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漢詩및 시조

北征1(북정1)[두보의 시]

경호... 2008. 4. 14. 03:16
    [두보의 시공부111] 北征-1(북정-1)/미산 윤의섭 皇帝二載秋 閏八月初吉 숙종 황제 즉위 이듬해 가을 황제이재추 윤팔월초길 윤팔월 초순에 날을 잡아 杜子將北征 蒼茫問家室 나 두보는 북으로 길을 떠나 두자장북정 창망문가실 멀고 아득한 집을 찾아 나섰다. 維時遭艱虞 朝野少暇日 어렵고 근심스런 때를 만나 유시조간우 조야소가일 조정과 재야가 한가한 날이 없는데 顧慙恩私被 詔許歸蓬蓽 부끄럽게도 이 몸 성은을 입어 고참은사피 조허귀봉필 집에 돌아가도록 허락을 받았다. 拜辭詣闕下 怵惕久未出 하직 인사 드리고 궐문에 이르렀으나 배사예궐하 출척구미출 근심스레 주저하며 문을 나서지 못했다. 雖乏諫諍姿 恐君有遺失 비록 모자라 간언할 자질 없으나 수핍간쟁자 공군유유실 임금께 허물이 있을까 두렵다. 君誠中興主 經緯固密勿 임금께서는 진실로 중흥의 군주시니 군성중흥주 경위고밀물 정사(政事)에 매우 힘쓰시고 계시다. 東胡反未已 臣甫憤所切 동쪽 적군의 반란이 끝나지 않아 동호반미이 신보분소절 이 신하 두보는 울분을 억누르지 못한다. 揮涕戀行在 道途猶恍惚 눈물을 뿌리고 임금 계신 곳을 생각하니 휘체연행재 도도유황홀 길을 가도 정신이 아득하기만 하다. 乾坤含瘡痍 憂虞何時畢 온 천지가 전쟁의 상처 뿐이니 건곤함창이 우우하시필 이 근심걱정은 언제나 끝나리요. ......................................... 北征=피난지 봉상에서 가족이 있는 부주로 북으로 간다 허여 북정이라하였다. *皇帝=당의 숙종 *二載=2년째 初吉=초하루 *杜子=두보자신 *蒼茫=불안,궁금함 *維時=바로 지금 *遭艱虞=고난과 걱정을 당함 *慙=송구스럽다 *은사=은총을 받아 *詔許=칙명으로 허락받아(방관의 패전을 두둔하다 숙종의 노여움으로 하야시킴) *蓬蓽=초라한집(쑥대풀 가시나무문) *拜辭=천자게 배알하고 하직인사들임 *詣闕下=대궐밖에 이름 *怵惕=두렵고 겁이남 *諫諍=극구 간함 *姿=자질 *遺失=실책 *中興主=안록산의 난으로 피난중에 등극한 당의 숙종 *經緯=경륜 *密勿=열심히 하다 *東胡=안록산(동호족)을 죽이고 아들경서가 낙양에서 천자라 칭했다 *臣甫=두보 *憤所切=통절히 분개함 *揮涕=눈물을 훌처버림 *戀行在=행궁에 있는 임금을 우러러 그리워함 *道途=길을 가면서 *猶=여전히 *恍惚=어찌해야 좋을지 모름 *含=품다 *瘡痍=전난의 상처 *憂虞=근심걱정 *畢=끝나다 북정은 두보의 대표작으로 700자 40귀로 된 5언율시이다.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도록 5편으로 나누어 자세한 해석을 부친다. 이시는 두보가 숙종대에 간언의 벼슬을 할때 반군 토벌에 실패한 방관을 변호하다가 숙종의 노염을 사 집에가서 근신하라는 명을 받고 봉성에서 그의 집 부주로 북향하여 떠나면서 시작된다. 두보는 개인생활에도 성실했고 동시에 나라에 대해서도 충국애민하는 충신이었다.그러한 성실하고 진지한 인간상이 북정에 잘 나타나 있다 특히 사실주의적 시인으로서의 표현과. 정확하고 신선한 맛이나 또 휴머니스트로서의 인간애도 잘 나타나 있다. 여유시간에 단어 하나하나 음미하며 현대어문의 연원을 마춰보는 즐거움을 얻기 바란다.
 

'#시 > 漢詩및 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중의 맛/ 涵虛(함허)  (0) 2008.04.19
玉磬山房茶會(옥경산방차회) / 장혼  (0) 2008.04.19
황진이 시모음  (0) 2008.04.11
[漢詩] 江雪 눈 내리는 겨울강  (0) 2008.03.31
--陶 山 月 夜 詠 梅 --  (0) 2008.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