑繩作蛇. 蛇之與鬼 名體都無. 性相恆寂 雖不可得而生怖心 以體虛而成事故. 問 .. [佛敎]/唯識講義 2012.01.05
『唯識』-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과 의타기성(依他起性)과 원성실성(圓成實性) (강의 - 3)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과 의타기성(依他起性)과 원성실성(圓成實性) (강의 - 3) 『섭론』에서는 “비유하여 분별하는 성품은 뱀과 같고 의타기성은 등나무 끈과 같다. 만약 어떤 사람이 색향미촉(色香味觸)의 네 가지 경계를 인연하.. [佛敎]/唯識講義 2012.01.05
『唯識』-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과 의타기성(依他起性)과 원성실성(圓成實性) (강의 - 2)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과 의타기성(依他起性)과 원성실성(圓成實性) (강의 - 2) 묻습니다. 문 : 삼성 가운데에 몇 가지 법이 가법(假法)이고, 몇 가지 법이 실법(實法)입니까. ‘가법(假法)’은 가짜의 현상, ‘실법(實法)’은 실질적인.. [佛敎]/唯識講義 2012.01.05
『唯識』-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과 의타기성(依他起性)과 원성실성(圓成實性) (강의 - 1)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과 의타기성(依他起性)과 원성실성(圓成實性) (강의 - 1)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은 한문을 풀이해보면, 두루 헤아려서 집착하는 성품을 말합니다. 집착하기 전에 나타나는 게 상입니다. 눈에 보이는 우주만물.. [佛敎]/唯識講義 2012.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