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수경 』 - 【천수경 강의】- 7. 깨달음의 마음에서 물러서지 않기를 원합니다 - 관세음보살본심미묘육자대명왕진언 【천수경 강의】 7. 깨달음의 마음에서 물러서지 않기를 원합니다. - 관세음보살 본심미묘 육자대명왕진언 (觀世音菩薩 本心微妙 六字大明王眞言) 「옴 마니 반메 훔」(3번) 이 진언을 풀이하면 '관세음보살의 본래 마음은 미묘하며 그것은 여섯 자로 되어 있는데 크고 밝은 왕의 진언'이란 뜻입니다. .. [佛敎]/千手經 2011.10.20
『 천수경 』 - 【천수경 강의】- 7. 깨달음의 마음에서 물러서지 않기를 원합니다. - 정법계진언(淨法界眞言), 호신진언(護身眞言) 【천수경 강의】 7. 깨달음의 마음에서 물러서지 않기를 원합니다. 「나무 칠구지 불모 대준제보살 (南無七俱脂佛母大准堤普薩)」(3번) 여기서 <나무>는 '귀의한다'는 뜻이며, <칠구지>의 <구지>는 '억'이란 뜻이니 그 뜻을 새겨 보면, '칠억 부처님을 키워낸 부처님의 어머니인 대준제보살.. [佛敎]/千手經 2011.10.20
『 천수경 』 - 【천수경 강의】- 6. 마음도 없어지고 죄 또한 없어져 - 참회진언(懺悔眞言) 【천수경 강의】 6. 마음도 없어지고 죄 또한 없어져 다음으로 <참회진언>의 내용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 참회진언(懺悔眞言) 「옴 살바 못자 모지 사다야 사바하」(3번) <옴 살바 못자 모지 사다야 사바하>에서 <옴>은 앞에서도 여러 번 나왔듯이 '진언의 왕'이며 '우주의 핵심'이며 '.. [佛敎]/千手經 2011.10.20
『 천수경 』 - 【천수경 강의】- 6. 마음도 없어지고 죄 또한 없어져 - 백겁적집죄(百劫積集罪) 【천수경 강의】 6. 마음도 없어지고 죄 또한 없어져 <십악참회(十惡懺悔)>다음으로 이어지는 구절은 우리의 죄업이 아무리 크고 무거울지라도 진실한 마음으로 참회하면 일시에 소멸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백겁적집죄(百劫積集罪) 일념돈탕제(一念頓蕩除) 여화분고초(如火焚枯草) 멸진무유여.. [佛敎]/千手經 2011.10.20
『 천수경 』 - 【천수경 강의】- 6. 마음도 없어지고 죄 또한 없어져 - 참제업장 십이존불, 십악참회(十惡懺悔) 【천수경 강의】 6. 마음도 없어지고 죄 또한 없어져 다음으로 참회하는 게송을 담은〈참회게〉의 내용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 참제업장 십이존불(懺除業障 十二尊佛) 나무참제업장보승장불(南無懺除業障寶勝藏佛) 보광왕화염조불(寶光王火炎照佛) 일체향화자재력왕불(一切香華自在力王佛) 백.. [佛敎]/千手經 2011.10.20
『 천수경 』 - 【천수경 강의】- 6. 마음도 없어지고 죄 또한 없어져 - 참회게(懺悔偈) 【천수경 강의】 6. 마음도 없어지고 죄 또한 없어져 다음으로 참회하는 게송을 담은〈참회게〉의 내용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 참회게(懺悔偈) 아석소조제악업 (我昔所造諸惡業) 개유무시탐진치 (皆由無始貪瞋癡) 종신구의지소생 (從身口意之所生) 일체아금개참회 (一切我今皆懺悔) 불교에서는 .. [佛敎]/千手經 2011.10.20
『 천수경 』 - 【천수경 강의】- 6. 마음도 없어지고 죄 또한 없어져 - 도량찬(道場讚) 【천수경 강의】 6. 마음도 없어지고 죄 또한 없어져 - 도량찬(道場讚) <사방찬(四方讚)>에 이어서 <도량찬(道場讚)>의 내용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도량청정무하예 (道場淸淨無瑕穢) 삼보천룡강차지 (三寶天龍降此地) 아금지송묘진언 (我今持誦妙眞言) 원사자비밀가호 (願賜慈悲密加護) <.. [佛敎]/千手經 2011.10.20
『 천수경 』 - 【천수경 강의】- 6. 마음도 없어지고 죄 또한 없어져 - 사방찬(四方讚) 【천수경 강의】 6. 마음도 없어지고 죄 또한 없어져 - 사방찬(四方讚) 일쇄동방결도량 (一灑東方潔道場) 이쇄남방득청량 (二灑南方得靑凉) 삼쇄서방구정토 (三灑西方俱淨土) 사쇄북방영안강 (四灑北方永安康) <사방찬>은 동서남북의 네 방향을 찬탄하는 구절입니다. 즉 <다라니>로서 관세음.. [佛敎]/千手經 2011.10.20
『唯識』- 홀연히 한 생각 일어난다 (강의)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홀연히 한 생각 일어난다(강의) ‘홀연히 한 생각이 일어난다’ ‘홀연히’ 라는 말이 무엇인지 알아야 되고, ‘한 생각’이라는 게 무엇인지 알아야 되고, ‘일어난다’ 는 데 무엇인지 알아야 됩니다. ‘홀연(欻然)’은 ‘갑자기’ 이런 뜻입니다. 원인.. [佛敎]/唯識講義 2011.10.20
『唯識』- 홀연히 한 생각 일어난다 (본문)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홀연히 한 생각 일어난다 (본문) 57-4-192 問 覺海澄源 一心湛寂 云何最初起諸識浪. 答 雖云識浪 起處無從. 無始無生 能窮識性. 只謂不覺忽爾念生. 猶若澄瀾 欻然風起. 不出不入 洶涌之洪浪滔天. 非內非外 顚倒之狂心遍境. 起信論云 以不知眞法一故 心不相.. [佛敎]/唯識講義 2011.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