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敎] 811

◎ 寶王三昧論(보왕삼매론) - 7. 맑은 친구를 사귀고 싶을 때

7. 맑은 친구를 사귀고 싶을 때 交情不求益吾(교정불구익오),交益吾則虧損道義(교익오즉휴손도의) 친구를 사귀되 내가 이롭기를 바라지 말라. 내가 이롭고자 하면 의리를 상하게 되나니 그래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순결로써 사귐을 길게하라” 하셨느니라. 삶이라는 긴 여행 동안, 우린 참으로..

◎ 寶王三昧論(보왕삼매론) - 8. 마음 맞지 않는 사람과 일을 할 때

8. 마음 맞지 않는 사람과 일을 할 때 于人不求順適(우인불구순적),人順適則心必自矜(인순적즉심필자긍)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 주기를 바라지 말라.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 주면 마음이 스스로 교만해 지나니, 그래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내 뜻에 맞지 않는 사람들로써 원림(園林)을 삼으라” ..

◎ 寶王三昧論(보왕삼매론) - 12. 온갖 역경이 나를 휘두를 때《了》

12. 온갖 역경이 나를 휘두를 때 如是居礙反通(여시거애반통), 求通反礙(구통반애), 是以如來(시이여래), 於障礙中得菩提道(어장애중득보리도) 而今時世俗學道之人(이금시세속학도지인), 若不先居於礙(약불선거어애), 則障礙至時(즉장애지시), 不能排遣(불능배견), 使法王大寶(사법왕대보), 由茲而失(..

「벽암록(碧嚴錄)」 제25칙 연화봉념주장(蓮花峰拈 拄杖) - 연화봉 암주의 지팡이

제25칙 연화봉념주장(蓮花峰拈拄杖) - 연화봉 암주의 지팡이 <벽암록> 제25칙은 연화봉의 암주가 주장자를 들고 대중에게 법문한 내용을 다음과 같이 싣고 있다. 연화봉 암자 주지가 입적하던 날 주장자를 제기하고 대중에게 설법했다. "옛 사람은 여기에 이르러 왜 안주하려고 하지 않았는가?" 대..

[佛敎]/碧巖錄 2011.10.20

「벽암록(碧嚴錄)」 제24칙 철마도위산(鐵磨到 潙山) - 유철마가 위산을 참문하다

제24칙 철마도위산(鐵磨到潙山) - 유철마가 위산을 참문하다 <벽암록> 제24칙은 유철마(劉鐵磨)라는 비구니가 위산영우 선사를 참문하는 일단을 다음과 같이 싣고 있다. “유철마가 위산에 이르자, 위산 화상이 그 비구니에게 말했다. ‘이 늙은 암소, 그대 왔는가?’ 유철마가 말했다. ‘내일 오대..

[佛敎]/碧巖錄 2011.10.20

「벽암록(碧嚴錄)」 제23칙 보복장경유산(保福長慶遊山) - 보복화상과 산 봉우리

제23칙 보복장경유산(保福長慶遊山) - 보복화상과 산 봉우리 <벽암록(碧巖錄) 제23칙에는 설봉 문하의 보복과 장경 화상이 산에서 노닐며 나눈 대화에 경청과 설두가 착어한 다음과 같은 얘기가 있다. “보복 화상과 장경 화상이 산에서 노닐 때, 보복이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말했다. ‘이곳이 바로 ..

[佛敎]/碧巖錄 2011.10.20

「벽암록(碧嚴錄)」 제22칙 설봉별비사(雪峰鼈鼻蛇) - 설봉화상과 독사 이야기

제22칙 설봉별비사(雪峰鼈鼻蛇) - 설봉화상과 독사 이야기 <벽암록(碧巖錄)> 제22칙은 설봉 화상이 맹독의 독사를 제기하여 다음과 같이 법문 하고 있다. 설봉 화상이 대중에게 설법하였다. “남산에 맹독을 가진 독사[鼈鼻蛇]가 한 마리 있다. 그대들은 조심하도록 하라” 장경혜능이 말했다. “오..

[佛敎]/碧巖錄 2011.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