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자루의 칼에 깃든 장인의 숨결
대나무의 절개를 닮은 칼, 장도
잠시 들여다보아도 한 뼘 크기의 작은 칼날이 뿜어내는 푸른 기운은 간담을 서늘하게 만든다.
“칼이라고 하면 상대방을 해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하기 쉽죠. 하지만 우리 선조들은 남을 찌르고 베기 위한 목적으로 장도를 몸에 지니고 다닌 것이 아닙니다. 자신을 다스리기 위해 장도를 지녔던 거예요.”
남을 제압하기 위한 용도보다는 충절과 절개, 그리고 의로움을 위해 몸에 지니는 칼이 장도粧刀라는 설명이다.
낙죽장도는 칼집과 칼손잡이를 대나무로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조선시대에는 대나무처럼 곧은 마음을 지향하는 뜻에서 남성과 여성 모두 낙죽장도를 즐겨 사용했다고 합니다.”
그저 한껏 멋을 내기 위해 대나무의 마디를 그대로 살려 제작하는 것이라 여겼던 짧은 생각이 여지없이 빗나갔다. 예로부터 대나무를 곁에 두는 사람은 속俗되지 않는다고 했던가. 휘지 않고 한줄기로 뻗어가는 대나무의 절개를 닮고자 한 선조들의 심성을 한상봉 전수조교는 낙죽장도에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었다.
4대를 이어온 낙죽장도장의 고집
대나무골 전남 곡성에서 4대째 전통 낙죽장도 기법을 묵묵히 전승해 온 한상봉 전수조교. 대나무 열두 마디가 한 자루의 낙죽장도로 거듭나기까지 그는 마음을 함부로 내려놓는 법이 없다. 서른다섯 번의 과정을 통해 비로소 작품 하나가 완성되니, 그만큼의 말 못할 고비를 넘나들었을 것이다. 모든 과정에 기계의 힘을 빌리지 않고 수작업을 고집하는 것은 부친 한병문 명예보유자의 기예와 인품을 그대로 물려받은 까닭이다.
“아버지께서는 ‘경인도庚寅刀’와 같은 칼은 인일寅日 인시寅時에만 담금질을 해야 좋은 칼이 만들어진다고 하여 반드시 날짜를 지키셨어요. 더도 덜도 말고 아버지께서 하시던 방법대로 낙죽장도 제작기법을 잇는 것이 제 역할이라고 여기고 있지요.”
그의 부친 한병문 명예보유자는 행여 부정不淨이 들까 우려하여 칼 제작을 앞둔 3일 전부터 대문에 금줄을 쳐서 정성을 들일 만큼 장도제작에 스스로 엄격했다.
부친의 뜻을 이은 그는 재료 선택에도 한 치의 소홀함이 없다. 대나무와 철, 금 외에도 소다리뼈와 소뿔, 사슴 가죽, 자개 등 천연재료를 고집한다. 이 중에는 오늘날 구하기 어려운 재료도 있어서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전통기법으로 제작한 낙죽장도는 한 해에 열두 개 정도만을 세상에 내어 놓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작업도구까지 직접 만들어서 사용하니 언뜻 보아 이득이 크게 남을 것 같지 않다. 이처럼 대를 이어온 장인정신은 낙죽장도 제작기법을 전통방식 그대로 전승하는 근원이 되고 있다.
무武 와 문文의 조화를 빚어내는 낙죽장도장
옷고름이나 허리띠에 달고 다니면서 위기에 처했을 때는 물론 일상생활에서도 요긴하게 사용되었던 장도. 지니는 것 자체만으로도 장식의 구실을 하는데, 특히 낙죽장도는 장식의 요소마다 심오한 의미를 담고 있다.
“칼날과 칼집, 칼자루에도 문양과 글씨를 새겨 넣는 것이 낙죽장도에요. 이때는 숨을 멈추고 온몸으로 집중해야 합니다.”
붓 대신 참숯 화로에서 달군 둔탁한 인두 끝으로 대나무에 섬세한 그림과 깨알 같은 글씨를 새겨 넣는 기술 ‘낙죽烙竹’.
‘낙죽장도’라는 이름도 이처럼 대나무에 문양과 글씨를 새겨 넣는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코앞에 두고 보아야 형체를 알 수 있을 만큼 칼집과 칼자루에 빼곡하게 들어앉은 문양과 글씨. 인두의 화기火氣를 감지하여 강약을 자유롭게 조정하는 비법을 구사해야만 오롯이 표현되는 기술이다.
한상봉 조교는 마치 붓을 다루듯이 인두 끝에서 매화를 피우고 산과 구름이 어우러진 가운데 한 수의 한시漢詩를 새겨 대나무의 자연과 풍류를 표현한다. 이로써 낙죽장도는 ‘무武’와 ‘문文’이 조화를 이루는 숨 쉬는 칼로 거듭난다. 그가 말하는 ‘부드러우면서 약하지 않고, 강하면서 유연한 칼’은 혼을 쏟아내어 문무文武가 조화를 이루는 칼을 일컫는 것이리라.
속된 마음은 베어버리고 정한 마음만 담아내는 장인 옛 여인들이 정절을 상징하는 장식품으로 즐겨 패용했던 은장도에 비해 낙죽장도는 우리에게 조금 낯설다.
“낙죽장도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요. 그래서 후대後代가 이어갈 수 있도록 전통기술을 전승해야 한다는 의지와 바람이 더욱 강해집니다.”
그의 가슴 한구석에 서운함이 내려앉아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에 던진 질문이었지만 우문愚問이었음을 깨닫는 순간이다. 애초에 남이 알아주기를 바라고 시작한 일이 아니기 때문에 그는 의연하다.
40여 년간 대나무에 상하고, 긴 시간 불[火]과 철鐵을 다스렸을 장인의 손을 가만히 내려다본다. 장도장으로서 혼신을 다해 온 고집스러운 흔적이 두 손에 그대로 묻어나 있다.
날카로운 칼을 만드는 그의 표정은 온화하면서도 엄숙함이 감돈다. 옛사람들이 남을 해치기 위한 목적보다는 꿋꿋한 대나무처럼 스스로의 정신을 올곧게 다스리기 위해 낙죽장도를 지녔듯이, 그가 오랜 세월 동안 빚어 온 것 또한 단순한 칼이 아니라 스스로의 마음이었는지도 모른다. 속된 마음은 베어버리고 정한 마음만을 간직하고자 했던 선조들의 정신은 이제 그의 기예와 장인정신을 빌어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전해지고 있다.
글·황경순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무형문화재연구실 학예연구사 사진·김병구
/ 문화재청
낙죽장도(중)
남자용이며 조선 양반 선비들이 나들이 및 외출시 휴대하였던 호신용
황주죽루기가 낙죽으로 글이 쓰여있고
매(梅),란(蘭),국(菊),죽(竹),등 사군자를 포함 하고 있으며, 선비들의 공허함과 지식을 채우려는 대나무의 비어있는 공간
매(梅)- 그림과 글자 한자, 한자 써있는공간은 매화꽃잎한잎, 한잎에 황주죽루기가써있으며
란(蘭)- 장식물 파란 녹색끈이 란초잎이며 녹피(사슴가 죽)
국(菊)- 자개로 국화꽃송이를 상징함
죽(竹)- 주재료이며 대나무임
대나무를 주 재료한 낙죽장도
길이 한자에서 한자셋치
낙죽장도(소) 여성용
대나무 속은 비어서, 道 자체이며, 배움의 갈증이며, 대나무 마디는 곧아서, 곧음으로써 뜻을 세우고, 마음과 행실을 갈고 닦으며, 한결같은 의지를 관철한다.
대나무 현명한 사람을 상징한다
백락천의 양죽기에서 군자(君子)는 대나무처럼 곧고 어진 사람을 쓴다(用賢者)했습니다.
규격 : 15cm이하
홈페이지
'#사색 > 世上萬事'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 거창군 위천면 황산마을(대한민국 명승 53호)[이종호의 과학문화유산답사기] (0) | 2015.07.23 |
---|---|
경북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한개마을(중요민속자료 제255호)[이종호의 과학문화유산답사기] (0) | 2015.07.23 |
포크 대부 한대수 / 대한민국 구라열전 (0) | 2015.07.23 |
鏡銘거울명.衾銘이불명.扇銘부채[기물명(器物銘)을 찾아서] (0) | 2015.07.23 |
枕銘 베개.烟袋銘담뱃대.杖銘지팡이.酒器銘 술잔[기물명(器物銘)을 찾아서] (0) | 2015.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