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양명학의 정신과 그 발전 / / 정인재 서강대 철학과 명예교수 . 양명학은 오늘날 어떤 의미를 갖는가?(Ⅰ) 인문학 강의 _ 양명학의 정신과 그 발전 현재 중국에서 양명학은 주자학과 함께 신유가 철학(Neo-Confucianism)의 양대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주자학은 이학(理學)혹은 정주학(程朱學)이라고도 부르며, 양명학은 심학(心學) 혹은 육왕학(陸王學)이라.. #사색/世上萬事 2012.07.26
[스크랩] 문화 코드로 본 중국과 중국인 . 문화 코드로 본 중국과 중국인 ⊙ 린위탕, 중국을 알기 위해서는 한자와 만리장성, 체면을 이해해야 ⊙ 붉은색을 좋아해 뇌물도 붉은 봉투에 전달하는 중국인 ⊙ 8 좋아하는 중국인, 1998년 8월 8일 8시에 올림픽 개막식 열어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앞두고 만리장성에 휘날리는 오성홍기. .. #사색/世上萬事 2012.07.25
[스크랩] 동이족이 개고기를 먹었던 이유.한민족은 왜 흰옷을 즐겨 입었을까 . 개고기 먹는 이유 한자 속에 답 있다 동이족이 개고기를 먹었던 이유 개고기 수육. 동북아에 거주하고 있는 여러 민족 가운데, 한때 방대한 영토를 점유했던 고조선과 부여 고구려로 이어지는 동이족의 한 계열이었던 한민족(韓民族)을 규정하는 데에는 문화적 유사성 때문에 쉽지 않은.. #사색/世上萬事 2012.07.25
퇴마사가 말하는 귀신 <일요초대석> 상사병 걸린 톱스타 '단골 퇴마사' 김영기 법사 “귀신 안 믿는 사람, 빙의 더 잘 된다” [일요시사=김설아 기자] 최근 몇 년간 케이블TV에서는 ‘빙의’와 ‘퇴마’를 소재로 한 심령치유 프로그램을 쏟아내 큰 인기를 끌었다. 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퇴마사들이 등장했.. #사색/世上萬事 2012.07.19
귀찾사 / 퇴마사 김영기 . 분신사마. 분신사바에 심취하다 결국 귀신 들려… ● 퇴마사 김영기 법사가 들려주는 '귀찾사' 아무도 없는 사무실에서 자판기 두드리는 소리 알고보니 '자귀모' 편집한곳 김 법사 "귀신은 있다" 폐가·흉가 공포체험, 마음속으로 끊임없이 귀신 원하는 생각도 위험해 퇴마사로 유명한 김영기 법사.. #사색/世上萬事 2012.07.19
이건희의 경청과 목계 이건희의 경청과 목계 경청(傾聽)과 목계(木鷄) 이건희 회장은 고 이병철 회장으로부터 삼성의 경영권을 1987년 넘겨받은 후 2002년까지 14년 동안 삼성의 규모를 14배로 키웠으며, 세계 속의 삼성이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강력하게 심어 놓았습니다. 2005년도 삼성의 총매출규모는 140조원에 .. #사색/世上萬事 2012.07.02
비참하게 생을 마감한 여가수 이화자 ▲ 이화자(李花子, 1916~1950)는 지난호의 장일타홍(張一朶紅)과 거의 비슷한 시기에 활동한 인천권번(仁川 券番) 출신의 유행가 가수였다. 권번에 대해서는 전호에서 대강 신태범(愼兌範) 박사의 글을 인용, 설명했지만 이번에는 1955년에 발간된 고일(高逸) 선생의 『인천석금(仁川昔今)』 .. #사색/世上萬事 2012.07.02
[차길진의 갓모닝] 4대 착각.부모와 자식의 차이.남 탓하는 인생 4대 착각 부처께서 말씀하신 3대 착각이 있다. 내 가 오래 산다는 착각, 내 말이 다 옳다는 착각, 남들이 다 나를 좋아한다는 착각이다. 얼마 전 구명시식을 한 뒤 3대 착각에 한 가지 착각을 더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항상 잘 해줬다는 착각이다. A씨에게는 친아들 같은 부하직원 .. #사색/世上萬事 2012.07.01
조선시대 결혼비용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조선시대 한번 결혼비용이 집10채 값 “연애결혼도 인정한다. 결혼할 때는 남자 집에서 돼지와 술을 보내는 것으로 끝난다. 재물 없이 결혼하는 것이 예법이다. 만약 재물을 받는 사람이 있으면 딸자식을 계집종으로 파는 것으로 생각해 부끄럽게 여겼다. (有婚嫁 .. #사색/世上萬事 2012.07.01
임금도 뿌리치지 못한 ‘쐬주 한 잔’ 유혹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임금도 뿌리치지 못한 ‘쐬주 한 잔’ 유혹 “예로부터 술 때문에 몸을 망치는 자가 많습니다. 신이 벼슬에 오를 때는 소주를 보지 못했는데 지금은 집집마다 있습니다. 게다가 소주 때문에 목숨을 잃는 이가 흔합니다. 금주령을 내려야 합니다.” 세종 15년(1433)이.. #사색/世上萬事 2012.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