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난세 (1)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난세 (1) 이덕일 역사평론가 대동(大同)과 소강(小康)보다 못한 사회가 난세(亂世)다. 전국(戰國)시대 공양고(公羊高)가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에서 분류한 것으로 태평(太平·대동), 승평(升平·소강), 난세(亂世)라고도 한다. 고려 말 목은 이색(李穡).. #學問/人文學 2015.07.13
손자병법으로 푸는 세상만사 .막다른 길로 몰지 마라 흐루쇼프 자존심 살려주고 핵전쟁 막은 케네디 손자병법으로 푸는 세상만사 <15> 막다른 길로 몰지 마라 쿠바 미사일 위기 40주년인 2002년 10월 아서 슐레진저 박사(오른쪽) 등 존 F 케네디 정부에서 일했던 각료들이 쿠바 아바나의 ‘라 카바나 미사일 위기 박물관’을 방문하고 있다. .. #學問/人文學 2015.07.13
율동 율동 누드 갤러리 The Blue Danube (푸른다뉴브강) An der sch?nen blauen Donau, Op.314 요한 슈트라우스 : 아름답고 푸른 다뉴브강 [예술작품산책]/서양화 2015.07.13
꽃신 꽃신 누드 갤러리 Melodramma Gioachino Rossini(1792~1868) La Promessa, 약속 Eva Mei, soprano Fabio Bidini, piano [예술작품산책]/서양화 2015.07.13
마음은 잠시 내려놓으시지요! [오태진의 詩로 읽는 세상사] 마음은 잠시 내려놓으시지요! 山寺의 초대 템플스테이 일본에서 나고 자란 육종학자 우장춘(禹長春)의 막내딸은 같은 회사에 근무하던 청년과 결혼했다. 이 청년이 세계적 정보통신그룹 ‘교(京)세라’의 창업주 이나모리 가즈오(稻盛和夫)다. 가고시마 지.. #學問/人文學 2015.07.13
-사는 이유 / 최영미 - 사는 이유 / 최영미 투명한 것은 날 취하게 한다 시가 그렇고 술이 그렇고 아가의 뒤뚱한 걸음마가 어제 만난 그의 지친 얼굴이 안부 없는 사랑이 그렇고 지하철을 접수한 여중생들의 깔깔웃음이 생각나면 구길 수 있는 흰 종이가 창밖의 비가 그렇고 빗소리를 죽이는 강아지의 컹컹거림.. #시/영상시 2015.07.13
좋은 시를 쓰고 싶어하는 여러분에게 ※ 이 글중 특정한 시인에 대하여 논평한 것은 평론가 개인의 입장이오니 회원님의 입장과 다를 수도 있음을 감안하여 읽어 주셨으면 합니다. 【더 좋은 시를 쓰고 싶어하는 여러분에게】 이승하(시인. 중앙대 문창과 교수) 아래는 시인 이진우 씨가 운영하는 문학 웹진 시인학교(www.poetsc.. #學問/人文學 2015.07.13
독서법 讀書百遍意自見 선인들의 독서법 같은 책을 되풀이해 소리 내서 읽는 다독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意自見)’이 옛 사람의 독서법이었다. 한 가지 책을 한 백번 쯤 되풀이해서 읽으면 분명치 않던 의미가 저절로 환해진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기본이 되는 텍스트를 무작정 읽고 또 읽었다는 것인데, .. #學問/人文學 2015.07.13
채근담(菜根譚)-전집 225장과 후집134장에 대하여 | 채근담 채근담(菜根譚)-전집 225장과 후집134장에 대하여 채근담(菜根譚)-제사 1. 채근담(菜根譚) 전집1장/ 한때의 적막을 받을지언정 만고의 처량을 취하지 말라. 2. 채근담(菜根譚) 전집2장/ 군자는 세상을 꾸밈없이 살 뿐, 능란하게 사는 것이 아니다. 3. 채근담(菜根譚) 전집3장/ 군자는 오히려 자기.. #사색/명상, 명언및 菜根譚 2015.07.13
쓰기를 위한 스터디 독서법 쓰기를 위한 스터디 독서법 정병기 『가르침과 배움』제18호(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08년 가을), 16-21쪽. 독서법에는 왕도가 있다. 다만 독서의 세계에는 전국 시대처럼 왕도가 대단히 많다. 자기만의 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학술적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물을 작성하기 .. #學問/人文學 2015.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