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敎]/ 寶王三昧論

◎ 寶王三昧論(보왕삼매론) - 9. 베풀고 싶을 때

경호... 2011. 10. 20. 02:04


9. 베풀고 싶을 때


    施德不求望報(시덕불구망보),德望報則意有所圖(덕망보즉의유소도)

    공덕을 베풀려거든 과보를 바라지 말라.
    과보를 바라면 도모하는 뜻을 가지게 되나니
    그래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덕 베푼 것을 헌신처럼 버려라” 하셨느니라.


    우리가 행하는 행위 하나하나를 가만히 살펴보고 관찰해 봅니다.
    아무 의미 없이 이루어지는 행동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사소한 작은 일 하나라도 머릿속에서 이리 굴리고 저리 굴리고 그렇게 해서
    어렵게 이끌어 낸 결과가 바로 우리의 행위입니다.

    그렇게 이루어지는 행동들은 하나같이
    나에게 이익 되는 쪽으로 흐르게 마련입니다.
    순식간에 내린 결정이라도
    찰나 속에 수없이 많은 분별심들이 순식간에 스치게 됩니다.
    그저 본능처럼 지은 습(習)대로 자기마다의 업식에 이끌려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즉, 이해타산의 계산이 깔려 있게 마련이라는 것입니다.

    본능적으로 자신의 것을 늘리려 하는 세상이라지만
    주위에는 남을 위해 많은 것을 베풀려는 사람도 많이 있습니다.
    참 아름다운 사람들입니다.
    그러나 조금 깊숙히 자신의 내면을 관찰해 봅시다.
    베풀려는 바로 그 사람조차 가만히 울리는 내면의 소리를 들어보면
    소스라치게 놀랄만한 이기심을 느끼실 수 있을 것입니다.

    베푼다는 것이
    도리어 내 것을 늘리려는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경우 말입니다.
    베풀었다고 신문에 또는 TV에 드러내고자 한다면,
    양로원에 가서는 할아버지 돌보기보다
    사진 한 장 멋지게 찍어 신문에 내고자 한다면
    그렇게 세상에 드러내고자 한다면
    그것은 일종의 투자, 혹은 저축이지 온전한 베품은 될 수 없을 것입니다.

    이렇듯 베풀고 나서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쪽으로 무언가를 도모하고자 한다면
    진정한 베품이 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렇기에 덕 베푼 것을 헌신처럼 버리라고 하는 것입니다.
    사실 베푼다는 사람치고
    그 베품이 내게 가져다 줄 이익을 생각지 않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가만히 깊은 곳까지 들여다보면 말입니다.

    내게 돌아올 과보를 바라고 베푸는 것은 베푸는 것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봅니다.
    자식 열심히 공부 가르치고 학원에 고액과외 시켜
    좋은 대학 보내는 것이 과연 진실 된 베품, 진실 된 사랑일까요.
    부모님의 사랑은 오직 주기만 하는 사랑이라 하지만
    그도 그렇지 만은 않은 것이 우리 내면 깊은 곳의 현실입니다.
    물론 그 일이 아이가 진정으로 바라는 것이라면 그렇지 않겠지만요.

    그러나 아이의 일류대 합격이 자신의 자존심을 지키기 위한 것이거나
    자신의 못 이룬 꿈이나 장래희망을 대리만족하려는 마음이라면
    그것은 진정한 베품도 진정한 사랑도 아닌 “투자”에 불과합니다.

    자녀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위해
    설령 내가 어느 정도 손해를 보고 원하는 대로 되지 않더라도
    주위 사람에게 자존심 좀 상하더라도
    자녀의 희망과 꿈을 이루도록 도와주는 일이 되어야 합니다.
    “내가 너를 어떻게 키웠는데 이것밖에 못해?” 하는 생각들은
    자녀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이 아닙니다.

    그래서 베풀 땐 받지 못할 대상에게 베풀라고 합니다.
    그리고 다른 이에게 빌려줄 때는
    그저 준다는 마음으로 건네주라고 합니다.
    청정한 마음으로, 청정한 이에게, 청정한 것을 베풀라고 합니다.

    베푸는 것은 억지로 하는 것이 아닙니다.
    연기법을 알고 오고감의 이치를 알고 나면
    자연스레 터득되고 몸에 베이는 것이 진정한 베품 입니다.
    인연 따라 내게 오는 것이고 가는 것이지
    내가 잘나 오고 가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합니다.

    절대 “나”가 붙으면 안 됩니다.
    그저 본래 자리 찾아 가는 것입니다.
    마치 공기를 마실 때 내 공기, 네 공기 따지지 않듯
    그저 인연 따라 누구라도 마음껏 마실 수 있는 것처럼
    물질 또한 인연 따라 있어야 할 곳 찾아 갔구나 하면 그만입니다.

    내가 베푼 것이 아니라 가야 할 인연 찾아 간 것, 그 뿐입니다.
    그럴진데 베풀고 나서 무언가를 도모할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그저 베푼 것을 헌신짝처럼 생각하여
    그저 놓아 버리면 그만입니다.

                                                              <법상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