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敎] 811

『 천수경 』 - 【천수경 강의】- 3. 얼마나 사랑하기에 - 천수천안 관자재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 계청 (5)

【천수경 강의】 3. 얼마나 사랑하기에 - 천수천안 관자재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 계청 (5) 千手千眼 觀自在菩薩 廣大圓滿 無碍大悲心 大陀羅尼 啓請 계속해서 이어지는 게송의 내용을 풀이해 보겠습니다. 세척진로원제해(洗滌塵勞願濟海) 초증보리방편문(超證菩提方便門) 아금칭송서귀..

[佛敎]/千手經 2011.10.17

『 천수경 』 - 【천수경 강의】- 3. 얼마나 사랑하기에 - 천수천안 관자재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 계청 (4)

【천수경 강의】 3. 얼마나 사랑하기에 - 천수천안 관자재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 계청 (4) 千手千眼 觀自在菩薩 廣大圓滿 無碍大悲心 大陀羅尼 啓請 계속해서 관세음보살의 공덕을 칭송하는 구체적인 게송의 내용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천룡중성동자호(天龍衆聖同慈護) 백천삼매돈..

[佛敎]/千手經 2011.10.17

『 천수경 』 - 【천수경 강의】- 3. 얼마나 사랑하기에 - 천수천안 관자재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 계청 (3)

【천수경 강의】 3. 얼마나 사랑하기에 - 천수천안 관자재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 계청 (3) 千手千眼 觀自在菩薩 廣大圓滿 無碍大悲心 大陀羅尼 啓請 계속해서 관세음보살의 공덕을 칭송하는 게송의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진실어중선밀어(眞實語中宣密語) 무위심내기비심(無爲心內起悲..

[佛敎]/千手經 2011.10.17

『 천수경 』 - 【천수경 강의】- 3. 얼마나 사랑하기에 - 천수천안 관자재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 계청 (2)

【천수경 강의】 3. 얼마나 사랑하기에 - 천수천안 관자재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 계청 (2) 千手千眼 觀自在菩薩 廣大圓滿 無碍大悲心 大陀羅尼 啓請 그러면 지금부터 관세음보살의 공덕을 칭송하는 구체적인 게송의 내용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계수관음대비주(稽首觀音大悲呪) 원력..

[佛敎]/千手經 2011.10.17

『 천수경 』 - 【천수경 강의】- 3. 얼마나 사랑하기에 - 천수천안 관자재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 계청 (1)

【천수경 강의】 3. 얼마나 사랑하기에 - 천수천안 관자재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 계청 (1) 千手千眼 觀自在菩薩 廣大圓滿 無碍大悲心 大陀羅尼 啓請 <천수천안 관자재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에 '경' 자를 붙인 것이 『천수경』의 구체적인 본래 이름입니다. 여기서부터 ..

[佛敎]/千手經 2011.10.17

『 천수경 』 - 【천수경 강의】- 2. 온 우주에 가득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 개법장진언(開法藏眞言)

【천수경 강의】 2. 온 우주에 가득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 개법장진언(開法藏眞言) <법장>은 법의 창고, 즉 법을 담고 있는 주체를 가리킵니다. <법장>은 법을 갈무리하고 있는 창고이니 결국 경전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래서 <개법당진언>은 일차적으로 경전을 펼치는 것을 이르는 ..

[佛敎]/千手經 2011.10.17

『 천수경 』 - 【천수경 강의】- 2. 온 우주에 가득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 개경게(開經偈)

【천수경 강의】 2. 온 우주에 가득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 개경게(開經偈) <개경게>라는 말은 경을 펼치기 전에 경을 찬미하는 내용을 담은 게송(偈頌)이라는 뜻입니다. 불교에서는 흔히 다섯 자, 일곱 자로 된 정형구를 시(詩)라는 용어 대신에 게(偈)라는 표현을 씁니다. 그러면 구체적인 게송..

[佛敎]/千手經 2011.10.17

『 천수경 』 - 【천수경 강의】- 2. 온 우주에 가득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 오방내외 안위제신진언

【천수경 강의】 2. 온 우주에 가득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 오방내외 안위제신진언(五方內外 安慰諸神眞言) 〈오방〉은 동서남북 사방과 중앙을 합하여〈오방〉이라고 합니다. 불교에서는 〈오방〉이외에도 팔방(八方), 시방(十方)등으로 공간 개념을 많이 표현하고 있습니다. 〈내외〉는 '안팎'이..

[佛敎]/千手經 2011.10.17

『 천수경 』 - 【천수경 강의】- 1. 행복하십시오, 행복하십시오. - 정구업진언 (3)

【천수경 강의】 1. 행복하십시오, 행복하십시오. -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 (3) 「수리 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3번) 『천수경』에서 맨 먼저 나오는, 입으로 지은 업을 깨끗이 하는 진언이 바로 〈수리 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입니다. 여기서 〈수리〉는 '길상존(吉祥尊)'이란 뜻입니다...

[佛敎]/千手經 2011.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