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깨달음이 불교의 목적인가 [열린논단] 깨달음이 불교의 목적인가 2011년 1월 20일 불교평론 회의실 무엇이 최고의 행복인가 병 없이 건강한 것이 가장 큰 이익이요, (無病最利) 만족할 줄 아는 것이 가장 큰 재산이다. (知足最富) 믿고 의지하는 것이 가장 좋은 벗이요, (厚爲最友) 열반에 이르는 것이 최고의 복락이다...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2.02.28
[스크랩] 니체 철학과 불교 / 박찬일 니체 철학과 불교 / 박찬일 누가 승리라 말하는가? 견뎌냄이 전부인 것을. ―릴케 들어가기 니체의 불교에 대한 호의적 입장은 그의 《반그리스도론》(1888)에서 나타난다. 간단히 요약하면 불교가 기독교처럼 이항대립적 형이상학적 건축물을 세우려 들지 않았고, 인간 실존에 보다 객관..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2.02.28
[스크랩] 사성제의 실존 철학적 의미 사성제의 실존 철학적 의미 사성제를 바르게 이해하여 실천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성제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아함경>에서 고성제는 생로병사(生老病死)와 원증회고(怨憎會苦), 애별리고(愛別離苦), 구부득고(求不得苦), 오음성고(五陰盛苦) 라고 이야기..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2.02.28
범철스님 염불모음 범철스님 염불모음 01. 예불문 02. 이산혜연선사발원문 03. 천수경 04. 관세음보살정근 05. 반야심경 06. 화엄경약찬게 07. 경허스님참선곡 08. 법성게 09. 우리말반야심경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2.02.16
BTN 제작 - 나를 찾아 떠나는 암자 - 따라가고 싶은곳 BTN 에 가시어 Login 하시고 다시듣기 Button을 누루시면 동영상이 나옵니다. BTN - 나를 찾아 떠나는 암자 한국의 대표적 수행처인 암자기행을 통해 아름다운 영상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해 시청자들에게 산사의 고즈녁함과 편안함을 선사, 나를 찾는 계기를 만든다. 또한 미국전역 방송.. [佛敎]/佛敎에關한 글 2012.02.14
應化非眞分 第三十二 32 "須菩提若有人以滿無量阿僧祇世界七寶持用布施若有善男子善女人發菩薩心者持於此經乃至四句偈等受持讀誦爲人演說其福勝彼云何爲人演說不取於相如如不動 何以故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佛說是經已長老須菩提及諸比丘比丘尼優婆塞優婆夷一切世.. [佛敎]/金剛經 2012.02.13
知見不生分 第三十一 31 "須菩提若人言佛說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須菩提於意云何是人解我所說義不" "世尊是人不解如來所說義何以故世尊說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卽非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是名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須菩提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於一切法應如是知如是見如是信解不生法相須.. [佛敎]/金剛經 2012.02.13
一合理相分 第三十 30 "須菩提若善男子善女人以三千大千世界碎爲微塵於意云何是微塵衆寧爲多不" "甚多世尊何以故若是微塵衆實有者佛則不說是微塵衆所以者何佛說微塵衆則非微塵衆是名微塵衆 世尊如來所說三千大千世界則非世界是名世界 何以故若世界實有者則是一合相如來說一合相則非一合相.. [佛敎]/金剛經 2012.02.13
威儀寂靜分 第二十九 29 "須菩提若有人言如來若來若去若坐若臥是人不解我所說義何以故如來者無所從來亦無所去故名如來" 威儀寂靜分 第二十九 須菩提야 若有人이 言如來가 若來若去若坐若臥라하면 是人은 不解我所說義니 何以故오 如來者는 無所從來며 亦無所去일새 故名如來니라 금강경 강의(29).. [佛敎]/金剛經 2012.02.13
不受不貪分 第二十八 28 "須菩提 若菩薩 以滿恒河沙等世界七寶 布施 若復有人 知一切法無我 得成於忍 此菩薩 勝前菩薩 所得功德 須菩提 以諸菩薩 不受福德 故" 須菩提 白佛言 "世尊 云何菩薩 不受福德" "須菩提 菩薩 所作福德 不應貪著 是故 說不受福德" 不受不貪分 第二十八 須菩提야 若菩薩이 以滿.. [佛敎]/金剛經 2012.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