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唯識』- 부정심소(不定心所)의 회(悔) 면(眠) 심(尋) 사(伺) (본문)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부정심소(不定心所)의 회(悔) 면(眠) 심(尋) 사(伺) (본문) 58-1-197 夫不定有四 悔眠尋伺 於善染等 皆不定故. 非如觸等定遍心故 非如欲等定遍地故 立不定名. 一惡作 謂於已作未作善不善事 若染不染 悵怏追變爲體. 能障奢摩他爲業. 又 .. [佛敎]/唯識講義 2012.01.05
『唯識』- 열 가지 번뇌(煩惱)와 수번뇌(隨煩惱) (강의 - 2. 隨煩惱)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열 가지 번뇌(煩惱)와 수번뇌(隨煩惱) (강의 - 2) 수번뇌에는 20가지 종류가 있다. 『석론』에서는 이것을 “오로지 번뇌로서 분류되는 차별 속에서도 질적으로 번뇌와 동등한 흐름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번뇌라 한다”고 하.. [佛敎]/唯識講義 2012.01.05
『唯識』- 열 가지 번뇌(煩惱)와 수번뇌(隨煩惱) (강의 - 1. 열 가지 煩惱)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열 가지 번뇌(煩惱)와 수번뇌(隨煩惱) (강의 - 1) 전번 시간에 ‘분별이 없으면 지혜다’ 이런 부분에 중요한 게 있습니다. 경계(境界)로부터 생겨나는 것이 우리 마음[識]이고, 내가 마음먹음으로서[作意] 생기는 게 마음[識]이고, 또 .. [佛敎]/唯識講義 2012.01.05
『唯識』- 열 가지 번뇌(煩惱)와 수번뇌(隨煩惱) (본문)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열 가지 번뇌(煩惱)와 수번뇌(隨煩惱) (본문) 57-9-196 問 此十煩惱1) 何識相應. 答 第八藏識全無. 第七末那有四. 第六意識具十. 前五識唯三. 古釋云 五識但三 以無分別 故無慢等. 慢等必由有隨念計度分別生故. 又 由慢於稱量門起 劣勝.. [佛敎]/唯識講義 2012.01.05
『唯識』- 분별이 없으면 지혜다 (강의)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분별이 없으면 지혜다 (강의) '분별이 없으면 지혜다' 참 중요한 부분입니다. 우리가 앞에서 식(識)에 대한 얘기를 했는데 이 식은 육도를 윤회 합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 미륵보살에게 식이 어디 갔나를 살펴보게 했죠. 살펴봤는데 .. [佛敎]/唯識講義 2011.12.04
『唯識』- 분별이 없으면 지혜다 (본문)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분별이 없으면 지혜다 (본문) 57-8-195 問 前已廣明識相 如何是智. 答 分別是識 無分別是智. 如大寶積經云. 佛言 所言識者 謂能了別 眼所知色 耳所知聲 鼻所知香 舌所知味 身所知觸 意所知法 是名爲識. 所言智者 於內寂靜 不行於外. 唯.. [佛敎]/唯識講義 2011.12.04
『唯識』- 근본(根本)과 지말(枝末)을 알기 어렵다 (강의)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근본(根本)과 지말(枝末)을 알기 어렵다 (강의) 문 : 종경은 깊은 종지를 찾는 것인데 무엇 때문에 식(識)을 설하는 것입니까. 식(識), 의(意), 심(心) 이게 다 마음인데 왜 하필 식(識)을 들어서 얘기하느냐. 주관과 객관이 상대했을 때 .. [佛敎]/唯識講義 2011.12.04
『唯識』- 근본(根本)과 지말(枝末)을 알기 어렵다 (본문)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근본(根本)과 지말(枝末)을 알기 어렵다 (본문) 57-7-194 問 宗鏡搜玄 云何說識. 答 只爲識性幽玄 難窮本末. 唯佛能了 下位莫知. 以無跡無形 爲萬有之本. 唯深唯妙 作衆聖之原. 如菩薩處胎經 五道尋識品云. 爾時世尊 將欲示現 識所趣向... [佛敎]/唯識講義 2011.12.04
『唯識』- 유주(流注)와 상(相) 생주멸(生住滅) (강의)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유주(流注)와 상(相) 생주멸(生住滅) (강의) ‘유주(流注)와 상(相) 생주멸(生住滅)’ 이 말은 정확하게 얘기 하면 ‘유주(流注) 생주멸(生住滅)과 상(相) 생주멸(生住滅)’입니다. 이 얘기는 앞에 부분에서 ‘홀연히 한 생각이 일어났다.. [佛敎]/唯識講義 2011.12.04
『唯識』- 유주(流注)와 상(相) 생주멸(生住滅) (본문)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유주(流注)와 상(相) 생주멸(生住滅) (본문) 57-6-193 問 經明 初刹那識 異於木石 生得染淨 各自能爲無量無數染淨識. 本從初刹那 不可說劫乃至金剛終一刹那 有不可說不可說識 生諸有情色心二法者 則有染有淨 有生有滅. 此識 約生滅門.. [佛敎]/唯識講義 2011.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