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敎]/佛敎에關한 글

無門關의 註釋的硏究

경호... 2015. 7. 23. 02:14

논문을 편의상 6장으로 <1>본 페이지와 <2>第一則 ~ 第十則 , <3>第十一則 ~ 第二十則 ,

<4>第二十一則 ~ 第三十則 , <5>第三十一則 ~ 第四十則 ,<6>第四十一則 ~ 第四十八則 으로 나누었습니다

 

 

 

 

 

 

無門關의 註釋的硏究

 

- 看話禪修行方法과 飜譯本對照를 中心으로 -

 

指導敎授 盧慧南

 

中央僧伽大學校大學院
佛敎學科譯經學專攻
朴吉石(淨宇)
2004年12月

 

 

목 차

 

I. 序論···················································································································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범위와 방법····················································································· 2
Ⅱ. 禪修行方法과 中國禪宗의 看話禪修行方法···················· 3
  1. 선 수행방법의 기본············································································· 3
    1) 坐禪思惟··························································································· 3
    2) 正念觀察··················································································· 4
  2. 중국불교 선종의 형성과 선 수행방법··········································· 7
    1) 선종의 형성초기와 발전기 ························································ 8
    2) 간화선 수행방법의 정립배경 ·················································· 12
    3) 간화선 수행방법의 문제점과 개선점 ·································· 14
Ⅲ. 無門慧開의 禪思想과『無門關』의 著述····························· 18
  1. 시대적 배경··························································································· 18
  2. 무문혜개의 선 수행············································································ 19
  3. 『무문관』에 나타난 무문혜개의 선사상··································· 19
  4. 『무문관』저술의 목적····································································· 20
  5. 공안에 대한 무문혜개의 주석방식················································ 22
 

◇ 『無門關』약어 표 ◇ ································································ 24

Ⅳ. 『無門關』譯註解·················································································· 25
1. 禪宗無門關自序····················································································· 25
2. 第一則趙州狗子··················································································· 31
3. 第二則百丈野狐··················································································· 37

4. 第三則俱??指··················································································· 41
5. 第四則胡子無鬚··················································································· 43
6. 第五則香嚴上樹··················································································· 45
7. 第六則世尊拈花··················································································· 48
8. 第七則趙州洗鉢··················································································· 51
9. 第八則奚仲造車··················································································· 54
10. 第九則大通智勝··················································································· 55
11. 第十則淸稅孤貧··················································································· 57
12. 第十一則州勘庵主·············································································· 60
13. 第十二則巖喚主人·············································································· 63
14. 第十三則德山托鉢·············································································· 65
15. 第十四則南泉斬猫·············································································· 67
16. 第十五則洞山三頓·············································································· 69
17. 第十六則鐘聲七條·············································································· 71
18. 第十七則國師三喚·············································································· 74
19. 第十八則洞山三斤·············································································· 76
20. 第十九則平常是道·············································································· 79
21. 第二十則大力量人·············································································· 81
22. 第二十一則雲門屎?·········································································· 82
23. 第二十二則迦葉刹竿·········································································· 84
24. 第二十三則不思善惡·········································································· 86
25. 第二十四則離?語言·········································································· 89
26. 第二十五則三座說法·········································································· 91
27. 第二十六則二僧卷簾·········································································· 93
28. 第二十七則不是心佛·········································································· 95
29. 第二十八則久響龍潭·········································································· 96
30. 第二十九則非風非幡········································································ 100
31. 第三十則卽心卽佛············································································ 102
32. 第三十一則趙州勘婆········································································ 105

33. 第三十二則外道問佛········································································ 107
34. 第三十三則非心非佛········································································ 109
35. 第三十四則智不是道········································································ 112
36. 第三十五則?女離魂········································································ 113
37. 第三十六則路逢達道········································································ 115
38. 第三十七則庭前柏樹········································································ 117
39. 第三十八則牛過??········································································ 119
40. 第三十九則雲門話墮········································································ 120
41. 第四十則?倒淨甁············································································ 123
42. 第四十一則達磨安心········································································ 125
43. 第四十二則女子出定········································································ 128
44. 第四十三則首山竹?········································································ 131
45. 第四十四則芭蕉?杖········································································ 132
46. 第四十五則他是阿誰········································································ 134
47. 第四十六則竿頭進步········································································ 135
48. 第四十七則兜率三關········································································ 137
49. 第四十八則乾峰一路········································································ 139
50. 結語(後序) ···························································································· 142

 

V. 結論······················································································ 145

 

※ 참고문헌······························································································· 148
※ 국문초록······························································································· 152
※ Abstract ····························································································· 155

 

 

I. 序論

 

1. 硏究의 目的

 

正覺을 목적으로 하는 불교의 수행방법은 실로 다양하다. 그 중에 禪 수행방법은 思惟觀察과 正念에 의한 正知를 기본으로 하는 것이다. 이 것이 시대적 변천에 따라 원래의 것 보다 더 구체화 된 방법으로 변형되고 있다.

 

印度에서 발생된 불교가 중국에 전해지면서 불교의 선 수행방법은 본래의 것과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변형 되었다. 이의 要因은 중국인들의 독특한 생활풍토에 의한 것이며, 또한 불교전래의 서로 다른 경로와 傳法者들이 각기 다른 방법을 전함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중국불교에서 禪의 수행방법이 변형되는 현상은 달마가 중국에 도래하여 법을 전한 이후, 馬祖에서부터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른바 公案禪의 방법이 태동하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에서 불교가 발전하면서 생겨난 여러 敎派가운데 특징적인 宗派로서 禪宗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선종 역시 여러 分派로 갈라진다. 이 과정에서 각기 주장하는 선의 수행방법이 등장한다. 따라서 갈등적 요인이 발생되고 이에 의한 혼란과 부작용 또한 생겨난다. 이로 인하여 선 수행자들의 생활에 퇴보와 타락상이 나타났다. 특히 看話禪의 수행방법에 자료가 된 公案集이 만들어 진후, 부정적인 문제가 등장하고 있다. 즉 간화선의 수행방법이 實參實修로 발전하기 보다는 학문적 측면의 理論化가 나타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간화선의 수행에 있어서 공안집에 따른 부정적인 문제의 요인을 찾아보고, 간화선 수행방법에 대한 문제의 해결을 기하고자함에 그 목적을 두기로 한다. 이를 위하여 중국불교의 전래초기와 선종의 형성 및 발전기의 선 수행방법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선종 쇠퇴기에 간화선 수행방법이 정립된 배경과 이에 대한 인식의 오류를 살펴 그 개선점을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간화선의 수행방법으로서『無門關』의 효용성과 그 가치를 조명하여, 간화선의 수행방법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拂拭시키는 새로운 轉機가 되게 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無門關』四十八則의 본문을 譯註하고 略解함으로서 간화선 수행방법의 효과를 最大化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2. 硏究範圍와 方法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선 수행방법과『無門關』번역본 대조를 중심으로 하고, 이와 함께 그 기본적인 것과 시대적 상황에 의해 변형된 선 수행방법에 관한 것을 1차적인 범위로 설정하고자 한다. 그리고 중국불교 선종의 간화선 수행방법이 개발된 역사적?시대적 배경과 그 과정에 대한 것을 2차 범위로 하고, 여기에 중국 선종의 수행방법이 변형되는 과정에 관련 된 부분을 포함하기로 한다. 또한『無門關』에 나타난 간화선 수
행방법의 실천방식을 연구하기 위하여『無門關』四十八則의 본문에 대한 飜譯과 註解에 관한 것을 3차 범위로 한정하고자 한다.

이에 필요한 자료의 범위는 원시불교의 경전과 대승불교의 경전 및 논서,그리고 중국불교의 선종에 관련된 典籍들 중에 선의 수행방법을 언급하고 있는 것과, 기존의『無門關』번역 본을 중심으로 설정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1차적으로 선의 수행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佛典중에서 기본적인 것과, 변형된 부분들에 관한 것을 고찰하고, 그리고 중국불교의 전래초기와 선종의 형성기에서 쇠퇴기까지의 선 수행방법이 변형된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간화선 수행방법이 정립된 배경을 살펴보고 간화선 수행방법에 대하여 실천상의 문제점 등을 고찰하여 그 문제의 개선점을 찾아보기로 한다.

 

2차적으로는『無門關』에 나타난 無門慧開의 禪思想과 그가 主唱한 실천방식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無門關』四十八則을 역경방법 연구의 차원에서 본문을 현토하여 한글로 直譯하고 기존의 번역본을 대조하여 註解하고, 그리고 본 논문에 인용되는 근거자료 중에 漢典의 것은 그 본문을 현토하고 한글직역 방식으로 번역하여 本論과『無門關』주해에 게재하고자 한다. 또한 원전이 있는 것은 번역시에 대조하고 필요한 부분은 각주에 게재하고, 본 논문에서 번역하는『無門關』은 현존하는 大藏經중에서 大正藏과 卍續藏, 佛光藏에 수록되어 있다.이 중에서 佛光藏本을 底本으로 하고 大正藏本과 卍續藏本을 대조하여 그 相異點을 주해에서 밝히고자 한다.

 

 

II. 禪修行方法과 中國禪宗의 看話禪修行方法

 

1. 禪修行方法의 基本

 

불교에서 說示한 禪수행방법의 기본은 坐禪思惟와 正念觀察로 요약하여 생각 할 수 있다. 좌선사유는 專精思惟,1) 靜意思惟,2) 專精一心3)등으로 표현되는 것으로서, 부처님이 說한 법에 대하여 바르게 생각하고 바르게 알 수 있도록 고요한 자리에 앉아서 思惟하는 것이다. 그리고 정념관찰은 부처님이 설한 법의 내용에 대하여 올바른 생각을 가지고 관찰하여 마음이 번뇌의 속박으로부터 해탈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것을 경전에 설해진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1) 大正藏2, 3下2(雜阿含經第17經).
2) 大正藏1, 15中28(長阿含經卷第2, 遊行經第2).
3) 大正藏2, 581下12(增一阿含經卷第7, 安般品第17-1).

 

 

1) 坐禪思惟

 

좌선에 있어서 사유의 내용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처님이 설한 법 중에서 어느 한 가지를 선택하여 사유하는 것이다. 이를 念法이 라고도 한다. 그 예를 들면 雜阿阿含經에 다음과 같이 설해진 것을 볼 수 있다.

 

"爾時에 世尊이 告諸比丘하사대 我欲二月坐禪하나니 諸比丘는 勿復往來하라
- 中略-

爾時에 世尊이 坐禪二月過已에 從禪覺하시고 於比丘僧前坐하사 告諸比丘하사대 若諸外道出家하야 來問汝等호대 沙門瞿曇은 於二月中에 云何坐禪고어던 汝應答言호대 如來二月에 以安那般那4)念으로 坐禪思惟住라하라"

 

"저 때에 세존이 모든 비구들에게 일러 말씀을 하시되, 내가 두 달 동안 좌선을 하고자 하나니 모든 비구들은 다시 왕래하지 말라.

- 중략 -

저 때에 세존이 두 달이 지나서 좌선을 마침에 禪으로부터 깨어나시고 比丘僧들의 앞에 앉으사 모든 비구들에게 알려 말씀하시되, 만약 모든 외도가 출가하여 너희들에게 와서 묻기를 沙門瞿曇은 두 달 동안 어떤 좌선을 하였는가 하거든 너희들은 응답하여 말하되, 여래는 두 달동안에 ‘安那般那’를 염하는 것으로 좌선의 사유에 머물렀다고 하라."5)

4) 安那般那는 (P.)?n?p?na의 音譯으로 安般이라고도 하며, 入出息이라 번역한다. 이 安那般那念을 數息觀이라 한다.

5) 大正藏2, 207上9-16(雜阿含經卷第29, 第807經).

 

이 염법은 雜阿含經뿐만 아니라. 增一阿含經卷第7.「十念品」第2.와 同卷第2.「廣演品」第3. 同卷第7.「安般品」第17之1. 등에 ‘安般’ 이라는 이름으로 상세하게 설하고 있다. 이 安般念法은 增一阿含經에서 설하는
十種念法중의 하나이다. 좌선사유의 염법은 정념관찰과 연관된다. 이른바 四念處觀法으로 설명되는 것이다. 雜阿含經에서 설하고 있는 것을 보면 다음과 같다.

 

 

"時에 尊者阿那律이 獨一靜處에 禪思思惟하며 作是念호대 有一乘道하야 淨衆生하며 離憂悲惱苦하야 得眞如法하나니 所謂四念處라 何等爲四오 身身觀念處요 受心法法觀念處라

때에 尊者阿那律이 홀로 한 고요한 곳에서 좌선으로 사유하며 이런 생각을 하되, 一乘의 道가 있어서 중생을 깨끗하게 하며 근심, 슬픔, 번뇌, 괴로움이 떠나게 하여 진여의 법을 얻게 하나니, 이른 바 네 가지 念處라. 어떤 것이 네 가지인가? 몸을 몸으로 관찰하는 것을 생각하는 것이요. 受와 心과 法을 法으로 관찰하는 것을 생각하는 것이다."6)

6) 大正藏2, 139上19-23(雜阿含經卷第9, 第535經).

 

 

이처럼 존자아나율이 좌선하면서 四念處觀을 사유한 것을 전하고 있다. 여기에서 가장 본질적인 것은 念과 觀이다.7)

7) 崔玄覺譯註, 『禪의 길 』, p.41 참조.

 

 

2) 正念觀察

 

선의 수행에 있어서 또 하나의 기본이 되는 것은 正念에 의한 관찰방법이다. 여기에서 正念은 선의 수행에 있어서 사유의 대상, 또는 사유의 내용에 대하여 바르게 생각하고 항상 기억하여 잊지 않는 것이다. 原始
佛敎의 수행법인 八正道의 하나이기도 한 이 正念은 관찰의 힘을 예민하게 하며 正思惟와 正見을 돕는 것이다. 올바른 사고와 內省은 인간의 正念에 의해서 조절되어진다.8)

8) 崔玄覺, 앞의 책, p.41 참조.

 

이러한 正念을 통한 관찰을 正觀이라 하고, 이 正觀에 의하여 깨달음을 완성한 사람이 되고 마음의 해탈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 正念觀察을 하는데 있어서 원시불교에서는 어떤 것을 관찰의 내용으로 하는가?
雜阿含經(漢譯)에서 설하고 있는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爾時에 世尊이 告諸比丘하사대 當觀色無常이니 如是觀者가 則爲正觀이니라 正觀者는 則生厭離하고 厭離者는 喜貪盡하며 喜貪盡者를 說心解脫이니라 如是觀受想行識無常이니

저 때에 세존이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시되 마땅히 色의 無常함을 관찰하는 것이니, 이와 같이 관찰하는 것이 곧 올바른 관찰이 되는 것이니라. 바르게 관찰하는 이는 곧 싫어하여 떠날 마음이 생기고, 싫어하여 떠나는 이는 기꺼이 탐착을 없앨 것이며, 기꺼이 탐착을 없애는 이를 마음이 해탈하였다고 말하느니라. 이와 같이 受와 想과 行과 識의 무상함을 관찰하는 것이니."9)

9) 大正藏2, 1上4-7(雜阿含經卷第1, 第1經), SN. Vol.III, p.21, 6-17 : Evam me suta?.S?vatthiya?. Tatra kho R?pam bhikkhave anicca? pe... Vedan? anicc? Sa??? anicc?Sa?kh?r? anicc? Vi????a? anicca?. Evam passam bhikkhave sutav? ariyas?vakor?pasmimpi nibbindati Vedan?ya pi nibbindati. Sa???ya pi nibbindati. Sa?kh?resu pinibbindati. Vi???nasmim pi nibbindati. nibbinda? virajjati vir?g? vimuccativimuttasmi? vimuttam iti ???a? hoti. Kh??? j?ti vusita? brahmacariya? kata?kara??ya? n?param itthatt?y?ti paj?n?t?t.

 

이 설법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정념관찰의 내용으로 五蘊의 無常함을 관찰할 것을 설하고 있다. 그리고 수행자가 五蘊無常觀을 해야 하는 이유와 결과에 대하여 雜阿含經에서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다.

 

"佛言하사대 善哉善哉라 比丘야 汝於我略說法中에 廣解其義니라 所以者何오 色者는 非汝所應이니 宜速斷除니라 如是受想行識도 非汝所應이니 宜速斷除니라 斷除已하면 以義饒益하야 長夜安樂하나니라

- 中略-

時彼比丘는 成阿羅漢하야 心得解脫하니라

 

부처님이 말씀하시되, 훌륭하다. 비구들아! 너희들이 내가 설한 법 가운데서 그 뜻을 널리 이해하여야 하느니라. 所以가 무엇인가? 色이라는 것은 너희들이 응할 바가 아니니, 마땅히 속히 끊어 없애야 할 것이니라. 이와 같이 受와 想과 行과 識도 너희들이 응할 바가 아니니, 마땅히 속히 끊어 없애야 할 것이니라. 끊어 없애면 그 義로서 饒益하여 長夜가 편안하고 즐겁나니라.
- 중략 -

그 때에 저 비구들은 아라한을 성취하여 마음의 해탈을 얻으니
라."10)

10) 大正藏2, 3下18-27(雜阿含經卷第1, 第17經).

 

이와 같이 五蘊無常觀에 대한 실천과 결과를 설하고 있다. 이 내용을 요약하면 오온의 무상을 바르게 관찰함으로서 오온에 속박된 마음이 해탈되게 하는 것이다. 이 無常觀法은 앞에서 살펴본 念法과 함께 원시불교에서 說示한 선 수행방법의 기본이라 생각된다. 이제까지 살펴본 바의 坐禪思惟와 正念觀察에서의 念法과 觀法등은 불교의 발전과 시대적 변형의 과정을 거치면서 구체화 되었고, 대승불교의 선 수행방법에 계승된 것으로 보여 진다. 대승불교의 경전에서 설하고 있는 선 수행방법에 관한 것을 살펴보면 염법과 관법 등이 누차 언급되고 있다. 유식학파의 초기경전인『解深密經』에서의 例를 보면 다음과 같다.

 

 

"卽於如所善思惟法이면 獨處空閑하야 作意思惟하며 復卽於此能思惟心이 內心相續하야 作意思惟니라

如是正行이 多安住故로 起身輕安及心輕安하나니 是名奢摩他니라

만약 잘 사유하는 바의 법으로 나아가려면 홀로 한가한 곳에서 뜻을 지어 사유하며, 다시 곧 능히 이 마음으로 사유하는 것이 마음 안에서 이어져서 뜻을 지어 사유 하는 것이니라.

이와 같이 바르게 행하는 것이 많이 편안히 머무는 까닭으로 몸이 가볍고 편안하며 마음도 가볍고 편안함을 일으키나니,이것을 사마타라 이름 하는 것이니라."11)

11)『解深密經』卷第3,「分別瑜伽品」第6(大正藏16, 698上4-8).

 

 

이처럼 坐禪思惟의 방법을 奢摩他(?amatha)라고 부르고 있다. 다음은『菩薩瓔珞經』에서 설하고 있는 관법의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若坐禪時에 便自觀身하야 起不淨想이니 便自思惟호대 ?我此身은 爲磨滅法이로다 一意一念으로 唯知不淨이요 未能知其所趣니라

만약 좌선 할 때에는 문득 자기의 몸을 관찰하여 깨끗하지 못한 것이라는 생각을 일으켜야 하는 것이니, 문득 스스로 사유하되 ‘아! 나의 이 몸은 마멸되는 법이로다!’ 한 뜻과 한 생각으로 오직 깨끗하지 못한 것을 알뿐이요, 능히 취향 할 바는 알지 않는 것이니라."12)

12)『菩薩瓔珞經』卷第5,「無量品」第17(大正藏16, 45下9-12).

 

 

여기서는 사념처관법 중에서 身不淨觀法을 언급하고 있다. 이것은 원시불교의 관법과 같은 유형이라는 것을 부정하기 어렵다. 그러나『妙法蓮華經』의 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설하고 있다.

 

 

"常好坐禪호대 在於閑處하야 修攝其心이니

- 中略-

安住不動하야 如須彌山하고 觀一切法이 皆無所有니 猶如虛空하야 無有堅固하며

 

항상 좌선하기를 좋아하되 한가한 곳에 있으면서 그 마음을 거두어 닦는것이니,

- 중략 -

편안히 머물고 움직이지 않아서 수미산과 같게 하고 一切法이 다 소유할 것이 없나니 마치 허공과 같아서 견고한 것이 없는 것임을 관찰하며......"13)

13)『妙法蓮華經』卷第5, 「安樂行品」第14(大正藏9, 37中10, 下17-19).

 

 

이것은 일체법이 無常하고 空한 것임을 관찰 할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般若經』의 空觀法이 수용된 것이라 할 수 있다.『大般若波羅蜜多經』卷第414 第2分「念住等品」第17-1과,『八十卷華嚴經』卷第36「十地品」第26-3에도 사념처관법에 대한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들이 坐禪思惟와 正念觀察에 관련 된 내용을 설명하는 것이며, 여기서 말하는 염법, 관법 등은 원시불교와 대승불교의 공통된 선수행방법의 기본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이것은『大乘起信論』,『成實論』등에서는 止觀法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2. 中國佛敎禪宗의 形成과 禪修行方法

 

불교의 선 수행방법이 중국에 전해지면서 새롭게 변형되고 발전한 것이 중국 선종의 선 수행방법이다. 중국에 선 수행방법이 전해진 것은 安世高와 같은 譯經師들이 선 수행 관련 경전들을 번역하면서 시작된 것이다.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 초기(後漢에서 魏?吳時代까지)의 習禪者들이 실천한 선 수행방법에 대하여는 확실한 근거를 찾기 어렵다. 다만 원시 불교의 경전에서 說示한 선 수행방법에 의하여 실행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後漢時代安世高가『修行道地經』,『安般守意經』,『禪法經』등을 번역하였고,14) 魏?吳시대에는 支謙, 康僧會등이 역시『不淨觀經』,『坐禪經』등을 번역하였음으로15) 이것을 근거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불교 전래 초기 이후에 계속되는 역경사업에 따라 원시?대승의 많은 경전들이 西晋時代에 竺法護, 道眞등에 의하여 번역되면서16) 禪 수행방법도 대승불교의 선 수행방법으로 전환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求那跋陀羅가『楞伽阿跋多羅寶經』(/『楞伽經』)『相續解脫了義經』(/『解深密經』) 등을 번역함으로서 중국불교에서 선 수행방법은 더욱 발전하여 종전보다 확고한 방법으로 정립되고 실천되어 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 대하여는『高僧傳』과『歷代三寶紀』17) 등에서 이에 관련된 내용들을 볼 수 있다. 그리고 苧坂光龍, 柳田聖山, 金東華, 鄭性本과 같은 기존의 선학관련 학자들의 일반적인 견해18)이기도 하다.

 

14)『歷代三寶紀』卷第4, 「安世高篇」, 高麗大藏經31, 504上1, 15, 505上6.
15)『歷代三寶紀』卷第5,「支謙篇」, 高麗大藏經31, 514上22, 同,「康僧會篇」, 高麗大藏經31,51下20.
16) 竺法護는 『首楞嚴經』등을 번역하고, 道眞은 『十住經』등을 번역하였다. 『歷代三寶紀』卷第6, 高麗大藏經31, 520下11, 525上1.
17) 『高僧傳』卷第3, 求那跋陀羅篇, 高麗大藏經32, 795上5, 10-11.『歷代三寶紀』卷第10, 求那跋陀羅篇, 高麗大藏經31, 560中23, 下11.
18) 苧坂光龍, 「中國における禪の展開」,『講座禪』第3卷「禪の歷史-中國-」, 筑摩書房,1956, pp.110-111,
柳田聖山, 「中國禪宗史」,『講座禪』第3卷「禪の歷史-中國-」筑摩書房, 1956, p.8, 金東華,『禪宗思想史』, 寶蓮閣,1985, pp.71, 73, 鄭性本,『선의 역사와 사상』, 2000,p.138 참조,

 

 

1) 선종의 형성초기와 발전기

 

禪은 인도에서 발생했지만, 禪宗은 중국에 와서 비로소 독자적인 역사적 형성을 이룩한다.19) 중국에 선종이 형성되는 것은, 달마가 중국에와서 壁觀이라는 禪의 수행방법을 傳함으로부터 시작한다. 달마가 선수행방법으로 壁觀法을 전한 것에 대하여는『續高僧傳』에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

 

 

"令捨僞歸眞인댄 疑(擬)住壁觀이니 無自無他하고 凡聖等一에 堅住不移하고 不隨他敎니라

하여금 거짓됨을 버리고 참됨으로 돌아가려 할진대, 벽관에 안정히 머무는 것이니 자기도 없고 남도 없고 범부와 성인이 평등하여 하나 되는 것에 견고하게 머물러 옮기지 않게 하고 다른 가르침을 따르지 않는 것이니라."20)

20)『續高僧傳』16, 「習禪章」,「菩提達摩傳」(高麗大藏經32, 1090上3, 大正藏50, 551下9-11)의 疑住壁觀에 疑字가 大正藏本에는 擬字와 같다는 註의 기록이 있고, 『楞伽師資記』에는 凝字로 하고 있다.

 

 

또『楞伽師資記』의「第二祖達摩章」에도 같은 요지의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若也捨妄歸眞인댄 凝住?(壁)觀이니 自他凡聖等一에 堅住不移하고 更不隨於言敎니라

만약 망령됨을 버리고 참됨으로 돌아가려 할진대 벽관에 굳게 머무는 것이니, 자기와 남과 범부와 성인이 평등하여 하나라는 것에 견고하게 머물러 옮기지 않게 하고 다시 말로 가르치는 것을 따르지 않아야 하나니라."21)

21) 大正藏85. 1285上14-15.

 

 

이와 같이 壁觀의 요점을 설명하고 있다. 벽관이란 벽을 향하여 좌선하는 것, 또는 벽과 같이 조용히 마음을 內省하는 것을 의미 한다.22)『摩訶止觀』에서는 이것을 壁定이라고도 표현하고 있다.23) 이 벽관 법은 달마 이후 道信에 이르러 좀 더 구체화 되었다. 도신은『般若經』의 空觀法을 중심으로 선 수행방법을 말하고 있다. 『楞伽師資記』에 보이는 도신의 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2)『佛敎大辭典』上, p.864 참조.
23)『摩訶止觀』卷第5上(大正藏46, 58上18-19) : 止是壁定八風惡覺所不能入

 

 

"若初學坐禪時는 於一靜處에 眞觀身心이니 四大五蔭과 眼耳鼻舌身意와 及貪嗔癡와 爲善若惡과 若怨若親과 若凡若聖과 及至一切諸狀을 應當觀察호대 從本以來空寂하야 不生不滅하며 平等無二하고 從本以來無所有하야 究竟寂滅이며 從本以來로 淸淨解脫이니라 不問晝夜하고 行住坐臥에 常作此觀이니라

만약 처음으로 좌선을 배울 때는 한 고요한 곳에서 참답게 몸과 마음을 관찰할지니 사대와 오음과 눈, 귀,코, 혀, 몸, 뜻과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과 선과 악과 원수와 친한 이와 범부와 성인과 모든 현상(법)에 이르기까지를 응당히 관찰하되, 근본으로 쫓아오면 공적하여 나지도 않고 멸하지도 않으며 평등하여 둘이 없고, 근본으로 쫓아오면 있는 바가 없어서 구경의 적멸이며 근본을 쫓아옴으로 청정한 해탈이니라. 밤낮을 묻지 말고 행하거나 머물거나 앉았거나 누웠거나 항상 이것을 관찰할지니라." 24)

24)『楞伽師資記』,「第5祖道信章」(大正藏85, 1288下12-18).

 

 

이와 같이 도신은 좌선의 방법으로 몸과 마음을 관찰하되 모든 행위와 현상이 본래 공적하여 평화로운 것이며 본래 청정한 해탈인 것을, 언제 어디서나 항상 관찰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좌선의 기초적인 방법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初學坐禪看心에 獨坐一處호대 先端身正坐하야 寬衣解帶하고 放身縱體하며 自按摩七八飜하야 令心腹中?氣出盡하면 卽滔然得性하야 淸虛恬淨하나니라.

처음으로 좌선하여 마음을 보는 것을 배울 때는, 홀로 한 곳에 앉으되 먼저 몸을 단정히 하여 바르게 앉아서 옷이 느슨하도록 허리띠를 풀고 몸을 늘어지게 놓으며 스스로 안마를 일곱 여덟 번을 하여 가슴과 뱃속의 기를 목구멍으로 다 나오게 하면, 곧 물 흐르듯이 성품을 얻어서 맑고 편안하여 깨끗하게 되나니라." 25)

25)『楞伽師資記』, 「第5祖道信章」(大正藏85, 1289上9-12).

 

 

달마가 전한 선 수행방법이 이와 같은 道信의 공관에 입각한 看心法으로 바뀌고, 이것이 弘忍을 거쳐 慧能에게 전수되었으나, 혜능과 神秀가 각기 남?북으로 갈라 지면서 서로 다른 주장을 하게 되어 선종이 완전한 형성을 보기도 전에 분열의 모습이 나타났다.

이후 중국의 선종은 달마를 초조로 하고 있지만, 선종이라는 宗派로서의 완전한 성립은 馬祖와 그 직계 문하인들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26) 마조의 문하에서 많은 제자들이 탄생되고 이들의 활동에 의하여 중국 선종은 발전기가 시작된다. 이 때 마조가 가르친 선 수행방법은 앞에서 살펴본 도신의 평등사상과 本來淸淨說을 수용하여 본래 청정인 평상심을 지킬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관한 것을『馬祖錄』에서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26) 朴文基,『臨濟義玄의 禪思想硏究』(博士學位論文, 東國大學校大學院, 1993.), p.56 참조.

 

 

"又問호대 作何見解하야 卽得達道닛가 祖曰호대 自性은 本來具足이니 但於善惡事中不滯하면 喚作修道人이니라

또 묻기를 어떤 견해를 지어야 곧 도에 통달함을 얻나니까? 祖가 가로되 자기의 성품은 본래 구족한 것이니, 다만 선과 악의 일에 막히지 않으면 수도를 닦는 사람이라 부를 것이니라." 27)

27)『西江馬祖道一禪師語錄』(卍續藏119, 811上14-16).

 

 

마조는 ‘선과 악에 관련된 일에 막히지 않는 사람을 修道人이라 부른다’고 정의하고 다음과 같은 수행방법을 제시한다.

 

 

"道不用脩니 但莫?染이니라 何爲?染고 但有生死心으로 造作趨向이 皆是?染이니 若欲直會其道인댄 平常心是道니라 何謂平常心고 無造作하고 無是非하며 無取捨하고 無斷常하며 無凡無聖이니라.

도는 닦음을 쓰지 않는 것이니 다만 더럽혀지지 않게 할지니라. 어떤 것을 더럽혀지는 것이라 하는가? 다만 생사의 마음으로 조작하고 趨向하는 것이 모두 더럽혀지는 것이니, 만약 곧 바로 그 도를 알고자 할진대 평상의 마음이 도이니라. 어떤 것을 평상의 마음이라 하는가? 조작이 없고, 시비가 없으며, 취하고 버림이 없고, 단상이 없으며, 범부도 없고 성인도 없는 것이니라. "28)

28)『西江馬祖道一禪師語錄』(卍續藏119, 812上6-8).

 

 

이처럼 도를 닦는 사람은 본래 청정의 자기 성품이 더럽혀지지 않도록 平常心을 지킬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 평상심은 평소에 지켜야 할 마음으로서 본래로 차별인식을 초월한 平等淸淨心을 뜻하는 것이다. 마조가 제자들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사용한 방법들 중에서 문답의 내용들은 후대에 公案의 자료가 되고 있다. 이러한 마조의 선 수행방법은 百丈에게 이어진 것을 볼 수 있다.『勅修百丈淸規』卷第5「坐禪儀」에 다음과 같은 설명을 하고 있다.

 

 

"放捨諸緣하고 休息萬念하야 身心一如動靜無間이니라 量其飮食하고 調其睡眠하며 於閒靜處에 厚敷坐物하고 結跏趺坐나 或半跏趺坐하고

- 中略-

一切善惡을 都莫思量이니라 念起卽覺하야 常覺不昧不昏不散하고 萬年一念하야 非斷非常이니 此坐禪之要術也니라.

모든 인연을 놓아버리고 만 가지 생각을 쉬어서 몸과 마음이 한 결 같아 動靜에 間隔이 없게 하는 것이니라. 음식을 헤아리고 수면을 조절하며 한가하고 고요한 곳에 앉는 물건을 두껍게 펴고 가부좌나 혹은 반가부좌를 맺고
- 중략 -

모든 선과 악을 모두 생각하지 말지니라. 생각이 일어나면 곧 깨달아서 항상 昧하지 않고 혼침하지 않으며 산란하지 않게 하고, 한 생각에 萬年이 되게 하여 끊어지지도 않고 항상 하지도 않게 하는 것이니 이것이 좌선의 요긴한 길이니라. " 29)

29) 大正藏48, 1143上5-8, 12-14.

 

 

百丈은 이처럼 선 수행방법의 자세와 요점을 설명하고 있다. 마조를 이은 백장의 선 수행방법은 黃蘗에 이르러 直下無心의 방법으로 표현되고 있다. 황벽의『傳心法要』에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但直下無心하면 本體自現하야 如大日輪이 昇於虛空하야 遍照十方호대 更無障?니라

다만 곧 바로 무심하면 본체가 스스로 나타나서 마치 큰 해가 허공에 떠올라서 온 세상을 두루 비치되 다시는 장애가 없는 것과 같나니라." 30)

30)『黃蘗山斷際禪師傳心法要』(大正藏48, 380中28-29).

 

 

이처럼 당장(直下)에 無心하면 본체가 드러나는 것이라고 선의 수행 방법을 간단명료하게 말하고 있다. 이 無心의 방법은 唐代선종의 발전기에 유행했던 선의 수행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2) 看話禪의 修行方法의 定立背景

 

唐의 멸망에 뒤이은 혼란과 분열과 전쟁의 반세기는 960년 한족계 왕족인 宋의 통일로 종결 되었다. 그러나 송대에 전개되었던 불교는 隋?唐代와 비교해 볼 때 여러 측면에서 다르다는 점을 분명히 지적할 필요가 있다. 唐代에 흥기한 여러 종파들 가운데 송대에는 선종과 淨土宗만 살아남았다. 唐과 비교해 볼 때 寺院의 수가 더 많아졌고, 僧團의 경제적 활동도 더욱 더 광범위해졌음은 사실이지만 玄?이나 法藏, 智?처럼 뛰어난 승려가 아무도 없었다. 어떤 새로운 종파도 나타나지 않았고 그리고 어떤 중요한 경전도 번역되지 않았다. 그렇듯 다양한 思想體系를 산출해 낸 前時代의 교단 안에 응집되었던 知的활동이 송대에는 거의 눈에 띄지 않았다.31) 845년 법난에서 살아남아 송대에도 활동적인 모습을 유지한 종파는 선종과 정토종이었다. 선종은 여전히 매우 활동적이고 대중적이었지만 內的퇴보의 徵候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唐의 禪師들은 제왕이 주는 것을 거부하고 받지 않았다. 그러나 송대에 이르러서는 그들은 정치에 손을 대기 시작하였다. 이로 인하여 승려들의 자질이 저하되었다.32) 그럼에도 불구하고 송대에는 大藏經의 조판과 인쇄가 대규모로 이루어진 것은 특이할 만한 사실이다.

31) K. S. 케네스 첸. 박 해당 옮김, 『中國佛敎』下, p.425 참조.
32) K. S. 케네스 첸. 박 해당 옮김, 앞의 책, p.438 참조.

 

 

선종에서는 道原이『禪宗傳燈錄』을 지어, 勅書에 의하여『景德傳燈錄』이라는 이름으로 大藏經에 편입시켰다. 이『傳燈錄』의 출현으로 송대의 선종은 새로운 전환기를 맞게 되는데 頌古文學의 발전과 간화선의 형성을 초래하게 된다.33) 그리고 선종의 강조점에 변화가 일어난다.
唐代의 선사들은 문헌이나 언어를 전혀 강조하지 않았으나, 송대에는 文字에 대한 중국인들의 존경심이 다시 드러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서 선 수행에 있어서 實參實修가 아닌 文字禪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碧巖錄』이나 여러 禪師들의 어록을 편찬한데서 비롯된 것이며 선종의 내적 발전을 문자선의 방향으로 이끌었다고 할 수도 있다.

 

과거의 禪師들은 자신의 노력을 통하여 자발적으로 깨달음을 얻었으나 후대에는 승려들의 자질이 저하되면서 그런 자발적인 힘이 모자랐으며, 깨달음을 이루는데 필수적인 보조물로서 公案에 대한 연구에 의존하게 되었다. 따라서『碧巖錄』과 같은 공안집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선수행은 체계화 되고 형식적인 기술이 되었다. 이렇게 볼 때 선종은 퇴보하였다고 말 할 수 있다.34) 여하튼 宋代의 선은 의식적인 문자의 공부와 마음의 수양으로 나아가지 않을 수 없었다. 宋代의 선을 특정지우는 간화선은 이러한 요구로부터 생겨난 것이다.35) 그러므로 문자선의 방향으로 흘러가며 형식화되는 선 수행의 행태를 개선하기 위한 자구책으로 간화선이 정립된 것이라 할 수 있다.

 

33) 金正淑(淨雲).『看話禪의 無字公案硏究』(碩士學位論文, 東國大學校大學院,1998),pp.6-7 참조.

34) K. S. 케네스 첸. 박 해당 옮김, 앞의 책, p.439 참조.
35) 柳田聖山. 안 영일 역, 『禪의 思想과 歷史』, p.254 참조.

 

 

3) 看話禪修行方法의 問題點과 改善點

 

간화선이란 용어는 송대 말기에 臨濟宗의 楊岐派에 大慧宗?의 一派가 공안을 참구하는 것에 진력하고 禪機를 쓰는 것에만 치중한 것을 曹洞宗의 宏智正覺의 일파가 비난하여 한 말이다. 이후에는 이 말이 변하여 단지 임제종의 수행법을 지칭하는 말로 쓰고 있다.36) 선 수행방법으로 공안을 사용하는 이른 바 간화선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일반적으로 대혜종고에 의해서라 하고 있다.

 

이것은 汾陽善昭가 모범 例의 백칙을 조직하고, 雪竇重顯이『頌古百則』을 편집하였으며, 圓悟克勤이『碧巖錄』을 편집하였다. 그리고 대혜종고가 제자들에게 하나의 공안을 읽혀서 철저하게 생각해 내는 것을 구하는 방법을 취한 것이 대혜가 완성한 간화선이라고 하는 것이다.37)
이것이 대혜가 간화선 수행법을 완성시켰다고 하는 하나의 例이다. 그러나 이미 여러 공안집이 만들어 졌음을 볼 때 대혜 이전에 공안 참구의 간화선 수행법이 유행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대혜는 이것을 새롭게 정립한 것이라 보는 것이 타당하리라 생각된다.

 

36)『佛敎大辭典』上, 弘法院, p.30 참조.
37) 黃秉國, 『老莊思想과 中國의 禪宗』, p.217 참조.

 

 

선 수행의 방법으로 공안을 제시하고 이것을 참구하게 한 것은『祖堂集』(952년)이 편집된 이후부터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馬祖를 중심으로 그 문하들에게서 본격적으로 공안의 제시가 행하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五祖法演과 大慧宗?가 강조한 공안 중에서 조주의 무자공안에 대한 참구를 처음으로 말한 것은 黃蘗斷際로 생각할 수 있다.『黃檗禪師宛陵錄』上堂法門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보인다.

 

 

"若是個丈夫漢인댄 看個公案이니 僧問趙州호대 狗子還有佛性也無잇가 州云 無라하니 但去二六時中에 看個無子하야 晝參夜參호대 行住坐臥어나 著衣吃飯處나 阿屎放尿處에 心心相顧호대 猛著精彩하야 守箇無子하라 日久月深하면 打成一片하리라

만약 사나이 장부라면 공안을 볼 것이니, 僧이 조주에게 묻되 ‘개에게도 불성이 있나이까? 없나이까? 州가 없나니라?’ 하였으니 다만 열두 때 가운데서 無字를 보아 밤낮으로 참구하되 행하거나, 머물거나, 앉거나, 눕거나, 옷을 입거나, 밥을 먹는 곳이거나, 똥 누고 오줌을 누는 곳에 마음마다 돌아보되 용맹히 정신을 빛나게 하여 무자를 지키라. 날이 오래되고 달이 깊어 가면 하나가 되리라." 38)

38)『黃檗斷際禪師宛陵錄』(嘉興大藏經9, 471中18-22, 大正藏48, 387中3-8).

 

 

이러한 내용은 雲棲?宏이 편집한『禪關策進』에도 기록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宏은 이 내용에 대한 평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此後代提公案이니 看話頭之始也라

이것은 후대에 공안으로 제시한 것이니 화두를 보는 시초이다." 39)

39)『禪關策進』, 「筠州黃檗運禪師示衆」(大正藏48, 1098中6).

 

 

그러나 이 점은 역사적 사실을 좀 더 고찰해 보아야 할 부분이라고하는 의견40)이 있어 앞으로의 연구과제로 둔다. 공안을 참구하는 간화선의 수행방법은 공안으로 제시된 화두를 선정하고, 선정된 화두에 대하여 큰 疑情을 일으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 疑情을 얼마 동안 지속시켜 삼매에 들게 하는 것이다. 袁州雪巖欽禪師의『普說』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40) 金正淑(淨雲), 앞의 책, p.41 참조.

 

 

"參禪은 須是起疑情이라 小疑小悟하고 大疑大悟하나니 被州說得著하야 便改了話頭니라 看箇乾屎?호대 一味로 東疑西疑하며 橫看竪看이니라

참선은 모름지기 의정을 일으키는 것이라. 적게 의심하면 적게 깨닫고 크게 의심하면 크게 깨닫나니, 州가 말한 것에 힘입어서 문득 화두로 고처 깨달아야 하는 것이니라. 마른 똥 막대기를 보되 한 맛으로 동쪽에서도 의심하고 서쪽에서도 의심하며, 횡으로도 보고 수직으로도 보는 것이니라. " 41)

41)『禪關策進』,「袁州雪巖欽禪師普說」(大正藏48, 1100中2-4).

 

참선을 하는데 있어서 화두의 참구는 의정을 일으켜야 되는 것임을 말하고 있다.또는 대혜도 서장에서 화두를 의심하는 것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千疑萬疑가 只是一疑니 話頭上疑破하면 則千疑萬疑가 一時破니라

천 가지 의심과 만 가지 의심이 다만 이 하나의 의심이니, 화두 위에서 의심을 깨뜨리면 곧 천 가지 의심과 만 가지 의심이 일시에 깨어지나니라. "42)

42)『大慧普覺禪師書』卷第28, 答呂舍人(居人), 大正藏47, 930上11-12.

 

 

화두의 의심이 깨어지면 모든 의심이 깨어진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간화선에서 사용하는 看字는 선어록에서는 ‘보라’고 하는 의미로 사용한다.44) 따라서 看話에서의 看字를 쓰는 뜻은 ‘화두를 의심하여 보라’고 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간화선 수행방법은 화두에 대한 의정이 일어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간화선의 수행방법에는 몇 가지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있다.

 

첫째는 화두를 선택하는데 따른 문제점이다. 의정이 쉽게 발생되지 않는 화두의 선택은 효용성이 없다. 그러므로 화두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충격적인 의정이 발생되는 것을 선택해야 한다. 이것이 진정한 화두의 선택이다.『高峯大師語錄』에는 화두의 선택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44)『佛敎大辭典』上, p.26 참조.

 

 

"一歸何處는 却與無字로 不同하고 且是疑情易發하야 一擧便有하고 不待返覆이라

하나는 어디로 돌아가는가? 하는 것은 문득 無字로 더불어 같지 않고, 또한 이것은 의정이 쉽게 發生하여 한번 들면 문득 있고 반복함을 기다리지 않는지라. "45)

45)『高峯大師語錄』卷上, (卍續藏122, 656下6-7).

 

 

高峯禪師는 이처럼 의정이 쉽게 발생되는 화두의 선택에 대한 예를 말해 주고 있다. 고봉선사는 처음에 무자 화두를 삼년간이나 철저하게 참구하였으나 의정이 발생되지 않았는데 萬法歸一一歸何處라는 화두로 바꾸어 쉽게 의정이 발생하였다고 한다.

 

두 번째는 화두참구에 대한 인식의 문제이다. 화두를 참구하는데 있어서 조사의 공안을 그대로 기억(念)하는 것이 화두를 참구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은 큰 誤謬를 범하는 것이다.

 

공안은 주체적인 직관의 방법이지 직관의 내용은 아니다.46) 그러므로 화두는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의심하는 것이다. 화두를 의심한다는 것이 어떠한 정신적 상태를 말하는 것인가를 바르게 이해하여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올바른 선정을 닦을 수 없다. 이 점이 간화선 수행의 어려운 점이기도 하다.47) 간화선 수행방법을 실천함에 있어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은 앞에서 언급한 화두의 선택이 잘못된 데서 비롯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제의 개선은 진정한 화두의 선택, 즉 충격적인 의문이 발생하여 가슴속에 맺힐 수 있는 화두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스스로 동기를 유발시켜야 하고 지도자(/선지식)의 올바른 지도를 받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46) 柳田聖山著, 안영길, 추만호 역,『禪의 思想과 歷史』, p.153 참조.
47) 변 상섭, 『禪신비주의인가, 철학인가?』, p.285 참조.

 

 

 

III. 無門慧開의 禪思想과 『無門關』의 著述

 

1. 時代的背景

 

唐과 五代시기동안 일어난 선종의 수행자들과 사대부들 사이의 상호교류가 있은후, 宋代에 이르자 일부의 禪僧들에게 士大夫化되는 현상이 나타난다.48) 그리고 송대의 선습자들은 古則公案들에 대해서, 오직 그것만을 해석하고 실천하며, 감상하고 즐기며, 傳承하는 일에 안주하게 된다.49) 이러한 풍조에 의하여 이 시기의 선종은 이미 철학과 이론상으로 더 이상 발전 할 것이 없게 되었다.

南宋초기에 이르러서는 또 다시 새로운 방식이 나타났다. 大慧宗?를 대표로 하는 간화선과 宏智正覺을 대표로 하는 묵조선이 그것이다.50) 대혜는 자신의 스승인 圓悟의 『碧巖錄』을 불태워 버리고 잘못 되어 가는 공안 참구의 방법을 개선하였다. 이것이 간화선의 수행법 중에서 강조된 무자 공안의 공부방법이다. 이 공부방법이 無門慧開에 의하여 새롭게 정립된다.

 

『無門關』을 저술할 당시의 시대적 상황은 남송의 末期에 이르러 그 국력이 점차 衰微함에 따라 厭世思想의 ?頭를 보이고, 念佛淨業의 法門은 禪界에까지 영향을 주는 등, 적어도 발랄한 見性經驗으로 살아가는 선계의 풍조는 기울어졌다는 것은 명백하다. 無門和尙의 출현과『無門關』의 간행과는 이러한 역사적, 사회적 여건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것에 커다란 과제를 안고 있다.51)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무문은 대혜가 구체화한 간화선 수행방법이 선 수행자들에게서 잘못 실천되고 있는 것을 바로잡고자 하는데 그 의도가 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간과해서는 아니 될 것으로 본다.

 

48) 曷兆光,『禪宗과 中國文化』, p.68 참조.
49) 柳田聖山著, 안영길?추만호 역,『禪의 思想과 歷史』, p.250 참조.
50) 曷兆光,『禪宗과 中國文化』, pp.98-99 참조.
51) 柴山全慶,『訓註無門關』, pp.5-6 참조.

 

 

2. 無門慧開의 禪修行

 

無門은 萬壽月林에게 無字화두를 참구할 것을 명령받고 육년간을 혼신의 힘을 기우려 깨달음을 얻고 월림의 법을 이었다.『五燈會元續略』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杭州黃龍無門慧開禪師는 杭州梁氏子라 參月林하야 看無字話호대 六年無省이라 乃奮志剋責誓曰호대 若去睡眠이면 爛却我身하리라 一日에 在法座邊立이러니 忽聞齋鼓聲하고 有省이라

 

항주의 황룡무문혜개선사는 항주양씨의 아들이다. 월림에게 참학하여 무자의 화두를 보되 육년동안 깨달음이 없는 지라. 이에 뜻을 분발하여 엄히 책망하고 맹서하되, 만약 잠을 자면 나의 몸을 문드러지게 하리라. 하루는 법회 자리가 있어 옆에 섰더니 홀연히 齋올리는 북소리를 듣고 깨달음이 있었다."52)

52) 『五燈會元續略』,「萬壽觀禪師法嗣章」(卍續藏138, 906上10-12).

 

 

이러한 내용은『五燈嚴統』과『增集續傳燈錄』에도 기록되어 있다.
『增集續傳燈錄』에 의하면 無門은 月林和尙에게 無字화두를 공부하라는 가르침을 받고 육년이 지나도 入處가 없자 분발하여 스스로 엄히 책망하고 맹서하기를 ‘만약 잠을 잔다면 나의 몸을 문드러지게 하리라’ 하
고, 매양 곤할 때는 廊下에서 行道하면서 기둥에 머리를 부딪쳤다. 하루는 법회 자리가 있어 옆에 섰다가 홀연히 齋올리는 북소리를 듣고 깨달았다
.53)고 한다.

53)『增集續傳燈錄』, 「萬壽月林觀禪師法嗣章」(卍續藏142, 780上1-4) :

師參月林於蘇之萬 壽林令看無字話 經于六年 逈無入處 乃奮志剋責誓願云 睡眠爛却我身 每至困時廊下行道
以頭向露柱?一日 在法座邊立 忽聞齋鼓聲 有省.

 

 

3. 『無門關』에 나타난 無門慧開의 禪思想

 

간화선의 수행방법이 대혜에 의하여 구체화 된 후, 그 실천방법을 이어 받은 無門慧開의 禪思想에 대하여『無門關』에 나타난 것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無門關』은 四十八則의 공안을 선별하여 편자의 해설과 詩를 붙인 것이다. 형식상으로는 宋初에 雪竇의 頌古나 圓悟의『碧巖錄』그리고 굉지의『從容錄』과 유사하다.54) 하지만 내용적으로는 다른 공안집에 비하여 간결하게 표현되고 있다. 이의 한 예로 第一則에 놓여진「趙州狗子」의 공안에 대한 평창에서 편자가 의도하는 것이 표현되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 이러한 점이 이『無門關』의 특색이라고 하여도 무리는 아닌 것으로 본다.

 

당시 중국의 禪界에서는 大慧宗?와 天童正覺을 대표로 하는 간화선과 묵조선의 대립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선 수행자들이 상호간에 갈등과 혼란에 휘말리고 수행자로서의 정도를 이행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문은 간화선의 전통을 이어받았으며, 임제의 사상을 존중하고 있다. 그리고『무문관』의 내용을 작성하는데 있어서 그 근거자료들은 주로 唐時代의 馬祖, 百丈, 南泉, 趙州에서 구하고 五祖下간화선의 전통에 의지하여 이 책을 편집한 것이다.

 

이 책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저자가 내세운 선의 특색은「作略의禪」이다. 작략이란 단숨에 일상적인 知見解會를 물리치고 온갖 情이나 意識을 멸진하는 방법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것은 일순간의 방심도 허용하지 않는 투철한 것이어야 한다. 또한 이것은 「擊石火, 閃電光」의 禪으로 표현되는 것이기도 하다.55)이『無門關』에 나타난 無門慧開의 禪思想은 그 핵심적인 것을 第一則「趙州狗子」의 평창에서 볼 수 있다.

54) 柳田聖山著, 안영길?추만호 역,『禪의 思想과 歷史』, p.154 참조.
55) 鄭承碩編, 『佛典解說事典』, pp.111-112 참조.

 

 

"參禪은 須透祖師關이요 妙悟는 要窮心路絶이라

참선은 모름지기 조사의 관문을 뚫는 것이요. 묘한 깨달음은 마음의 길을 끊어 다함을 要하는 것이라." 56)

56) 大正藏48, 292下22, 卍續藏119, 320下5.

 

이 내용은『無門開和尙語錄』卷下의「告香普說」에도 언급되어 있는 것으로서 無門慧開의 禪思想에 대한 요점이라 할 수 있다.

 

 

4. 『無門關』의 著述目的

 

無門과 『無門關』은 간화선이 더욱 더 情解에 얽매이고 개념에 떨어지려고 하는 풍조에 대해서 見性禪의 正統을 지키고자 하여, 간화의 正路를 표시하는 역사적 과제에 응한 것이라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無門關』이라는 一書가 간화선의 교재적인 의미를 가지고, 남송 말기의 선계에 빛을 주었던 이유가 있다.57) 無門은『無門關』自序에 다음과 같이 『無門關』의 저술 동기를 말하고 있다.

57) 柴山全慶, 앞의 책, p.6 참조.

 

 

<無門曰 參禪 須透祖師關 妙悟 要窮心路絶 祖關不透 心路不絶 盡是依草附木精靈  且道

如何是祖師關 只者一箇無字 乃宗門一關也 遂目之曰禪宗無門關 >

<第一則 趙州狗子>

 

"如何是祖師關고 只者一箇無字가 乃宗門一關也라 遂目之曰호대 禪宗無門關이라하노라

어떤 것이 조사의 관문인가? 다만 이 한 개의 無字가 宗門의 한 관문이라. 따라서 지목하여 가로되 禪宗無門關이라 하노라. "59)

59) 大正藏48, 292下24-25.

 

이 말에서 無門은 간화선의 수행방법에 있어서 통과해야 할 祖師의 관문은 오직 한 개의 無字라고 하며, 이 無字공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無門關』을 저술한 것이라는 의도를 보여 주고 있다. 그리고 이 무자의 공안을 참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는 것을 볼 수 있다.

 

 

<通身起箇疑團 參箇無字 晝夜提 莫作虛無會 莫作有無會 如呑了箇熱鐵丸相似 吐又土不出  -第一則->

"通身起箇疑團하야 參箇無字니라 晝夜提?호대 莫作虛無會하고 莫作有無會어다 如呑了箇熱鐵丸相似하야 吐又吐不出이니라.

온 몸에 통하도록 의단을 일으켜서 無字를 참구할지니라. 밤낮으로 들고 끌되, 허무라고 아는 것도 짓지 말고, 有無라고 아는 것도 짓지 말지어다. 한개의 뜨거운 철환을 삼킨 것 같이 생각하여, 토하고 또 토하여도 나오지 않는 것 같이 할지니라.60)

60) 大正藏48, 293上3-5.

 

 

이처럼 無字의 화두를 참구하는데 있어서 그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하여 후대의 간화선 수행자들에게서 이 無字公案이 제일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갖게 하고 이에 의한 오류를 범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無門이 無字公案을 제일로 강조하는 것은 無門 자신이 無字公案을 참구하여 깨달은 바가 있기에 그것이 제일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비판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5. 公案에 對한 無門慧開의 註釋方式

 

『無門關』에서 공안에 대한 無門慧開의 주석 방식은 選定한 공안에 대하여, 그 내용을 評唱하는 방식으로 참구의 방법을 설명하고, 공안 참구의 효과를 말하는 것을 중점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實參實修를 강조하며 제시된 공안 속에 들어가서 직접적인 경험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無門關』第五則, 香嚴上樹의 공안에 대한 평창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無門曰:縱有懸河之辨。總用不著。說得一大藏?。亦用不著。若向者裏對得著。活?從前死路頭。死?從前活路頭。其或未然。直待當來。問彌勒。>

"縱有懸河之辨이라도 總用不著이요 說得一大藏敎라도 亦不用著이니라 若向者裏하야 對得著하면 活却從前死路頭요 死却從前活路頭니라

비록 물이 흐르듯 하는 변재가 있을 지라도 다 소용이 없을 것이요. 一大의 藏敎를 설한다 하여도 또한 소용이 없을 것이니라. 만약 이 속을 향하여 대답할 수 있으면 從前에 죽은 길을 살릴 것이요. 종전에 살던 길을 죽일 것이니라."61)

61) 大正藏48, 293下-7.

 

 

이 내용에서 無門慧開의 공안을 주석하는 방식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그리고 第四則의 胡子無鬚에 대한 평창에서는 아래와 같이 실참실수를 말하고 있다.

 

<無門曰:參須實參。悟須實悟。者箇胡子。直須親見一回始得。說親見。早成兩箇。 >

"參須實參하고 悟須實悟니라 者箇胡子를 直須親見一回하면 始得이나 說親見하면 早成兩箇니라

참구하는 것은 모름지기 실답게 참구해야 하고, 깨달음도 실답게 깨달아야하나니라. 이 오랑캐를 곧바로 친히 보기를 한번하면 비로소 얻을 것이나, 친히 보았다고 하면 일찍이 두 개가 이루어짐이니라." 62)

62) 大正藏48, 293中25-26.

 

 

또한 第三十三則의 非心非佛을 평창한 것에는 다음과 같이 직접경험에 관한 것을 주장하고 있다.

 

<無門曰: 若向者裏見得。參學事畢。>

"若向者裏하야 見得하면 參學事畢이니라

만약 이 속을 향하여 보는 것을 얻으면 參學의 일을 마치는 것이라."63)

63) 大正藏48, 297中5.

 

여기에 無門慧開가 강조하고 주장한 직접경험의 결과에 대한 요지가 잘 표현되고 있다. 그리고 공안을 주석하는데 있어서 특징적인 것은 각 공안마다 그 공안의 요지가 담긴 게송을 붙여서 새로운 ‘화두의 형식(의
문의 여지를 남겨 주는 것)’을 취함으로서 본칙의 공안을 참구하는데 일종의 힌트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주석방식은 마치『碧巖錄』과『從容錄』의 방식과 흡사한 것이다.

 

 

 

 

 

 

◇ 『無門關』주해 약어 표 ◇

 

대장경
高麗: 고려대장경
大正藏: 대정신수대장경
卍續藏: 만속장경

 

단행본
문 재현 : 대원 문 재현 역저, 『無門關』, 바로보인, 1996.
申卿熙: 申卿熙저, 『無門關』, 보림사, 1986.
『선림총서』: 백련선서간행회 번역,『馬祖錄?百丈錄』(선림고경총서11),장경각, 1989.
安東林: 안 동림 역주, 『新譯碧巖錄』, 현암사, 1978.
이 기영 : 이 기영, 『무문관강의』, 한국불교연구원, 2000.
鄭性本: 정 성본 역주, 『무문관』, 한국선문화연구원, 2004.
秋月: 秋月龍珉?秋月眞人, 慧?譯,『선어록 읽는 방법』, 운주사, 1998.
平田: 平田高士, 『無門關』, 筑摩書房, 1981.
한 형조 : 한 형조, 『무문관, 혹은 “너는 누구냐”』, 여시아문, 2000.
『明心寶鑑』: 성 백효 역주, 『明心寶鑑』, 전통문화연구회, 1992.
『周易』: 명문당 편찬, 『正本周易』, 명문당, 1978.

사전류
『국어사전』: 이 희승 편,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1982.
『佛敎辭典』: 김 길상 편, 『佛敎大辭典』상?하, 홍법원, 1998.
『漢韓字典』: 민중서림 편집국 편, 『漢韓大字典』, 민중서림, 2000.

 

 

 

 

IV.『無門關』譯註解

 

 

【原文懸吐】

 

禪宗無門關自序

 

佛語는 心으로 爲宗₁하고 無門으로 爲法門₂이라하니 旣是無門인댄 且作?生₃透오

豈不見道아

從門入者는 不是家珍₄이요 從緣得者는 始終成壞라하니

恁?說話? 도 大似無風起浪이요 好肉?瘡? 이니 何況滯言句하야 覓解會리요

掉棒打月? 이요 隔靴爬痒이라 有甚交涉가

慧開는 紹定戊子夏에 首衆于東嘉龍翔?이라 因衲子請益하야 遂將古人公案으로 作敲門瓦子? 하야 隨機引導學者하니 竟爾抄錄이 不覺成集이라 初不以前後?
列하고 共成四十八則하니 通曰無門關이라하노라 若是箇漢₁? 이면 不顧危亡하고 單刀直入₁₁ 하리니 八臂那?₁₂ 가 ?他不住요 縱使西天四七과 東土二三₁₃ 이라도 只得望風乞命하리라 設或躊躇하면 也似隔
?看馬騎리라 ?得眼來하면 早已蹉過하나니라

 

頌曰大道無門이나 千差有路로다 透得此關하면 乾坤獨步₁₄하리라

 

 

無門禪師自序

佛語心?宗。無門?法門。?是無門。且作?生透?。

豈不見道。

從門入者。不是家珍。從緣得者。始終成壞。

恁?說話。大似無風起 浪好肉?瘡。何況滯言句。覓解會。

掉棒打月。隔靴爬痒。有甚交涉。

 

慧開紹定戊子夏。首?于東嘉龍翔。

因衲子請益。遂將古人公案。作敲門瓦子。隨機引導學者。竟爾抄錄。不覺成集。

初不以前後?列。共成四十八則。通曰 無門關。

 

若是箇漢不顧危亡。單刀直入。八臂那??他不住。

縱使西天四七。東土二三。只得望風乞命。

設或躊躇。也似隔?看馬騎。貶得眼來。早已蹉過。

 

【頌曰】

大道無門 千差有路 

透得此關 乾坤獨步

 

 

【한글직역 】

부처님의 말씀은 마음으로 근본(宗)을 삼고 문이 없는 것으로 법의 문을 삼은 것이라 하니, 이미 이 문이 없을 진대 또한 어떻게 뚫을 고?
어찌하여 말한 것을 보지 못하는가?

문을 쫓아 들어가는 것은 이 집의보배가 아니요. 緣을 쫓아 얻는 것은 始終에 이루고 무너지는 것이라하니, 이와 같이 말하는 것도 바람이 없는 데 물결을 일으킴이요. 좋은 살에 瘡을 도려냄과 같은 것이니, 어찌 하물며 言句에 걸려서 이해하고 알기를 찾음이리요.

몽둥이를 휘둘러 달을 치는 것이요. 신을 신고 가려움을 긁는 것이라 무슨 交涉이 있으랴!

 

혜개는 紹定戊子여름에 東嘉의 龍翔에서 무리의 우두머리인지라.
衲子의 請益을 因하여 古人의 公案을 가지고서 문을 두드리는 기왓장으로 삼아 근기에 따라 배우는 이를 인도하였더니, 마침내 초록이 모아 짐이 이루어 진 것을 깨닫지 못하였는지라.

처음부터 앞뒤로 서열하지 않고 사십팔 칙이 함께 이루어 졌으니 통 털어 가로되 『無門關』이라하노라.

 

만약 이 사나이라면 위험이나 죽음을 돌아보지 않고 단 칼에 곧게 들어가리니 八臂의 那?가 저를 막아 머물게 하지 못할 것이요.
비록 西天의 四七과 東土의 二三이라도 다만 위풍을 바라보며 목숨을 빌게 되리라.

만일 머뭇거리면 창문을 닫고 말 달리는 것을 보는 것과 같으리라. 눈을 깜빡이는 순간에 벌써 지나쳐 버린 것이니라.

 

頌하여 가로되,

大道는 문이 없으나 천 가지의 다른 길이 있음이로다.

이 관문을 뚫으면 乾坤을 홀로 걸으리라.

 

 

【內容略解】

마음을 근본으로 하여 말씀하신 부처님의 법문은 특별히 정해진 문(/방법)이 없다. 그래서 통과해야 할 관문을 생각하기 어려운 것이다. 그러나 “문으로 들어 가 는 것은 집안의 보물이 될 수 없다” 는 말이 있으니, 통과해야 할 관문이라는 言句에 얽매일 필요는 없는 것이다. 그래서 無門慧開는 古人의 공안을 가지고 학인을 인도하면서 모아진 자료를 특별한 문이 없는 관문, 즉 『無門關』이라고 이름 하였다. 통과 할 문이 없는 이 관문을 통과하려면 목숨을 걸고 단도직입적으로 들어가는 대장부의 기상을 가져야 한다.

 

【註解】

1. 佛語心爲宗:『祖堂集』卷第14 馬祖의 章64)에 처음 나오는 어구이다. 마조는『楞伽經』의 말씀이라고 하였으나,『楞伽阿跋多羅寶經』卷第1「一切佛語心品」第1-165)에 ‘一切佛語心’이라는 어구가 있을 뿐이고 그 외의 다른『楞伽經』에는 보이지 않는 어구이다. 그러므로 이 어구는 마조가『楞伽阿跋多羅寶經』의 내용에서 그 의미를 取하여 표현한 것으로 생각된다.66) 이 佛語心爲宗이란 語句를 번역하는데 있어서는 두 가지의 다른 방식을 볼 수 있다. 그 하나는 “부처님 말씀은 마음으로 宗을 삼고”67) 라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선종은 부처님들이 설한 청정한 마음을 宗旨로 하며”68) 라 하는 것이다. 그러나 楊傑이 쓴『宗鑑錄』序에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64) 高麗45, 319中8.
65) 大正藏16, 484上8.
66) 平田, p.9, 鄭性本, p.19 참조.

67) 선림총서,『馬祖錄』, 示衆. p.25 참조.

68) 鄭性本, p.17 참조.

 

 

"諸佛眞語는 以心爲宗이라

모든 부처님의 진실한 말씀은 마음으로써 宗을 삼 나니라." 69)

69) 大正藏48, 451上5.

 

또『宗鏡錄』卷第1.「標宗章」第1.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何故로 佛語心爲宗가 佛語心者는 卽心卽佛이니 今語卽是心語라 故로 云호대 佛語心爲宗이요

무슨 까닭으로 부처님이 마음을 宗으로 삼아 말씀하셨는가? 부처님이 말씀하신 마음은 卽心이 곧 부처인 것이니, 지금 말하는 것은 곧 이 마음이 말하는 것이라. 그런 까닭으로 이르되 부처님의 말씀은 마음을 宗으로 삼는다 하는 것이요."70)

70) 大正藏48, 418中16-17.

 

그리고『楞伽阿跋多羅寶經』卷第1「一切佛語心品」第1-1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볼 수 있다.

 

"一切佛語心은 爲楞伽國摩羅耶山海中住處에 諸大菩薩하사 說如來所歎海琅藏 識境界法身이니다

모든 부처님들이 마음을 말씀하심은 능가국마라야산해 가운데 머무는 곳의 모든 큰 보살들을 위하시여 여래가 찬탄하시는 바가 바다의 파도와 같은 장식의 경계가 법신임을 說하심이니다."71)

71) 大正藏16, 484上8-10.

 

이처럼 불어심의 이유를 설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위의 두 번역 중 첫 번째 것을 따랐다.

 

 

2. 無門爲法門: 역시 마조가 만든 말이다. 여기서 無門이란 수행자를 교도하는데 특정한 관문을 세우지 않는 것을 말한다.72) 마조는『楞伽經』에서 ‘마음을 근본으로 삼아 가르친 것에는 특정한 방법을 내세우지 않는
것으로 법문을 삼은 것이라’ 는 뜻을 표현한 것이다.『宗鏡錄』卷第1.「標宗章」第1.에 다음과 같은 해석이 있다.

72)『佛敎辭典』, p.642 참조.

 

 

"無門爲法門者는 達本性空하면 更無一法이니 性自是門이요 性無有相하고 亦無有門이라 故云호대 無門爲法門이요

門이 없음으로 법의 문을 삼는다 하는 것은 본래의 성품이 空한 것임을 통달하면 다시는 한 법도 없나니 성품이 스스로 이 문이요, 성품은 相이 없고 또한 문도 없는 것이라. 그러므로 이르되 “문이 없는 것으로 법의 문을 삼는 것이요.”73)

73) 大正藏48, 418中17-19.

 

여기에서는 무문이란 자성이 공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3. 作?生: 어떻게 할 것인가? 여기서 生은 어조사이다. 의문의 뜻을 나타내는 것이다.74) 唐代?宋代이후의 속어로 선종의 용어이다. 공안에서 感動詞로 사용 하는 것인데 자마생이라고 읽어야 한다.75)

74)『禪學辭典』, p.556 참조.
75)『佛敎辭典』, p.2208 참조.

 

 

4. 從門入者不是家珍:『雪峰眞覺禪師語錄』卷上에 있는 것 인데 巖頭가 雪峰에게 한 말이다.76) 또『碧巖錄』第5則圓悟克勤의 評唱에도 인용되고 있다. 이 말은 원래『祖堂集』卷第5「雲?和尙章」에 다음과 같이
말한 것인데 뒤에 바뀐 것으로 생각된다.

76) 卍續藏119, 945上14.

 

 

"師示衆云호대 從門入者는 非寶니라

師가 무리에게 보여 이르되 문으로부터 들어오는 것은 보배가 아니니라."77)

77) 高麗45, 266中2.

 

이와 같은 말을 巖頭가 인용하면서 非寶를 不是家珍이라고 표현한 것으로 추정 된다.

 

 

5. 恁?說話: 이와 같은 이야기라는 뜻인데, 恁?는 中國俗語로서 ‘이와 같이’의 뜻이다. 甚?, 什?, ??, 祗?, 與?, 또는 그저 甚이라고도 쓰는 것이다.

이런 용어들은 경우에 따라 여러 가지 뜻으로 쓰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어떤 때는 ‘무엇’, ‘…와 같이’ 의 뜻 으로 쓰기도 하고, 의문 형용사로 ‘어떤’, ‘어느쪽’ 등의 뜻으로, 의문부사로서 ‘어떻게’, ‘어떤식으로’의 뜻으로 쓰기도 한다. 또한 지시 형용사로 ‘그런’, ‘이런’, ‘저런’ 등의 뜻으로도 쓴다.78)

78) 安東林, p.43 참조.

 

 

6. 好肉?瘡(완창): 無風起浪이라는 어구와 함께 쓰는 성어이다. 멀쩡한 살에 쓸데없이 상처를 내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하지 않아도 좋은 것을 괜히 해서 탈을 낸 다는 뜻이다.79)

79)『禪學辭典』, p.232 참조.

 

 

7. 掉棒打月 隔靴爬痒(격화파양): ‘몽둥이로 달을 치는 격이요. 발바닥이 가려운데 신을 신고 그 신발 바닥을 긁는 격’이라는 말이다. 이것은 중국 속담에서 나온 말이다. 당치도 않는 짓을 하는 것이라는 뜻이다.80)

80) 鄭性本, p.22.

 

 

8. 東嘉龍翔: 浙江省溫州永嘉縣의 북쪽에 있는 龍翔禪寺를 말하는 것이다. 無門이 소정 원년(1228)의 여름 안거 때 이 龍翔禪寺에서 대중을 지도하였다.81)

81) 鄭性本, p.22.

 

 

9. 敲門瓦子: ‘문을 두드리는 기왓장’이란 말인데, 이것은 진리의 문이 열리게 하는 방편을 의미하는 것이다.82) 이 말은『佛果圓悟眞覺禪師心要』卷上終「示民知庫章」과83) 同卷下終「示印禪人章」에84) 보이는 말이다.

 

 

10. 若是箇漢: 만약 이 사나이라는 말인데, 漢이라는 글자의 의미는 두 가지로 쓴다. 하나는 남자를 천하게 부르는 것으로서 ‘사내놈’ 이라는 뜻으로 쓰는 것이요.85) 다른 하나는 이와 반대로 사내대장부(大漢) 또는
훌륭한 사나이 등으로 쓴다.86)

85)『禪學辭典』, p.703 참조.

86)『中國語辭典』, p.804 참조.

 

 

11. 單刀直入: 혼자서 칼을 휘두르며 거침없이 적진으로 들어가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불교에서는 생각과 분별과 말에 걸리지 아니하고 眞境界로 바로 들어 가는 것을 뜻하는 말로 쓴다.87) 또는 방편이나 수단을 사
용하지 않고 곧 바로 핵심으로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88) 참선하는 사람이 문 없는 관문을 통과하려면 단도직입 하는 식으로 뚫고 들어가야 된다는 뜻으로 쓰는 말이다.

87)『국어사전』, p.786 참조.
88)『禪學辭典』, p.120 참조.

 

 

12. 八臂那?(나타): 북방 비사문천왕의 다섯 아들 가운데서 맏아들인데 얼굴이 세 개이고 팔이 여덟 개이며, 큰 힘을 가진 아수라 귀신으로서 호법의 신이라 한다.89) 나타태자라고 부르기도 하는데,『五燈會元』卷第2「西天東土應化聖賢章」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보인다.

89)『佛敎辭典』, p.330 참조.

 

"那?太子는 析肉還母하고 析骨還父然後에 現本身하고 運大神力하야 爲父母說法이라

나타태자는 살을 잘라 어머니에게 드리고 뼈를 쪼개서 아버지에게 드린 후에 본래의 모습을 나타내서 큰 신통력을 써서 부모를 위하여 법을 설하였다."90)

90) 卍續藏138, 77下3-4.

 

 

13. 西天四七東土二三: 西天(/인도)의 석가모니 付囑을 받은 가섭존자로부터 이십팔대까지의 조사를 통칭하여 西天四七이라 하고,91) 東土(/중국)의 달마로부터 혜능까지의 육대조사를 통칭하여 東土二三이라고 한다.92)

91)『禪學辭典』, p.351 참조.
92)『禪學辭典』, p.185 참조.

 

 

14. 乾坤獨步: 乾坤이란 天地, 즉 우주를 말하는 것인데, 이 용어는『周易』에서 八卦의 명칭으로 쓰는 것이고 陰陽을 의미한다.『周易』卷2下經「繫辭篇」上에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天尊地卑하니 乾坤이 定矣요

하늘은 높고 땅은 낮으니 乾과 坤이 정해지는 것이요" .93)

93)『周易』, p.353.

 

그리고 이의 註釋에는 다음과 같은 설명을 하고 있다.

 

"乾坤者는 易中에 純陰純陽之卦名也라

건곤이라는 것은 주역가운데 순음과 순양의 괘를 이름하는 것이다."94)

94)『周易』, p.353.

 

그러므로 乾坤獨步라고 하는 말은 이『無門關』을 통과하면 이 우주 천지에서 어느 누구도 따를 수 없이 독보적인 존재가 된다는 의미이다.

 

 

【原文懸吐】

 

第一則趙州狗子

 

因僧問호대 狗子도 還有佛性也無₁닛가하야 州云호대 無라하니라

無門이 曰호대 參禪은 須透祖師關₂이오 妙悟는 要窮心路絶이니 祖關不透하고 心路不絶하면 盡是依草附木精靈이니라 且道하라 如何是祖師關고 只者一箇無字가 乃宗門一關₃也라 遂目之曰호대 禪宗無門關이라하니라 透得過者는 非但親見趙州라 便可與歷代祖師로 把手共行이요 眉毛?結₄하야 同一眼見하며 同一耳聞하리니 豈不慶快아 莫有要透關底?오 將三百六十骨節과 八萬四千毫竅로 通身起箇疑團하야 參箇無字니라 晝夜提?호대 莫作虛無會하며 莫作有無會어다 如呑了箇熱鐵丸相似하야 吐又吐不出이니라 蕩盡從前惡知惡覺하고 久久純熟하면 自然內外打成一片하리니如啞子得夢하야 只許自知라가 驀然打發하면 驚天動地하나니라 如奪得關 將軍大刀入手하야 逢佛殺佛하고 逢祖殺祖? 하야 於生死岸頭에 得大自在하고 向六道四生中하야 遊?三昧하리라 且作?生提?오 盡平生氣力하야 擧箇無字하라 若不間斷하면 好似法燭이 一點便著니라

 

頌曰狗子佛性은 全提正令이라 ?涉有無하면 喪身失命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