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敎]/唯識講義 138

『唯識』- 실상에 머리숙여 예배한다 (강의 - 1. 자타관문自他觀門)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실상에 머리숙여 예배한다 (강의 - 1) 『환원집』 「자타관문」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두 사람의 몸을 자타로 구분할 때에는 상대방의 몸은 타(他)가 되고 자신의 몸은 자(自)가 된다. 자기 하나의 몸에서 다시 자타로 구분한다면 몸뚱아리는 타가 되..

『唯識』- 아뢰야식(阿賴耶識)에 대한 게송 (강의 - 9. 견분과 상분)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아뢰야식에 대한 게송 (강의 - 9) 『수능엄경』에서는 “티끌경계로 말미암아 지견(知見)을 일으키고 근(根)으로 인하여서 모습이 있게 된다. 보이는 모습과 보는 지견에는 결정된 성품이 없어 마치 서로 서로 교차하여 의지해서 서 있는 갈대의 모습과 같..

『唯識』- 아뢰야식(阿賴耶識)에 대한 게송 (강의 - 8. 마음은 상속한다)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아뢰야식에 대한 게송 (강의 - 8) 또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근(根)에서 일어나는 식(識)의 활동이 근(根)에서 잠깐씩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모습이 사슴이 그물망 속에 있는 것과 같고, 새들이 새장 속에 있는 것과 같다. 이들 ..

『唯識』- 아뢰야식(阿賴耶識)에 대한 게송 (강의 - 7. 독립된 존재는 없다)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아뢰야식에 대한 게송 (강의 - 7) 이와 같은 중생의 아뢰야식도 청정한 부처님의 성품이지만 범부의 지위에선 오염이 되고 부처님 자리에선 보배로구나. 지난 시간에 공부했던 얘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결론 부분입니다. 아름다운 하얀 옥이 물에 있으..

『唯識』- 아뢰야식(阿賴耶識)에 대한 게송 (강의 - 6. 종자생현행, 현행훈종자)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아뢰야식에 대한 게송 (강의 - 6) 이와 같이 중생의 아뢰야식은 생사의 흐름 속에 들어가 있어 육도의 윤회 속에 오고 가는데 참 나가 아니면서 나인 듯하다. 여기서 ‘참’자를 빼야 됩니다. 나라고 하는 것은 본래 없는 것인데 참 나라하면 진짜 있는 것 ..

지운스님 강의 : 『唯識』- 아뢰야식(阿賴耶識)에 대한 게송 (강의 - 5. 일체 세간이라는 것은 전부 다 상(想)이 나타난 것이다)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아뢰야식에 대한 게송 (강의 - 5) 사막에 이글대는 태양 같아서 뻗치는 광명이 땅을 비춤에 신기루가 물과 같이 흘러 보여서 목마른 짐승이 보고 달린다. 이글거리는 태양이 땅을 비추면 열기에 의해서 후끈 달아오르죠? 그러면 물이 흘러가는 것 같이 신..

지운스님 강의 : 『唯識』- 아뢰야식(阿賴耶識)에 대한 게송 (강의 - 4. 객관도 마음[識]이다)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아뢰야식에 대한 게송 (강의 - 4) 아뢰야라는 마음은 불가지(不可知)입니다. 너무 미세하기 때문에 알 수 없어요. 그래서 아뢰야식을 알려면 8지 보살(八地菩薩:不動地)의 경지에 들어가야 만이 그때서야 아뢰야식의 정체가 드러납니다. 초지(初地)가 진여..

지운스님 강의 : 『唯識』- 아뢰야식(阿賴耶識)에 대한 게송 (강의 - 3. 무명이 세간을 변현해 낸다)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아뢰야식에 대한 게송 (강의 - 3) 대상을 요별함은 식이라 하고 전오식이 현재 경계 취함으로써 눈병으로 사람이 헛것을 보듯 보는 것을 따라서 미혹하나니 색들과 비슷하여 마음속에서 색 아닌 걸 색이라 생각한다네. ‘대상을 요별함은 식이라한다’ 이..

지운스님 강의 : 『唯識』- 아뢰야식(阿賴耶識)에 대한 게송 (강의 - 2. 염오의[七識] 작용)

- 宗鏡錄의 冥樞會要의 唯識부분 - (원순 번역) 아뢰야식에 대한 게송 (강의 - 2) 자기 마음 깨닫지 못함으로써 식을 따라 경계가 나타나네 자기 마음 요지하여 알아버리면 땔감이 불에 타서 없어지듯이 번뇌 없는 무루를 통달하리니 이와 같은 사람은 성인이라네. 요지(了知)는 안다는 말이고 무루(無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