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問/大學

大學-傳 8章

경호... 2012. 1. 29. 13:45

傳 8章

08-01 所謂齊其家 在修其身者 人之其所親愛而辟焉

                                         之其所賤惡而辟焉

                                         之其所畏敬而辟焉

                                         之其所哀矜而辟焉

                                         之其所敖惰1)而辟焉

          故好而知其惡 惡而知其美者 天下鮮矣

 

  이른바 그 집(家)를 가지런하게 하는 것이 그 몸을 수양하는 데 있다는 것은

 사람이 그 친하고 사랑하는 것에 편벽되고,

  천하게 여기고 증오하는 것에 편벽되고,

  두려워하고 공경하는 것에 편벽되고,

 그 슬퍼하고 불쌍히 여기는 것에 편벽되고,哀슬플 애,矜자랑할 긍.

 그 게으르고 소홀히 하는 것에 편벽되는 것이니,

 좋아하면서도 그 나쁜 점을 알고, 미워하면서도 그 아름다운 점을 아는 사람은

  천하에 드물다.

 자랑할 긍, 창자루 근, 앓을 관㉠자랑하다 불쌍히 여기다 괴로워하다 

  敖놀 오,㉠거만하다 놀다 희롱하다 시끄럽다 

  惰 게으를 타㉠게으르다 게으름 사투리

 

 人謂衆人 之猶於也   辟猶偏也  五者在人 本有當然之則  然常人之情

  惟其所向而不可察焉   則必陷於一偏   而身不修矣 

 

‘人’이란 보통의 여러 사람을 말한다.(人謂衆人) 

 ‘之’는 ‘於(…에)’와 같은 역할이다.(之猶於也)猶㉠오히려 가히㉦같다 머뭇거리다   

 ‘辟’은 ‘偏(편, 지우치다)’과 같은 뜻이다.(辟猶偏也)辟’벽 偏치우칠 편.

  辟’벽임금 벽, 피할 피, 비유할 비㉢법 밝히다 부르다 ㉩편벽되다 허물  

이 다섯 가지는 사람들에게 본래부터 당연하게 있는 것이다.(五者在人本有當然之則) 

그렇지만 보통 사람들의 情은(然常人之情) 

오직 그 향하는 바를 살피지 않은(惟其所向而不可察焉) 

즉 반드시 한 가지로 지우치게 되어(편벽되는데)(則必陷於一偏)

 陷빠질 함.㉠빠지다 빠뜨리다 함정  

몸을 수양하지 않는다.(而身不修矣)

애愛: ‘사랑하다’ (親愛; 唯仁人爲能愛人能惡人).

친애親愛: ‘사랑하다’

벽辟: ‘(중심을 벗어나 한 곳으로)치우치다’ 辟猶偏也. (之其所親愛而벽焉).

천賤: ‘미워하다’ ‘얕보다’ (賤惡).

천오賤惡: ‘미워하다’

외畏: ‘두려워하다’ (大畏民志; 畏敬).

경敬: 1)‘그윽히’ (於緝熙敬止). 2)‘공경(하다)’ (爲人臣止於敬; 之其所畏敬而벽焉). 1)의 敬은 2)의 공경심의 體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니, 소위 誠敬, 居敬의 敬이다.

애哀: ‘불쌍히 여기다’ (哀矜).

긍矜: ‘불쌍히 여기다’ (哀矜).

애긍哀矜: ‘불쌍히 여기다’

오敖: ‘건방지게 여기다’ (敖惰).

타惰: ???(敖惰).

오타敖惰: ???‘게으르다 여기다’  놀고,게으르다???

악惡: ‘나쁜(것)’ (惡臭; 好而知其惡).

오惡: ‘싫어하다’ (惡惡臭; 惡而知其美者).

미美: ‘좋은 점’ (惡而知其美者天下鮮矣).

선鮮: ‘적다’ (惡而知其美者天下鮮矣).

의矣: 문장의 끝에 붙는 말. 형용사를 서술어로 하고 있는 문장에 붙는 경우가 많고

(知所先後則近道矣; 其本亂而末治者否矣; 如見其肺肝然則何益矣;

天下鮮矣; 雖不中不遠矣; 財恒足矣),

미래의 단정을 나타내는 문장 즉 ‘이[하]리라’의 토가 붙을 문장에 쓰이는 것으로

생각한다(벽則爲天下륙矣; 不善則失之矣; 必自小人矣; 亦無如之何矣).

 

 

  08-02 故 諺有之 曰 人莫知其子之惡 莫知其苗之碩

 

그래서 속담에 이런 말이 있는데 사람들은 자기 자식의 나쁜 점을 알지 못하여, 그 싹(나쁜 점)의 자라남을 알지 못한다.苗모 묘, 碩클 석. 

 諺俗語也   溺愛者不明  貪得者無厭   是則偏之爲害而家之所以不齊也

 

‘諺(언)’은 속담이다.(諺俗語也)諺상말 언, 

 사랑에 빠진 자는 명석하지 못하고(溺愛者不明)

 얻음을 탐내는 자는 만족할 줄 모른다.(貪得者無厭)

厭싫을 염,싫어할 염, 누를 엽, 빠질 암 ⓓ젖다 (엽) 빠지다 (암)  

 이것은 편벽됨(情에 지우침)의 폐해이고,(是則偏之爲害)

 집을 가지런하게 하지 못하는 바이다.(而家之所以不齊也)

언諺: ‘속담’ (諺有之曰).

막莫: ‘~아니다’ (人莫知其子之惡 莫知其苗之碩).

묘苗: ‘(식물의)모’ (莫知其苗之碩).

석碩: ‘크다’ (莫知其苗之碩).

 

 

  08-03 此謂身不修 不可而齊其家

 이것은 몸을 수양하지 않으면 집(家)을 가지런하게 할 수 없음이다.

 

   右傳之六章   釋修身齊家

  오른쪽(위의 글)은 傳  6 章이다.(右傳之六章)_

 몸을 수양하고 집을 가지런하게 하는 것을 해석했다.(釋修身齊家)

 

 

'#學問 > 大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學- 傳 10章 10-11 ~10-15   (0) 2012.01.29
大學-傳 9章 ~09-04  (0) 2012.01.29
大學-傳 七章   (0) 2012.01.29
大學- 傳 六章 . 06-04   (0) 2012.01.29
大學- 傳 六章   (0) 2012.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