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난 안다
내가 사과 세 알만한 꼬마였을 때
난 사나이가 되기 위해 큰 소리로 외치곤 했지.
‘난 알아, 난 알아, 난 다 알고 있다구!’
그것이 시작이었고, 그때가 바로 인생의 봄
하지만 열여덟 살이 되었을 대 난 또다시 말했지.
‘난 알아, 이번에는 진짜로 알아.’
그리고 오늘, 지난 일들을 회상하는 날들 중에
내가 수없이 걸어온 길들을 되돌아보네.
그 길들이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난 아직도 알지 못하네.
스물다섯 살 무렵 나는 모든 걸 알았었지.
사랑과 열정, 삶과 돈에 대해.
그중에서도 사랑에 대해서라면 모든 걸 다 해봤지.
생의 한가운데서 난 또 다른 배움을 얻었지.
내가 배운 것은 서너 마디로 말할 수 있다네.
어느 날 누군가 당신을 사랑하고 날씨마저 좋다면
‘정말 날씨 한번 좋다’라고 밖엔 더 잘 말할 수 없다는 것을.
생의 가을녘에 들어선 내게 아직도 삶에서 경이로운 것은
그토록 많았던 슬픈 저녁들은 잊혀지지만
어느 행복했던 아침은 결코 잊혀지지 않는다는 것.
젊은 시절 내내 ‘난 알아’ 하고 말하고 싶었지만
그 답을 찾으면 찾을수록 알게 되는 건 더 적었지.
지금 내 인생의 괘종시계가 60번을 울렸고
난 아직 창가에 서 있지.
밖을 내다보면서 난 자문해 보네.
그리고 이제서야 난 알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지.
삶과 사랑, 돈과 친구들, 그리고 열정에 대해.
그것들이 가진 소리와 색에 대해 결코 알 수 없다는 것을.
이것이 바로 내가 알고 있는 것의 전부.
하지만 바로 그것을 난 또 알고 있지.
장 가방
1904년 파리의 카페에서 가수로 활동하던 어머니와 잡지사에서 일하던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시멘트공과 점원, 신문 판매 등 여러 가지 일을 전전하던 그는 군 생활을 마친 후, 노래 투어를 했다. 그것을 시작으로 물랑루즈에서 가수 활동을 하다가 <지하실의 멜로디><대가족><도미니치 사건>등의 영화에 출연해 장 폴 벨몽도, 알랭 들롱과 함께 프랑스 국민 배우로 확고한 자리를 잡았다. 40년간 배우로 활동하던 그는 1974년 장 룹다바디의 가사에 필립 그린이 곡을 붙인 <이제 난 안다>라는 노래를 녹음해 큰 성공을 거두었다.
'#시 > 치유의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알고 있는 것 (0) | 2010.12.05 |
---|---|
누가 떠나고 누가 남는가 (0) | 2010.12.05 |
사이치에게 남은것 (0) | 2010.12.05 |
의족을 한 남자 (0) | 2010.12.05 |
이누이트 족의 노래 (0) | 2010.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