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심 [下心] 하심 [下心] 달은 수줍음을 타는 듯 자주 구름 속에 숨는다 초발심의 수행자도 달처럼 수줍어 하며 하심하라 깊은 물을 건널 때나 가파른 산을 오를 때 조심하듯이 군중 속을 들어갈 때도 자신을 잘 단속하라 남이 이익을 얻거나 공덕을 지을 때 그것을 시기하지 말고 자기 자신의 일처럼 ..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2.12.18
선문답의 장치와 해체 / 김영욱 大韓哲學會論文集 ?哲學硏究? 第99輯, 2006. 선문답의 장치와 해체 김영욱(가산불교문화연구원 책임연구원) [논문개요] 선문답의 주요한 목적 중 하나는 의식 작용의 고착된 요소들을 포착하여 그 힘을 무력화시키는 데 있다. 이 목적을 적절히 수행하기 위하여 선사들은 문답 속에 일종의 ..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2.12.16
八相圖와 十牛圖 / 심재룡(서울대철학과교수) 八相圖와 十牛圖 심재룡(철학과교수) 예술을 하건 철학을 하건, 아니면 무슨 문학을 하건, 과학을 하건, 그 어떤 활동을 하건 간에 ‘인격이 완성된 다음에야 비로소’ 제대로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나는 여기서 ‘인격의 완성’이란 말을 썼지만 사실 철학적으로 따지고 ..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2.12.12
看話禪 참구의 실제 - 無字 화두를 중심으로 - / 김영욱 看話禪 참구의 실제 - 無字 화두를 중심으로 - 김영욱 / 가산연구원 차 례 Ⅰ. 화두의 일반적 속성 Ⅱ. 五祖法演의 無字 제기 Ⅲ. 무자 공부의 병통 Ⅳ. 화두 참구의 바른 방향 Ⅴ. 결론 I. 화두의 일반적 속성 무자 화두는 趙州從?(778~897)의 문답을 기원으로 한다. 그러나 조주가 학인과 나..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2.12.12
看話禪의 성립배경 / 김호귀 看話禪의 성립배경 김호귀 /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차 례 Ⅰ. 서언 Ⅱ. 선수행과 깨침의 전개방향 1) 離念과 無念의 의미 2) 깨침에 대한 오해 - 無事禪 Ⅲ. 大慧 看話禪의 출현배경 1) ?照禪法의 출현 2) 眞歇의 ?照에 대한 大慧의 입장 3) ?照禪法의 비판 내용 4) 당시 선종계의 폐풍 Ⅳ. 결어..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2.12.12
禪宗 이야기 / 심재룡(서울대철학과교수) 禪宗 이야기 심재룡(철학과교수) 불교의 여러 종파 가운데 선종은 불립문자(不立文字), 교외별전(敎外別傳), 직지인심(直旨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을 표어로 삼고 있다. 책 속에 쓰여져 있는 가르침 밖의 새로운 전통이라는 뜻이다. 불성을 보는 것과 부처가 되는 것은 동일하다는 말이..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2.12.12
한국 근,현대 看話禪師들의 普照禪에 대한 인식 한국 근. 현대 看話禪師들의 普照禪에 대한 인식* * 본 논문은 2010년 8월 12일 동국대 불교학술원이 주최한 간화선국제학술대회 간화선, 세계 를 비추다 에서 발표되었던 논문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김방룡** ** 충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 목 차 > Ⅰ. 들어가며 Ⅱ. 보조 지눌과 한국 간..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2.12.12
‘청학동’ 터 쌍계사 불일암 [동양학 박사 조용헌의 靈地(영지) 기행 ⑪] [연재ㅣ동양학 박사 조용헌의 靈地(영지) 기행 ⑪] 보조국사가 수도한 ‘청학동’ 터 쌍계사 불일암 우리나라에는 십승지(十勝地)가 있다. 중국에서는 신선이 살 만한 이상적인 명당을 동천(洞天), 복지(福地)라고 부르지만 우리는 십승지라고 부른다. 10여 군데의 뛰어난 장소를 꼽아본다..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2.12.05
현대 한국 간화선의 원류와 구조에 대하여 / 정유진 佛敎學報第60輯 현대 한국 간화선의 원류와 구조에 대하여 -경봉선사를 중심으로- 정유진*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선학과 교수. <목 차> Ⅰ. 서론 Ⅱ. 현대 한국 간화선의 원류 1. 송원대 간화선의 원류 2. 현대 한국 간화선의 원류 Ⅲ. 현대 한국 간화선의 구조 1. 송원대 간화선의 구조..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2.12.05
禪文化의 이해 / 정무환(성본) 불교문화연구 <제9집> 禪文化의 이해 정무환(성본)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 선학과 교수 차 례 Ⅰ. 서언 - 선문화란 무엇인가? Ⅱ. 선의 문화는 창조적인 힘이다. Ⅲ. 선문화의 사상 - 無心의 道 Ⅳ. 선문화의 생활 Ⅴ. 결언 국문초록 선문화(禪文化) 혹은 선(禪)의 문화라는 말이 일반..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2.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