傳 9章
09-01 所謂治國 必先齊其家者 其家
不可敎 而能敎人者無之
故君子 不出家而成敎於國
孝者 所以事君也
弟者 所以事長也
慈者 所以使衆也
이른바 나라를 다스리는 것이 먼저 그 집을 가지런하게 하는 것이라 함은
그 집(자기 집)을 가르치지 못하면서 남을 가르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그래서 군자는 집을 나가지 않고도 나라에서 가르침을 이루고,
효성스러운 사람은 임금님을 섬기는 것이고,
윗사람을 공경하는 사람은 어른을 섬기는 것이며,
자애로운 사람은 많은 사람을 일하게 할 수 있다.
修身則家可敎矣 孝弟慈所以修身而敎於家者也 然而國之所以事君事長
使衆之道 不外乎此 此所以家齊於上 而敎成於下也
<부모님께> 효도하고 윗사람을 공경하며 <자식에게> 자애로운 사람은 몸을 수양하여
집에서 가르칠 수 있는 사람이다.(孝弟慈所以修身而敎於家者也)
그러함이 나라에서 임금을 섬기고 윗사람을 섬기는 것이며,(然而國之所以事君事長)
많은 사람을 부리는 방법은 이것(孝弟慈)에서 벗어나지 않는다.(使衆之道不外乎此)
아랫사람을 성공적으로 가르치는 것이다.(而敎成於下也)
교敎: ‘가르치다’ (其家不可敎而能敎人者無之).
출出: ‘벗어나다’ (君子不出家而成敎於國).
성成: ‘이루다’ (成敎於國).
제弟: 1)‘형제간의 愛情’ ‘웃사람에 대한 공경심’ (弟者所以事長也; 上長長而民興弟).
2)‘형제’ (宜兄宜弟; 父子兄弟)宜마땅할 의..
장長: 1)‘어른’ (弟者所以事長也; 上長長而民興弟). 2)‘(어른을) 공경하다’ (上長長而民興弟).
자慈: 부모가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 (慈者所以使衆也).
중衆: 1)‘인민’ (慈者所以使衆也; 得衆卽得國). 2)‘많다’ (生之者衆 食之者寡).
09-02 康誥曰 如保赤子 心誠求之 雖不中不遠矣
未有學養子而后 嫁者也
강고에 말하기를, ‘갓난아기를 보살피듯 하라’고 하였으니 진실된
마음으로 구하면 비록 맞지 않아도 멀지 않으니
아이 기르는 방법을 배운 후에 시집가는 사람은 있지 아니하다.
嫁시집갈 가.
이는 서경을 인용하여 그 말을 풀이했다.(此引書而釋之)
또 가르치는 근본을 세운 것을 밝힌 것이니(又明立敎之本)
거짓으로 강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不假强爲)
그 <마음에서 선한> 단서를 인식하고 미루어 나아가 확충하는데 있다.
(在識其端而推廣之耳) 推밀 추,廣넓을 광,
보保: ‘보살피다’ (保赤子; 以能保我子孫黎民).
적자赤子: ‘갓난아기’ (保赤子).
구求: ‘구하다’ ‘요구하다’ (心誠求之; 求諸人).
원遠: ‘멀다’ ‘멀리’ (雖不中不遠矣; 退而不能遠).
양養: ‘기르다’ (學養子).
가嫁: ‘시집가다’ (未有學養子而后嫁者也).
09-03 一家仁 一國興仁,
一家讓 一國興讓,
一人貪戾 一國作亂
其機如此 此謂一言 僨事 一人定國
한 가정이 어질게 되면 한 나라가 어진 마음이 일어나 <어질게 되>고,
한 가정이 양보하게 되면 한 나라가 양보하는 마음이 일어나 <양보하게 되>고
한 사람이 탐욕스럽고 사나우면 한 나라가 난을 일으키니 그 구조가 이와 같다.
이것은 한 마디 말이 일을 그르치고, 한 사람이 나라를 안정시킨다
貪탐낼 탐. 戾어그러질 려.
一人謂君也 機發動所由也 僨覆敗也 此言敎成於國之效
한 사람이란 임금을 말한다.(一人謂君也)
‘機’는 원인으로 인하여 움직임이 나타나는 것이다.(機發動所由也)‘僨’ 넘어져 실패하는 것이다.(僨覆敗也)분 망치다.僨
이것은 나라에서 효과적으로 가르침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此言敎成於國之效)
일一: ‘하나(의)’
흥興: ‘일으키다’ ‘興起하다’ 有所感發而興起也. (興仁; 興讓).
양讓: ‘겸양심’ (興讓).
탐貪: ‘탐욕스럽다’ (一人貪戾).
려戾: ‘(도리에)어긋나다’ (一人貪戾).
기機: ‘방아쇠’ ‘스위치’ ‘버튼’ ‘키’ 등 작은 것이지만 큰 영향을 일으키게 하는 장치.
發動所由. (其機如此).
분僨: ‘망치다’ (一言僨事).
정定: 1)‘결정’, ‘一定’ (有定). 2) ‘安定하다’ (一人定國).
09-04 堯舜帥天下以仁而民從之
桀紂帥天下以暴而民從之
其所令 反其所好1) 而民不從
是故 君子有諸己而後求諸人
無諸己而後非諸人
所藏乎身 不恕
而能喩諸人者未之有也
堯와 舜이 仁으로서 천하를 다스릴 때 백성들이 그를 따랐고,
桀과 紂가 폭력으로써 천하를 다스릴 때도 백성들이 그를 따랐다.
그가 명령하는 것이 그들이 좋아하는 바와 반대되면 백성들은 따르지 않는다.
이런 까닭으로 군자는
자기에게서 있은 후에 남에게서 구하며,
자기에게서 없은 후에 남에게 있는 것을 비난하는 것이니
몸에 감추진 것이 용서되지 않고서
남에게서 깨우칠 수 있는 사람은 아직 없다.
帥장수 수,거느릴 솔㉠장수 ⓐ거느리다 (솔) ⓑ본보기 (솔)
堯舜중국(中國) 고대(古代)의 聖天子(성천자)인 요 임금과 순 임금
桀紂중국(中國) 하(夏)나라의 걸(桀)과 은(殷)나라의 주(紂). 천하(天下) 고금의 포악한 임금의
대표자(代表者)諸모두 제, 김치 저 ㉠모두 ㉡모든 ㉢무릇, 어조사
此又承上文一人定國而言 有善於己然後 可以責人之善 無惡於己然後 可以正人之惡 皆推己而及人 所謂恕也 不如是則所令 反其所好 而民不從矣 喩曉也
이것은 위 문장 一人定國(한 사람은 나라를 평정한다)을 이어 받아,
(此又承上文一人定國而)
자신에게 선함이 있은 후에(言有善於己然後)남의 선함을 꾸짖을 수 있고,(可以責人之善)
자기에게서 악함이 없은 연후에(無惡於己然後)다른 사람의 악함을 바르게 할 수 있다.(可以正人之惡)
모두 자신을 옮겨서 남을 따르게 하는 것이니(皆推己而及人)推밀 추,밀 퇴.㉠밀다 ㉡옮기다 ㉢천거하다 ㉣미루어 헤아리다 ⓐ밀다 (퇴)
이른바 ‘恕’이다.(所謂恕也)恕 용서할 서.
이와 같지 않으면 명령하는 바가 그 좋아하는 바와 반대로서(不如是則所令反其所好)
백성들은 따르지 않는다.(而民不從矣)
‘喩(유, 깨우치다)’는 ‘曉(깨닫다)’이다.(喩曉也)
喩깨우칠 유,曉새벽 효,㉠새벽 ㉡깨닫다 ㉢타이르다 ㉣밝다
요순堯舜: 요임금과 순임금. (堯舜率天下以仁).
솔率: ‘이끌다’ (堯舜率天下以仁).
종從: ‘따르다’ (民從之; 民不從; 毋以從前).
걸주桀紂: 하나라의 마지막 임금과 은나라 마지막 임금의 이름. (桀紂率天下以暴).
포暴: ‘포악함’
령令: ‘(정치적인 지시를) 발령하다’ (其所令).
반反: ‘~에 반대되다’ ‘~에 반하다’ (反其所好).
시고是故: ‘이 때문에’ ‘그러므로’
저諸: ‘之+於’의 뜻과 소리. (有諸己而後求諸人 無諸己而後非諸人; 能喩諸人者; 迸諸四夷).
비非: 1)‘비난하다’ ‘그르다하다’ (非諸人). 2)‘(~이)아니다’ (非其財者).
장藏: ‘간직하다’ (所藏乎身).유喩: ‘깨우치다’ ‘가르치다’ (喩諸人).
서恕: 忠과 짝하여 忠恕로 쓰인다.
공자의 一以貫之에 대한 증자의 설명이 忠恕이다(『논어』「리인」제15장).
집주에서는 忠을 盡己, 恕를 推己로 설명한다.
忠과 恕는 두 개의 物이 아니다. 忠이나 恕나 다 道心(率性의 道心)이며 하나의 明德이다.
이것들이 두 개로 인식되는 것은 관점 때문이다.
내적 진실성을 모면 明德은 忠이고, 외적 지향성으로 보고 말하면 恕이다.
지향성이라고 한 것은, 明德이라는 마음의 됨됨이가 외부에 상대하는 物(오륜, 가국천하)이 있어야 하고, 그 物에 향하여 가게 되어있다.
忠恕는 마음 즉 明德의 속성에서 오는 명칭의 차이일 뿐 동일한 明德이다.
집주의 설명에 따르면 忠恕를 道의 體와 用으로 구분한다.
이렇게 體用으로 보면 忠恕가 두 개의 物이 아님이 보인다.
明德이라면 반드시 忠德이며, 반드시 恕德이다. 忠恕는 明德의 다른 이름이다.
'#學問 > 大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學-傳 9章 ~ 09-09 (0) | 2012.01.29 |
---|---|
大學- 傳 10章 10-11 ~10-15 (0) | 2012.01.29 |
大學-傳 8章 (0) | 2012.01.29 |
大學-傳 七章 (0) | 2012.01.29 |
大學- 傳 六章 . 06-04 (0) | 2012.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