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암록(碧嚴錄)」 제 4칙 덕산도위산(德山到 潙山) - 덕산이 위산 화상을 참문하다 제 4칙 덕산도위산(德山到潙山) - 덕산이 위산 화상을 참문하다 <벽암록(碧巖錄)> 제4칙에서는 덕산선감(德山宣鑑)선사가 당대의 명승 위산영우(山靈祐)화상을 참문하여 불법의 지혜작용(禪機)으로 도전한 내용을 다음과 같이 싣고 있다. 덕산스님이 위산영우화상을 참문하여, 걸망을 짊어진 채로 .. [佛敎]/碧巖錄 2011.10.16
「벽암록(碧嚴錄)」 제 3칙 마대사불안(馬大師不安) - 마조화상의 병환 제 3칙 마대사불안(馬大師不安) - 마조화상의 병환 <벽암록(碧巖錄)> 제3칙의 이 공안은 <조당집> 제14권 마조화상전에 전하고 있는 유명한 선문답인데, 마조화상이 입적하기 얼마 전에 병환으로 고통 받고 있는 마조화상에게 원주가 건강을 여쭙는 인사말이다. 마조도일화상이 병환으로 몸이 .. [佛敎]/碧巖錄 2011.10.16
「벽암록(碧嚴錄)」 제 2칙 조주지도무난(趙州至道無難) - 지극한 불도는 어려움이 없다 제 2칙 조주지도무난(趙州至道無難) - 지극한 불도는 어려움이 없다 <벽암록(碧巖錄)>제2칙은 조주화상의 법문은 <신심명(信心銘)>의 일절을 인용하여 ‘지극한 불도는 조금도 어려움이 없다[至道無難]’는 내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선문답을 싣고 있다. 조주화상이 대중스님들에게 법문 하.. [佛敎]/碧巖錄 2011.10.16
「벽암록(碧嚴錄)」 제 1칙 달마확연무성(達磨廓然無聖) - 달마대사와 양무제 제 1칙 달마확연무성(達磨廓然無聖) - 달마대사와 양무제 <벽암록(碧巖錄)> 제1칙은 중국선종의 초조로 추앙받는 달마대사가 인도에서 중국에 건너와 처음 불법천자라고 하는 양(梁)의 무제(武帝)와 불법의 대의에 대한 대화를 다음과 같이 싣고 있다. 양무제가 달마대사에게 질문했다. “무엇이 .. [佛敎]/碧巖錄 2011.10.16
『唯識』- 일심(一心)을 벗어나지 못한다 (강의 - 1. 眞識, 現識, 分別事識)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일심(一心)을 벗어나지 못한다 (강의 - 1) 시작하기 전에 전 시간에 얘기했던 ‘삼세육추(三細六麤)’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고 시작하겠습니다. ‘삼세(三細)’는 아뢰야식의 미세한 세 가지 모습입니다. 아뢰야식은 무의식에 해당하기 때문에 전혀 .. [佛敎]/唯識講義 2011.10.16
『唯識』- 일심(一心)을 벗어나지 못한다 (본문)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일심(一心)을 벗어나지 못한다 (본문) 57-1-190 問 夫楞伽經所明三種識 謂眞識現識及分別事識. 此中三識 於八識中 如何分別. 答 眞謂本覺 現謂第八 餘七俱名分別事識. 雖第七識不緣外塵 緣第八故 名分別事. 眞謂本覺者 卽八識之性. 經中 有明九識. 於八識.. [佛敎]/唯識講義 2011.10.16
『唯識』- 꿈을 꾸는 비유 (강의)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꿈을 꾸는 비유 (강의) ‘꿈을 꾸는 비유’는 마음을 꿈에 비유해서 설명한다, 이런 얘깁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모습을 적나라하게 꿈을 비유해서 얘기를 합니다. 『섭대승론』에서 말하였다. 이 식(識)은 모두 오로지 식만 있을 뿐이니 조금도 실물이 없.. [佛敎]/唯識講義 2011.10.16
『唯識』- 꿈을 꾸는 비유 (본문)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꿈을 꾸는 비유 (본문) 56-11-189 攝大乘論云. 又 此識皆唯有識 都無義故. 此中以何爲喩顯示. 應知夢等爲喩顯示. 謂如夢中都無其義 獨唯有識. 雖種種色聲香味觸 舍林地山 似義影現. 而於此中 都無有義. 由此喩顯 應隨了知一切時處 皆唯有識. 夫從心現境 結.. [佛敎]/唯識講義 2011.10.15
『唯識』- 모든 것이 마음이다 (강의 - 3. 의식 속에는 자성청정심이 같이 흐른다)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모든 것이 마음이다 (강의 - 3) 이 『화엄경』의 뜻은 『해심밀경』의 뜻과는 다르다. 『해심밀경』은 따로 아홉 가지 식을 세워 점차적으로 초심자를 이끌어 남아 있는 번뇌를 보리심으로 기르도록 하기 때문이다. 이 『화엄경』의 뜻은 마음을 공(空)에.. [佛敎]/唯識講義 2011.10.15
「벽암록(碧嚴錄)」 - 차 례 - - 차 례 - 해제 일러두기 서(序) 벽암록 上 제 1칙 달마불식(達摩不識) 제 2칙 조주지도무난(趙州至道無難) 제 3칙 마조의 일면불(馬祖日面佛) 제 4칙 바랑을 옆구리에 끼고 법당에 오른 덕산(德山挾複) 제 5칙 설봉의 대지를 머금은 쌀 한톨(雪峰要米粒) 제 6칙 운문의 날마다 좋은 날(雲門十五曰) 제 7칙 .. [佛敎]/碧巖錄 2011.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