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암록(碧嚴錄)」 上 - 제12칙 동산의 삼 세 근(洞山麻三斤) 원오(圜悟)스님께서 풍주(灃州)의 협산(夾山) 영천선원(靈泉禪院)에 주석하시면서 설두 중현(雪竇重顯)스님의 송고(頌古)에 대하여 평창한 말씀의 핵심. 벽암록 上 제12칙 동산의 삼 세 근(洞山麻三斤) [垂示] 垂示云.殺人刀活人劍.乃上古之風規.亦今時之樞要. 若論殺也.不傷一毫.若論活也.喪身失命. 所.. [佛敎]/碧巖錄 2011.09.19
「벽암록(碧嚴錄)」 上 - 제11칙 황벽의 지게미 먹는 놈(黃蘗酒糟漢) 원오(圜悟)스님께서 풍주(灃州)의 협산(夾山) 영천선원(靈泉禪院)에 주석하시면서 설두 중현(雪竇重顯)스님의 송고(頌古)에 대하여 평창한 말씀의 핵심. 벽암록 上 제11칙 황벽의 지게미 먹는 놈(黃蘗酒糟漢) [垂示] 垂示云.佛祖大機.全歸掌握.人天命脈.悉受指呼. 等閑一句一言.驚群動衆.一機一境.打鎖.. [佛敎]/碧巖錄 2011.09.19
「벽암록(碧嚴錄)」 上 - 제10칙 목주의 할이 다한 뒤( 睖州喝後) 원오(圜悟)스님께서 풍주(灃州)의 협산(夾山) 영천선원(靈泉禪院)에 주석하시면서 설두 중현(雪竇重顯)스님의 송고(頌古)에 대하여 평창한 말씀의 핵심. 벽암록 上 제10칙 목주의 할이 다한 뒤(睖州喝後) [垂示] 垂示云.恁麽恁麽.不恁麽不恁麽. 若論戰也.箇箇立在轉處.所以道. 若向上轉去.直得釋迦彌勒... [佛敎]/碧巖錄 2011.09.19
「벽암록(碧嚴錄)」 上 - 제 9칙 조주의 사문(趙州四門) 원오(圜悟)스님께서 풍주(灃州)의 협산(夾山) 영천선원(靈泉禪院)에 주석하시면서 설두 중현(雪竇重顯)스님의 송고(頌古)에 대하여 평창한 말씀의 핵심. 벽암록 上 제 9칙 조주의 사문(趙州四門) [垂示] 垂示云.明鏡當臺.姸醜自辨.鏌鎁在手.殺活臨時. 漢去胡來.胡來漢去.死中得活.活中得死. 且道到這裏... [佛敎]/碧巖錄 2011.09.19
「벽암록(碧嚴錄)」 上 - 제 8칙 취암의 눈썹(翠巖眉毛) 원오(圜悟)스님께서 풍주(灃州)의 협산(夾山) 영천선원(靈泉禪院)에 주석하시면서 설두 중현(雪竇重顯)스님의 송고(頌古)에 대하여 평창한 말씀의 핵심. 벽암록 上 제 8칙 취암의 눈썹(翠巖眉毛) [垂示] 垂示云.會則途中受用.如龍得水.似虎靠山. 不會則世諦流布.羝羊觸藩守株待免. 有時一句.如踞地獅子.. [佛敎]/碧巖錄 2011.09.19
『唯識』- 삼경(三境)과 삼량(三量)의 분별 (강의 - 4. 現量, 非量, 比量)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삼경(三境)과 삼량(三量)의 분별(강의 - 4) 전 시간부터 의식에 대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복습해 보면, 제6의식은 현량(現量), 비량(非量), 비량(比量)이라고 얘기 합니다. 현량은 직관이고, 추리도 하니까 비량(比量)이고, 잘못된 추리도 하니까 .. [佛敎]/唯識講義 2011.09.19
『唯識』- 삼경(三境)과 삼량(三量)의 분별 (강의 - 3. 明了意識)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삼경(三境)과 삼량(三量)의 분별(강의 - 3) 여기에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명료의식(明了意識)이며 또 하나는 독두의식(獨頭意識)이다. 명료의식은 오직 오근문(五根門)에서 오진(五塵)의 경계를 취하는 것이다. 처음 한 생각이 오근(五根)과 더불어 같이 .. [佛敎]/唯識講義 2011.09.19
『唯識』- 삼경(三境)과 삼량(三量)의 분별 (강의 - 2. 제6의식의 특징은 比量이다)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삼경(三境)과 삼량(三量)의 분별(강의 - 2) 오늘 주제는 삼경과 삼량인데 하나하나 설명을 드릴게요. 문 : 의식은 몇 가지 경계를 반연하는 것이며 삼경(三境)과 삼량(三量)을 어떻게 분별하는 것입니까. 답 : 옛스님은 “제육의식(第六意識)은 추론하여 헤.. [佛敎]/唯識講義 2011.09.19
『唯識』- 삼경(三境)과 삼량(三量)의 분별 (강의 - 1. 三境과 三量)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삼경(三境)과 삼량(三量)의 분별(강의 - 1) 삼경(三境)이라는 것은 세 가지 인식 대상인데, 성경(性境), 대질경(帶質境), 독영경(獨影境)이라고 보통 얘기를 합니다. 삼경을 인식하는 삼량(三量)은 현량(現量), 비량(非量), 비량(比量)을 말합니다. 이 내용이 .. [佛敎]/唯識講義 2011.09.17
『唯識』- 삼경(三境)과 삼량(三量)의 분별 (본문)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삼경(三境)과 삼량(三量)의 분별 (본문) 54-10-182 問 意識緣境多少 三境三量如何分別. 答 古德云 第六意識 卽比量. 意識能緣三世法三性法三界法一百法等. 法爾皆是第六意識緣也. 有二 一明了 二獨頭. 且明了者 唯於五根門中 取五塵境 是初念與五同緣時 率.. [佛敎]/唯識講義 2011.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