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과 번역문 |
http://sulme.x-y.net/frametext.htm 위주소에서는 대학사전과 대조하며 대학본문을 볼 수 있습니다. 원문과 번역문만 올립니다. |
원문 |
번역문 |
經 |
1 |
大學之道 |
태학의 道는 |
在明明德 在新民 在止於至善 |
明德을 밝히는 데 있다 新民에 있다 止於至善에 있다 |
2절 |
2 |
知止而后有定 定而后能靜 靜而后能安 安而后能慮 慮而后能得 |
머무를 곳을 안 다음 뜻이 정립되고 뜻이 정립된 다음 고요할 수 있고 고요하게 된 다음 편안할 수 있고 편안한 다음 생각이 알찰 수 있고 생각이 알찬 다음얻을 수 있다 |
3절 |
3 |
物有本末 事有終始 知所先後 則近道矣 |
物에는 本과 末이 있고 일에는 시종이 있는 법이다 앞에 그리고 뒤에 할 바를 알면 태학의 길에 가깝다 하겠다 |
4절 |
4 |
古之 欲明明德於天下者 先治其國 欲治其國者先齊其家 欲齊其家者先修其身 欲修其身者先正其心 欲正其心者先誠其意 欲誠其意者先致其知 致知在格物 |
옛날 천하에서 明德을 밝히고자 하면 먼저 治國하고 治國하고자 하면 먼저 齊家하고 齊家하고자 하면 먼저 修身하고 修身하고자 하면 먼저 正心하고 正心하고자 하면 먼저 誠意하고 誠意하고자 하면 먼저 致知하였나니 致知는 格物에 있다 |
5절 |
5 |
物格而后知至 知至而后意誠 意誠而后心正 心正而后身修 身修而后家齊 家齊而后國治 國治而后 天下平 |
物格이후 知至하고 知至이후 意誠하고 意誠이후 心正하고 心正이후 身修하고 身修이후 家齊하고 家齊이후 國治하고 國治이후 天下平이니라 |
6절 |
6 |
自天子 以至於庶人 壹是皆 以修身 爲本 |
천자로부터 서인에 이르기까지 한결같이 모두 修身으로 본을 삼아야 할 것이다 |
7절 |
7 |
其本亂而末 治者否矣 其所厚者 薄而 其所薄者 厚 未之有也 |
本이 어지럽고 末이 잘될 리 없고 후하게 할 것을 박하게 하고 박하게 할 것을 후하게 하는 도리는 아직 없다 |
전1장 명명덕 |
|
1-1절 |
1 |
康誥曰 克明德 |
강고에는 德을 잘 밝히시고 |
1-2절 |
2 |
太甲曰 顧言+是天之明命 |
태갑에는 하늘의 밝은 명령을 항상 살피시어 |
1-3절 |
3 |
帝典曰 克明峻德 |
제전에는 큰덕을 잘 밝히사 라고 하였는데 |
1-4절 |
4 |
皆自明也 |
이는 모두 스스로를 밝혔다는 말이다 |
전2장 신민 |
|
2-1절 |
1 |
湯之盤銘曰 苟 日 新 日日 新 又日新 |
湯임금의 반명에는 진실로 오늘 하루를 새롭게 하였거든 날마다 새롭게 하고 또 새롭게 하자 |
2-2절 |
2 |
康誥曰 作新民 |
康誥에는 새로워지고자 하는 인민을 고무하여라 |
2-3절 |
3 |
詩曰 周雖舊邦 其命維新
|
詩에는 주나라가 비록 묵은 나라지만 천명을 새롭게 하였다 하였는데 |
2-4절 |
4 |
是故 君子無所不用其極 |
이로 보아 군자는 반드시 지극한 경지를 쓴다 |
전3장 지어지선 |
|
3-1절 |
1 |
詩云 邦畿千里 惟民所止
|
詩에 왕기 천리는 인민들이 머무는 곳 이라 하였고 |
3-2절 |
2 |
詩云 緡蠻黃鳥 止于丘隅
|
詩에 꾀꼴꾀꼴 꾀꼬리 언덕 모퉁이에 머물고 라고 하는데 |
子曰 於止 知其所止 可以人而不如鳥乎
|
공자 이 詩를 평하사 아! 새는 잘도 머무는구나 머물 곳을 알아야 하고말고 사람으로서 새보다 못할 수 있겠는가 라고 하였고 |
3-3절 |
3 |
詩云 穆穆文王 於 緝熙敬止
|
詩에 거룩한 문왕이시여 아! 전대의 광명을 이어 그윽이 머무시네 라고 하였으니, |
爲人君止於仁 爲人臣止於敬 爲人子止於孝 爲人父止於慈 與國人交止於信 |
문왕께서는 임금으로서는 仁에 머무셨고 신하로서는 敬에 머무셨고 아들로서는 孝에 머무셨고 아버지로서는 慈에 머무셨고 국민과의 사귐에는 信에 머무셨다 |
3-4절 |
4 |
詩云 瞻彼淇澳 菉竹犬+奇犬+奇 有斐君子 如切如磋 如琢如磨 瑟兮人+閒兮 赫兮喧兮 有斐君子 終不可諠兮
|
詩에 저 淇水기수 굽이치는 곳 푸른 대 울창하구나 아름다운 군자는 여절여차 여탁여마로다 곰곰하시고 꿋꿋하시며 찬연히 광채 나시니 아름다운 군자여 끝내 잊을 수가 없구나 라고 하였는데, |
如切如磋者道學也 如琢如磨者自修也 瑟兮人+閒兮者 恂慄也 赫兮喧兮者 威儀也 有斐君子 終不可諠兮者 道盛德至善 民之不能忘也 |
여절여차는 學을 말하며, 여탁여마는 自修를뜻하며 곰곰하시고 꿋꿋하시다는 내면의 위엄을 뜻하고 찬연히 광채 나시니는 멋진 외모를 뜻하며 아름다운 군자를 끝내 잊을 수가 없구나 라고 읊은 것은 盛德의 至善함을 인민들이 못 잊겠다는 뜻이다 |
3-5절 |
5 |
詩云 於戱 前王不忘 |
詩에 아! 전왕을 잊지 못하겠다 고 하였는데 |
君子賢其賢而親其親 小人樂其樂而利其利 此以沒世不忘也 |
군자는 그분의 義德을 기리고 소인은 그분의 恩德을 기린다는 것으로 이것이 영세불망의 까닭이다 |
전4장 본말 |
본말 |
子曰 聽訟吾猶人也 必也 使無訟乎 無情者 不得盡其辭 大畏民志 此謂知本 |
공자 말씀하셨다 재판은 나도 남만큼은 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반드시 소송이 없도록 하는 것이이라 거짓이 있는 자가 자신의 말을 다 하지 못하는 것은 덕의 위엄을 경외할 줄 알기 때문인데 이것이 本을 안다는 뜻이다 |
전5장 격물치지 |
격물치지 |
此謂知本 此謂知之至也 |
이것이 本을 아는 것이다 이것이 知가 이르렀다는 뜻이다 |
'#學問 > 大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學- 傳 六章 (0) | 2012.01.29 |
---|---|
대학원문과 번역문 대조 ~ 전 9장 (0) | 2012.01.29 |
大學-傳 四章-傳 五章 (0) | 2012.01.29 |
大學-傳 三章 (0) | 2012.01.29 |
大學-傳 一章,二章 (0) | 2012.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