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뿌리읽기]<257>辛(매울 신) [한자 뿌리읽기]<257>辛(매울 신) 辛은 갑골문에서 肉刑(육형)을 시행할 때 쓰던 형벌 칼을 그렸는데, 위쪽은 넓적한 칼날 아래쪽은 손잡이다. 辛은 죄인에게 형벌을 집행하고, 노예들에게 노예 표지를 새겨 넣던 도구로 쓰였다. 그래서 辛은 고통과 아픔의 상징으로 쓰여 ‘맵다’는 .. #學問/漢字 2012.01.25
아이 밸 잉(孕)자-수다로 푸는 한자(漢字) 아이 밸 잉(孕)자-수다로 푸는 한자(漢字) '나의 본디'가 새겨진 생명(生命)을 내 몸 속에 품고 자라도록 하여 누리에 내보내는 것, 아이 밸 잉(孕)자가 보듬은 뜻이다. 모양으로 보면 '이에' '곧' 따위의 뜻을 가진 어조사 내(乃)와 아들(자식) 자(子)의 결합(結合)이다. 고문자 특히 소전(小篆.. #學問/漢字 2012.01.25
[한자 뿌리읽기]<264>金(쇠 금) [한자 뿌리읽기]<264>金(쇠 금) 金은 금문에서 청동 기물을 제조하는 거푸집을 그렸는데, 두 점은 청동의 원석을, 오른쪽은 거푸집이다. 화려한 청동기 문명을 꽃피웠던 중국이었기에 청동 거푸집을 그린 金이 모든 ‘금속’을 대표하게 되었고, 청동보다 강한 철이 등장했을 .. #學問/漢字 2012.01.25
[한자 뿌리읽기]<265>長(길 장) [한자 뿌리읽기]<265>長(길 장) 長은 지팡이를 짚고 머리칼을 길게 늘어뜨린 사람을 그렸는데, 간혹 지팡이는 생략되기도 한다. 긴 머리칼은 나이가 들어 자신의 머리를 정리하지 못해 산발한 것으로, 성인이 되면 남녀 모두 머리칼을 정리해 비녀를 꽂았던 夫(지아비 부)나 妻(.. #學問/漢字 2012.01.25
[한자 뿌리읽기]<266>門(문 문) [한자 뿌리읽기]<266>門(문 문) 門은 문짝(戶·호)이 두 개로 구성된 양쪽 문을 그렸는데, 갑골문에서는 문틀까지 사실적으로 그려졌다. 문은 벽이나 담으로 단절된 양쪽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만든 소통의 장치이다. 그래서 門은 소통에 그 주된 의미가 있지만 닫으면 단절되기.. #學問/漢字 2012.01.25
[한자 뿌리읽기]<267>阜(언덕 부) [한자 뿌리읽기]<267>阜(언덕 부) 阜는 황토지대에 반지하식으로 만들어진 원시 형태의 집에서 지하로 내려가는 흙 계단을 그렸는데, 세로 선은 수직 벽을, 나머지는 흙을 깎아 만든 홈이다. 그래서 阜는 흙 계단이나 언덕, 흙으로 만든 구조물 등을 뜻하며, 다른 글자들과 결합.. #學問/漢字 2012.01.25
[한자 뿌리읽기]<268>이(미칠 이·태) [한자 뿌리읽기]<268>이(미칠 이·태) (대,이)는 손(又·우)으로 짐승의 꼬리를 잡은 모습인데, ‘설문해자’에서는 ‘又와 尾(꼬리 미)의 생략된 모습이 의미부’라고 했다. 짐승을 뒤쫓아 꼬리 부분을 손으로 잡은 모습에서 ‘미치다’와 ‘따라잡다’는 뜻이 나왔다. 그래서 .. #學問/漢字 2012.01.25
[한자 뿌리읽기]<270>雨(비 우) [한자 뿌리읽기]<270>雨(비 우) 雨는 갑골문에서 하늘에서 떨어지는 ‘비’를 그렸는데, 금문에서 하늘이 둥글게 변했다. 농경을 주로 했던 고대 중국에서 ‘비’는 생존과 직결되었기에 雨가 기상을 대표하는 글자가 되었다. 예컨대, 雲(구름 운)은 피어오르는 구름(云·이를 .. #學問/漢字 2012.01.25
[漢字 뿌리 읽기]<269>추(새 추) [漢字 뿌리 읽기]<269>추(새 추) 추는 부리와 머리, 날개와 발까지 갖추어진 새를 자세히 그렸다. ‘설문해자’에서는 ‘꼬리가 짧은 새를 추, 꼬리가 긴 새를 鳥(새 조)’라 했지만, 긴 꼬리를 가진 꿩(雉·치)에 추가 들었고, 꼬리가 짧은 학(鶴·학)이나 해오라기(鷺·로) 등에 .. #學問/漢字 2012.01.25
[한자 뿌리읽기]<271>靑(푸를 청) [한자 뿌리읽기]<271>靑(푸를 청) 靑은 금문에서 生(날 생)과 丹(붉을 단)으로 구성되었다. 生은 싹(철·철)이 흙(土·토)을 비집고 올라오는 모습이고, 丹은 광정(井·정)에서 캐낸 염료(주·주)를 상징한다. ‘설문해자’의 해석처럼 靑은 음양오행에서 東方(동방)의 색을 말하.. #學問/漢字 2012.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