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치균 작품 Azaleas and Winter in SABUK (2006~2007) / 오치균 빨간 지붕 시험공부 겨울골목 겨울계단 골목 깊은산 진달래 눈길 눈내리는 밤 밤 골목 봄 오 치 균 작가 오치균은 1956년 충남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졸업, 미국 브룩클린 대학 대학원을 수료하였다. 몸이 허약하여 집안에서 공.. [예술작품산책]/서양화 2015.07.14
지방을 태우는 식품 8가지 지방을 태우는 식품 8가지 무조건 지방을 태워야 한다는 말은 틀렸다. 우리 몸에 수분이 필요하듯 지방 역시 필수 구성 성분이기 때문. 대신 몸의 질병을 유발하는 이른바 ‘내장 지방’은 태울 필요가 있다. 식단 관리와 운동으로 살을 뺄 수는 있어도 내 몸 곳곳에 쌓여 있는 무시무시한 .. [健康및生活常識]/建康茶.食品.料理 2015.07.14
눈 내리는 저녁 / 홍윤숙 눈 내리는 저녁 / 홍윤숙 - 望鄕詞6 눈 내리는 저녁길엔 목화꽃 지는 냄새가 난다 할머니 옛날 목화솜 지으시던 물레 소리가 난다 한밤에 펼치시던 오색 조각보 속 사각사각 자미사 구겨지는 소리 나고 매조 송학 오동 사꾸라 유년의 조각그림 몇 장 떨어지는 소리도 난다 어디서 그 많은 .. #시/영상시 2015.07.14
말씀 / 김영석 말씀 / 김영석 사람아 사람아 서러워 마라 더 없이 모자라고 힘없다고 울지 말아라 봄풀은 밟혀도 해마다 바보같이 새로이 돋아나고 들꽃은 바람에 찢겨서 차마 볼 수 없이 아름답지 않으냐 사람아 사람아 서러워 마라 목숨 덧없고 가난하다 울지 말아라 빈 손 빈 몸으로 바람은 비로소 .. #시/영상시 2015.07.14
김득신(金得臣) 출문간월도(出門看月圖)/ 고연희의 옛 그림 고연희의 옛 그림 속 인물에 말을 걸다 세상이 시끄러운 이유는 보지도 않고 짖는 개처럼 속된 인간들 때문이다 ⑤ 김득신 ‘출문간월도’ - 개 짖는 소리가 어떻게 들리나요 ▲ 김득신의 ‘출문간월도’(종이에 옅은 채색, 25.3×22.8㎝) 개인 소장 /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 출문간월도(.. [예술작품산책]/한국화,동양화 2015.07.14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 옻골마을 [이종호의 과학문화유산답사기] 도시 한 가운데에 전통마을이? [이종호의 과학문화유산답사기 제3부]<12-1>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 옻골마을 ‘한강의 기적’으로 세계를 놀라킨 한국의 발전상은 경이적이다. 1950년대 초만 해도 세계에서 가장 못사는 나라 중 하나였던 한국은 이제는 세계 10위 안에 들어갈 정도로 .. #사색/世上萬事 2015.07.14
원수와 은인.색유(色喩) [고전이 건강에 답하다] [고전이 건강에 답하다] 복수의 칼날, 결국은 내 몸 겨눠 ‘음부경(陰符經)’의 원수와 은인 중국 소주에 세워진 오자서 동상. “삶이란 죽음을 근본으로 삼고 죽음은 삶을 근본으로 하는 것이니, 은혜는 해로움에서 생겨나고 해로움은 은혜에서 생겨나는 것이다 (生者死之根 死者生之根... #學問/古典 2015.07.14
김애영 작품 초여름(The early summer) / 1977 / oil on canvas 빛(The Light) / 1977 / oil on canvas 초야(The Field) / 1977 / oil on canvas 창(the window) / 1980 / oil on canvas 정묵(The Silence) / 1980 / oil on canvas 묵(Silence) / 1984-5 / oil on canvas 정물(Still Life) / 1985 / oil on can 북한산 / 1986-88 / oil on canvas 노을(Sunset) / 1984-5 / oil on canvas 1975 / oil on .. [예술작품산책]/서양화 2015.07.14
이영희 사람이 태어나 걷고, 세월이 흐르면서 길이 생겨났습니다. 그 길 위로 수많은 사람들이 오고갔고, 그 길을 따라 마음과 마음이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굽이굽이 돌아가는 길에는 삶의 애환이 서려 있습니다. 언덕길에는 고단한 인생사가 무수한 발자국처럼 박혀 있습니다. 길에는 수많은 .. [예술작품산책]/서양화 2015.07.14
漢譯 佛典 언어의 특징 초고 / 임병권 漢譯 佛典 언어의 특징 초고* 임병권 충주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원 1. 머리말 2. 漢譯 불전의 언어기초 2.1 불교 혼합한어 2.2 번역의 책략 2.3 언어자료적 성격과 동본이역 3. 漢譯 불전언어의 주요 특성 3.1 어휘의 형태·의미 및 조어법 3.2 문법과 修辭 4. 맺음말 * 이 논문은 2010년도 정..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5.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