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漢詩및 시조

이화우(梨花雨)

경호... 2011. 7. 24. 00:04

梨花雨(이화우) 흩날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님

  

  이매창 


  조선 시대 수많은 여류 시인들이 있었고,

  그녀들이 남긴 시문집 또한 여러 권이 되지만,

  그 중에서도 군계일학은

 양반집 규수로는 허난설헌이 으뜸이고,

 기생으로는 황진이와 이매창이 쌍벽을 이룬다.


 황진이가 남긴 한시는 3 - 4 편에 불과하고,

 우리말로 쓴 시조 역시 많지는 않다.

 어찌 보면 황진이는 한자가 아닌 한글로 쓴 시조가 걸작이고,

 이 분야에 있어 일인자라 할 수 있다.

 반면에

 이매창은 漢詩에 있어서는 조선 최고의 작가라 할 수 있는데,

 황진이를 능가하는 일면을 보여 주고 있다.


 이매창은 

 전북 부안현의 아전 이탕종의 딸로 1573년에 태어나

 여자로서 한창 나이인 38살인 1610년 늦은 봄에 죽었다.

 본래의 이름은 계생 또는 계량이고 호를 매창으로 하였다.


 매창은 한 男子를 만나 지아비로 모시며(이조시대에는 이렇게 표현했다.)

 정상적인 가정생활을 할 수 없었기에,

 매창 나이 18살에 처음 만나 알게 된 28살 연상의 촌음 유희경을 첫사랑이자

 평생의 연인으로 삼았다.

 매창은 전북 부안에 살고 촌음은 한양에 살아,

 처음 만나 정을 통하고 헤어져 다시 재회까지 무려 15년의 세월을 보내야 했지만,

 매창의 가슴속에 시종일관 변함없이 남은 男子는 유희경밖에 없었다.


 물론 유희경이 한양으로 떠나고

 15년 세월 동안 당시 김제 군수인 묵재 이귀와 情人(정인: 정을 통한 사이)

 사이였고, 교산 허균(홍길동전의 저자, 허난설헌의 친동생, 동인의 영수 초당 허엽의 3남)

 과 정신적 사랑은 했지만,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일편단심 하나로 남은 남자는 오로지 유희경이었다. 


 情을 주고 떠나가서 오지 않는 님을 기다리며,

 일생을 외롭게 독수공방으로 보내야 했던 이매창.

 오늘날까지 전해져 오고 있는 절창의 한시들은 한 女人의 이러한 삶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기생으로서

 최고로 착한 여자가 이매창이고,

 남자를 유혹하여 연애 잘 하기로 첫손가락에 꼽히는 여자는 황진이.

 독하기로 유명한 여자가 소춘풍.

 한 남자와 지고지순한 사랑을 한 여자는 홍랑 이었다.


 이매창은 한시와 거문고, 노래에 있어 당대 최고일 뿐만 아니라,

 한시에 있어서 섹시함, 세련됨, 감정표현의 자연스러움 등은  조선 오백년을 넘어

 한민족 5천년 역사에서 女流로서 최고수 이었다.


 제사 지내줄 자식이 없었기에,

 죽어서도 거문고와 함께 부안읍 공동묘지에 묻혔고,

 매창을 사랑하는 나무꾼, 남사당패들이 해마다 매창이뜸에서 그녀의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살아생전에 수백 편에 달했다는 한시는

 고작 58수만이 부안 고을의 아전들에 의하여 암송되다가 그녀의 사후 58년이 지나서

 목판으로 출판되어 오늘에 전해져 오고 있다.




 이화우(梨花雨)  


 이화우(梨花雨) 흩날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님

 추풍낙엽(秋風落葉)에 저도 날 생각는가

 천리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노매.



      ※ 참조

       1. 지은이는 조선시대 부안 기생 이매창.


       2. 이 한글 시는 이매창(1573-1610) 이

        그녀의 임인 유희경(천인 신분으로 한시의 대가이며,

        임진왜란 때 의병의 공을 세워 양반이 됨) 과 이별하고, 

        서울로 떠나간 임을 전북 부안에서 그리워하며 지은 한글로 된 詩로

        현재 전북 부안에 있는 매창 추모비에 새겨져 있다.


       3. 하얀 배꽃이 피어있는 어느 비 오던 봄날

        눈물을 흘리며 보낸 그 님(유희경)은

        세월은 흘러 가을인데 당신은 날 생각하기나 하실련가?

        천리 멀리 떨어져 있으니 그대 향한 외로움만 오락가락 하는구나.


 

 

 

 

"회우(悔尤) " - 산사의 명상음악

 

 

 

 

 

                                                             주자(朱子) 십회(十悔)

 


                             불효부모사후회(不孝父母死後悔) : 불효하면 부모 돌아가신 뒤에 후회한다.

 

                             불친가족소후회(不親家族疎後悔) : 가족에 소홀하면 멀어진 후 후회한다.

 

                             소불근학노후회(少不勤學老後悔) : 젊어서 공부 안 하면 늙어서 후회한다.

 

                             안불사난패후회(安不思難敗後悔) : 잘나갈 때 막 나가면 위기맞고 후회한다.

 

                             춘불경종추후회(春不耕種秋後悔) : 봄 농사에 소홀하면 추수 때 후회한다.

 

                             불치원장도후회(不治垣墻盜後悔) : 담장을 고치지않으면 도둑맞고 후회한다.

 

                             색불근신병후회(色不勤愼病後悔) : 여색을 삼가않으면 병약해지고 후회한다.

 

                             취중망언성후회(醉中妄言醒後悔) : 취중에 망언하면 술 깬 후에 후회한다.

 

                             부불검용빈후회(富不儉用貧後悔) : 부유할 때 근검않으면 가난해져 후회한다.

 

                             불접빈객거후회(不接賓客去後悔) : 손님을 홀대하면 돌아간 뒤 후회한다.

 

 

'#시 > 漢詩및 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生在塵夢-寒山詩  (0) 2011.10.16
黃眞伊 [황진이]의 夢 [꿈]  (0) 2011.10.16
근심은 술잔에 띄우고/이태백  (0) 2011.02.18
移種櫻桃(이종앵도) / 허균  (0) 2010.09.22
茶禪一如 / 休靜  (0) 2010.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