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 례 - 해제 일러두기 서(序) 벽암록 上 제 1칙 달마불식(達摩不識) 제 2칙 조주지도무난(趙州至道無難) 제 3칙 마조의 일면불(馬祖日面佛) 제 4칙 바랑을 옆구리에 끼고 법당에 오른 덕산(德山挾複) 제 5칙 설봉의 대지를 머금은 쌀 한톨(雪峰要米粒) 제 6칙 운문의 날마다 좋은 날(雲門十五曰) 제 7칙 법안과 혜초(法眼答慧超) 제 8칙 취암의 눈썹(翠巖眉毛) 제 9칙 조주의 사문(趙州四門) 제10칙 목주의 할이 다한 뒤(睖州喝後) 제11칙 황벽의 지게미 먹는 놈(黃蘗酒糟漢) 제12칙 동산의 삼 세 근(洞山麻三斤) 제13칙 파릉의 제바종(巴陵提巴宗) 제14칙 운문의 일대시교를 대함(雲門對一說) 제15칙 운문의 일대시교를 뒤집어 엎음(雲門倒一說) 제16칙 경청의 껍질을 깨고 나옴(鏡淸唻啄) 제17칙 향림의 조사께서 오신 뜻(香林西來) 제18칙 충국사의 이음새 없는 탑(忠國無縫) 제19칙 구지의 한 손가락(俱胝一指) 제20칙 용아의 서쪽에서 오신 뜻이 없음(龍牙西來) 제21칙 지문의 연꽃(智門蓮花) 제22칙 설봉의 자라 코처럼 생긴 독사(雪峰鼈鼻) 제23칙 보복의 그윽한 산봉우리(保福妙峰) 제24칙 철마의 늙은 암소(鐵磨牸牛) 제25칙 연화봉 암주의 주장자(蓮花柱杖) 제26칙 백장의 드높은 봉우리(百丈大雄) 제27칙 가을바람 때문에 본체가 완전히 드러나다(體露金風) 제28칙 마음도 아니고 부처도 아니고 외물도 아니어서(不是心不是佛不是物) 제29칙 대수의 겁이 다해 타오른 불길(大隋劫火) 제30칙 진주에서 나는 큰 무(鎭州蘿蔔) 벽암록 中 제31칙 마곡의 주장자를 떨치고(麻谷振鍚) 제32칙 임제의 한차례 때림(臨濟一掌) 제33칙 자복의 일원상(資福圓相) 제34칙 앙산의 오로봉(仰山五峰) 제35칙 앞도 삼삼 뒤도 삼삼(前三三後三三) 제36칙 장사의 봄기운(長沙春意) 제37칙 반산의 마음을 구함(盤山求心) 제38칙 풍혈의 무쇠소(風穴鐵牛) 제39칙 운문의 황금털(雲門金毛) 제40칙 남전의 뜰에 핀 꽃(南泉庭化) 제41칙 조주의 크나큰 죽음(趙州大死) 제42칙 노방의 잘 내리는 눈(老龐好雪) 제43칙 동산의 더위와 추위(洞山寒署) 제44칙 화산의 북을 치는 뜻(禾山打鼓) 제45칙 청주에서 지은 삼베적삼(靑州布衫) 제46칙 경청의 미혹되지 않음(鏡淸不迷) 제47칙 운문의 육대(六大)에도 포함되지 않는 것(雲門六不) 제48칙 태부의 옷소매를 떨치고(太傅拂袖) 제49칙 삼성의 금빛 물고기(三聖金鱗) 제50칙 운문의 진진삼매(雲門塵塵三昧) 제51칙 암두의 최후의 언구(巖頭末後句) 제52칙 조주의 돌다리(趙州石橋) 제53칙 마조의 들오리(馬祖野鴨) 제54칙 운문의 손을 펴보임(雲門展手) 제55칙 도오의 말할 수 없음(道吾不道) 제56칙 흠산의 화살 한 대(欽山一鏃) 제57칙 조주의 분별하지 않음(趙州不揀) 제58칙 조주의 함정(趙州窠窟) 제59칙 조주의 지극한 도(趙州至道) 제60칙 운문의 주장자(雲門拄杖) 제61칙 풍혈스님의 한 티끌을 세운다면(風穴一塵) 제62칙 운문의 보물 한가지(雲門一寶) 제63칙 남전의 고양이를 벰(南泉斬猫) 제64칙 조주의 짚신을 머리에 얹고(趙州載鞋) 제65칙 세존의 침묵(世尊良久) 제66칙 암두의 할(巖頭作力) 제67칙 경상(經床)을 두드린 부대사(傅大師揮案) 제68칙 혜적과 혜연(惠寂惠然) 제69칙 남전의 일원상(南泉圓相) 제70칙 위산의 목도 입도 막은 뒤(潙山倂却) 벽암록 下 제71칙 오봉의 목도 입도 막은뒤(五峰倂却) 제72칙 운암의 목도 입도 막은뒤(雲巖倂却) 제73칙 마조의 백가지 모두 틀림(馬祖百非) 제74칙 금우의 춤(金牛作舞) 제75칙 정주의 법도(定州法道) 제76칙 안목을 갖추고 밥을 먹음(喫飯具眼) 제77칙 운문의 호떡(雲門餬餅) 제78칙 열여섯 보살이 물의 성질로 깨달음(開士水因) 제79칙 투자의 제일의(投子第一義) 제80칙 급한 물살 위로 공을 쳐서(急水上打毬) 제81칙 약산의 고라니 쏘아 맞추기(藥山射塵) 제82칙 대룡의 법신(大龍法身) 제83칙 고불의 노주(古佛露柱) 제84칙 유마의 침묵(維摩黙然) 제85칙 동봉의 호랑이 울음소리(桐峰虎聲) 제86칙 운문의 주고삼문(廚庫三門) 제87칙 운문의 자기(雲門自己) 제88칙 현사의 세가지병(玄沙三病) 제89칙 관세음보살의 천수천안(大悲手眼) 제90칙 지문의 반야(智門般若) 제91칙 염관의 무소뿔 부채(鹽官犀扇子) 제92칙 세존께서 법좌에 오르심(世尊陞座) 제93칙 대광의 춤(大光作舞) 제94칙 능엄경의 보이지 않는 것(楞嚴不見處) 제95칙 보복의 차나 마시고 가게(保福喫茶去) 제96칙 조주의 삼전어(趙州三轉語) 제97칙 금강경 때문에 경천해지면(金剛輕賤) 제98칙 서원의 모두 틀림(西院兩錯) 제99칙 혜충국사의 십신조어(慧忠十身調御) 제100칙 파릉의 취모검(巴陵吹毛)
'[佛敎] > 碧巖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암록(碧嚴錄)」 제 2칙 조주지도무난(趙州至道無難) - 지극한 불도는 어려움이 없다 (0) | 2011.10.16 |
---|---|
「벽암록(碧嚴錄)」 제 1칙 달마확연무성(達磨廓然無聖) - 달마대사와 양무제 (0) | 2011.10.16 |
「벽암록(碧嚴錄)」 下 - 제100칙 파릉의 취모검(巴陵吹毛)《了》 (0) | 2011.10.12 |
「벽암록(碧嚴錄)」 下 - 제99칙 혜충국사의 십신조어(慧忠十身調御) (0) | 2011.10.12 |
「벽암록(碧嚴錄)」 下 - 제98칙 서원의 모두 틀림(西院兩錯) (0) | 2011.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