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운스님 강의 『阿含經』 : 9. 염처경(念處經) - 2 9. 염처경(念處經) - 2 云何爲四, 觀身如身念處, 觀覺如覺念處, 觀心如心念處, 觀法1)如法念處. 云何觀身如身念處. 比丘者, 行則知行, 住則知住, 坐則知坐, 臥則知臥, 眠則知眠, 寤則知寤, 眠寤2)則知眠寤. 如是比丘觀內身如身, 觀外身如身, 立念在身, 有知有見, 有明有達. 是謂比丘觀身如身. 어떤 것을 .. [佛敎]/阿含經講義 2011.08.27
지운스님 강의 『阿含經』 : 9. 염처경(念處經) - 1 9. 염처경(念處經)1) - 1 《요약》 삼세의 모든 부처님은 오개(五蓋)를 끊고 사념처에 머물며 칠각지를 닦음으로써 무상정등각을 얻었다고 말씀하시고는 사념처 닦는 법을 상세히 설명하신 후, 만일 비구·비구니가 7일 동안만이라도 사념처에 바르게 머물면 아라한이나 아나함과를 얻게 될 것이요, 잠.. [佛敎]/阿含經講義 2011.08.27
지운스님 강의 『阿含經』 : 8. 인연경(因緣經) 8. 인연경(因緣經)1) 《요약》 십이연기법은 부처가 출세하든 출세하지 않든 법계에 상주하는 법으로 석존이 이를 깨달아 가르치는 것이니, 그 순서와 이치를 그대로 따라 바르게 깨달으면 해탈한다 (십이지의 항목과 순서를 그대로 따를 것을 강조함). 如是我聞. 一時, 佛住王舍城迦蘭陀竹園. 爾時, 世.. [佛敎]/阿含經講義 2011.08.27
지운스님 강의 『阿含經』 : 7. 연기법경(緣起法經) 7. 연기법경(緣起法經)01) 《요약》 한 비구가 연기법은 누가 만든 것이냐고 여쭙자, 연기법은 부처가 출세하든 출세하지 않든 법계는 상주하므로, 부처는 그것을 깨달아 중생들에게 설하는 것일 뿐이며, 그것은 이른바 십이연기법이라고 대답하심. 如是我聞. 一時佛住拘留搜調牛聚落. 時有異比丘, 來.. [佛敎]/阿含經講義 2011.08.27
지운스님 강의 『阿含經』 : 6. 노경(蘆經) 6. 노경(蘆經)01) 《요약》 마하구치라 존자가 사리불 존자에게, 노사는 생을 의지하여 있고 생은 유를, 유는 취를, 취는 애를, 애는 수를, 수는 촉을, 촉은 육입처를, 육입처는 명색을, 명색은 식을 의지하여 있으며, 식은 다시 명색을 의지하여 있다고 설하고는 서로 의지해 있는 갈대의 비유를 들자, 사.. [佛敎]/阿含經講義 2011.08.27
지운스님 강의 『阿含經』 : 5. 성읍경(城邑經) 5. 성읍경(城邑經)1) 《요약》 석존께서 보살이실 적에 연기의 이치를 거듭 관조하셨던 일을 설하시고, 그렇게 거듭 관조하시어 십이연기의 이치를 깨달으심으로써 정등각을 성취하셨으며, 또 그 깨달음은 팔정도를 통하여 가능했었다고 설하심. 如是我聞. 一時, 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爾時, 世尊.. [佛敎]/阿含經講義 2011.08.27
지운스님 강의 : 『唯識』- 아뢰야식(阿賴耶識)에 대한 게송 (강의 - 4. 객관도 마음[識]이다)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아뢰야식에 대한 게송 (강의 - 4) 아뢰야라는 마음은 불가지(不可知)입니다. 너무 미세하기 때문에 알 수 없어요. 그래서 아뢰야식을 알려면 8지 보살(八地菩薩:不動地)의 경지에 들어가야 만이 그때서야 아뢰야식의 정체가 드러납니다. 초지(初地)가 진여.. [佛敎]/唯識講義 2011.08.27
지운스님 강의 : 『唯識』- 아뢰야식(阿賴耶識)에 대한 게송 (강의 - 3. 무명이 세간을 변현해 낸다)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아뢰야식에 대한 게송 (강의 - 3) 대상을 요별함은 식이라 하고 전오식이 현재 경계 취함으로써 눈병으로 사람이 헛것을 보듯 보는 것을 따라서 미혹하나니 색들과 비슷하여 마음속에서 색 아닌 걸 색이라 생각한다네. ‘대상을 요별함은 식이라한다’ 이.. [佛敎]/唯識講義 2011.08.27
지운스님 강의 : 『唯識』- 아뢰야식(阿賴耶識)에 대한 게송 (강의 - 2. 염오의[七識] 작용)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아뢰야식에 대한 게송 (강의 - 2) 자기 마음 깨닫지 못함으로써 식을 따라 경계가 나타나네 자기 마음 요지하여 알아버리면 땔감이 불에 타서 없어지듯이 번뇌 없는 무루를 통달하리니 이와 같은 사람은 성인이라네. 요지(了知)는 안다는 말이고 무루(無漏.. [佛敎]/唯識講義 2011.08.27
지운스님 강의 : 『唯識』- 아뢰야식(阿賴耶識)에 대한 게송 (강의 - 1. 아뢰야의 연기)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아뢰야식에 대한 게송 (강의 - 1) 산스크리트어로 아라야 비즈나나(आलयविज्ञान ālaya vijñāna)라는 아뢰야(阿賴耶)는 번역하면 장(藏)으로 번역합니다. 그래서 아뢰야식(阿賴耶識)은 장식(藏識)이라고 합니다. 장(藏)은 창고를 말합니다. 창고가.. [佛敎]/唯識講義 2011.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