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선수행과 선병(禪病)의 문제 참선수행과 선병(禪病)의 문제 鄭茂煥(性本)* 目 次 Ⅰ. 시작하는 말 Ⅱ. 선병이란 무엇인가? Ⅲ. 참선수행과 선병 Ⅳ. 선의 생활과 선병 - 陸沈의 선병 Ⅴ. 맺는 말 - 참선수행과 선병의 치료 한글 요약 선병은 불법의 근본정신과 사상을 철저하게 깨달아 체득하지 못하고 반야의 지혜를 ..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5.07.04
불교의 마음 이해 -緣起적 관점과 性起적 관점을 중심으로- 大韓哲學會 ?哲學硏究? 불교의 마음 이해 -緣起적 관점과 性起적 관점을 중심으로- 장진영(원광대) [논문개요] 우리는 마음을 나타내는 수많은 용어를 가지고 있다. 이를 크게 분별심과 무분별심이 관계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마음에 대한 이해가 우리의 언어적 분별에 의해 이루어지..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5.07.04
緣起와 性起의 관계 - 華嚴經問答을 중심으로 - 緣起와 性起의 관계 - ?華嚴經問答을 중심으로 - 장진영(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 <차 례> Ⅰ. 머리말 Ⅱ. ?乘緣起의 성립 1. 三乘緣起와 ?乘緣起의 차이 2. 緣集說에서 自體의 의미 3. 自體에서 性起로 4. 法界緣起의 染門과 三乘緣起 5. 法界緣起의 淨門과 ?乘緣起 Ⅲ. ?..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5.07.04
원효의 화쟁사상에 대한 再考 / 박재현 원효의 화쟁사상에 대한 再考 / 박재현 -화쟁의 소통(疏通)적 맥락 1. 머리말 백가쟁명(百家爭鳴)이라는 말이 있다. 전국시대에 공맹과 노장을 비롯한 수많은 유사(遊士)들이 중원을 떠돌며 자신들의 세계관과 정치관을 펼쳐 보이던 상황을 묘사한 말이다. 그런데 여기서 ‘쟁명’이라는..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5.07.04
화두를 참구하면 왜 돈오 견성하는가 새한철학회 논문집 철학논총 제58집 2009?제4권 화두를 참구하면 왜 돈오 견성하는가* 박태원(울산대) [한글 요약] 화두 참구와 돈오 견성의 인과 관계에 대한 해명은, ‘간화선의 화두 참구에서 역설하는 의정(疑情)은 어떤 것이기에 돈오 견성의 통로가 될 수 있는가?’에 대답하는 것이 ..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5.07.04
4성제(四聖諦) 8정도. 12연기(緣起). 4성제(四聖諦). 8정도 4성제: 苦 . 集 . 滅 . 道 사성제란 네 개의 성스러운 진리를 말하며 대체로 12연기의 뜻을 교리적으로 조직화한 것으로 원시불교의 대강이 표시되어 있다. 이것을 ‘최승법설’이라고도 불리워지는 석존 최초의 설법(곧 초전법륜)에서 설한 것이다. 도를 배우고 사성..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5.07.04
경허의 照心學 - 중세선의 落照와 근대선의 開眼 - 경허의 照心學* - 중세선의 落照와 근대선의 開眼 - 고영섭(동국대학교) <차 례 > Ⅰ. 문제와 구상 Ⅱ. 鮮末 韓初의 살림살이 1. 危局과 國亡 2. 逆行과 弄世 Ⅲ. 照心學의 지형도 1. 照心 개념과 구조 2. 照了와 專精의 논리와 방식 3. 戴角과 被毛와 曳尾의 가풍 Ⅳ. 尋牛行의 확장과 심화 ..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5.07.04
경허의 삼수갑산과 償債 경허의 삼수갑산과 償債 홍현지 ? 목 차 ? Ⅰ. 들어가는 말 Ⅱ. 禪家의 償債思想 1. 상채의 의미 2. 업보사상과 상채사상 3. 선가의 상채 Ⅲ. 경허의 償債, 삼수갑산행 1. 숙업의 인연 2. 살인 혐의 3. 상채의 대장정, 三水甲山行 Ⅳ. 나가는 말 한글요약 鏡虛禪師(1846∼1912), 그는 누구인가? 경허..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5.07.04
탄허의 周易觀과 佛敎觀 - 『주역선해』譯注를 중심으로 - 서울: 한국불교학회, 2013.8.31. 탄허의 周易觀과 佛敎觀* - 『주역선해』譯注를 중심으로 - 고영섭ㆍ동국대학교(서울) 불교학과 교수 목 차 Ⅰ. 문제와 구상 Ⅱ. 탄허의 三玄 인식 Ⅲ. 탄허의 『주역선해』 역주 1. 지욱의 以禪入儒적 『주역』 선해 2. 탄허의 以儒入禪적 『주역선해』역주 ..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5.07.04
『涅槃宗要』에 나타난 和會의 세계 『涅槃宗要』에 나타난 和會의 세계 김영태 내용차례 Ⅰ. 論考의 의도와 『涅槃經종요』 1. 和會를 주제로 삼은 까닭 2. 『涅槃宗要』의 大綱 Ⅱ. 和諍의 실제 1. 和百家異諍과 和諍 2. 異諍의 實例 3. 異說에 대한 和解 Ⅲ. 會通의 진실 1. 通解 2. 會明 1)會義同 2)佛性論의 會通 3. 會通에 의..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