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漢詩및 시조

路上所見 길에서 / 姜世晃(강세황)

경호... 2010. 9. 22. 13:48

      路上所見

      (로상소견)

      길에서.....姜世晃(강세황)



      凌波羅襪去翩翩

      (능파라말거편편)

      물결을 건너듯 비단 버선 사뿐히 가더니



      一入重門便杳然

      (일입중문편묘연)

      한번 문을 들어가곤 아득하여라



      惟有多情殘雪在

      (유유다정잔설재)

      다정하게도 잔설은 남아



      屐痕留印短墻邊

      (극흔류인단장변)

      그녀의 나막신 자욱이 낮은 담장 가에 찍혀 있어라


       

 

 

 

강세황 [姜世晃, 1712~1791]

본관 진주(晋州). 자 광지(光之). 호 첨재(添齋)·표옹(豹翁)·노죽(路竹)·산향재(山響齋)·표암(豹菴). 시호 헌정(憲靖).
어려서부터 재능이 뛰어나, 8세 때 시를 짓고, 13~14세 때는 글씨에 뛰어난 솜씨를 보여, 소년기에 쓴 글씨조차도

병풍을 만드는 사람이 있을 정도였다.

아버지의 사랑과 교육을 받았으며, 매형이었던 임정(任珽)의 영향도 크게 받았다.

처남 유경종 외에도 허필(許佖) ·이수봉(李壽鳳) 등과 절친하게 지냈으며, 이익·강희언 등과도 교유하였다.

당대의 유명한 화가였던 김홍도·신위 등도 그의 제자들이다.

벼슬에 뜻이 없어 젊은 시절에는 주로 작품활동에만 전념하였다.
32세 때 가난 때문에 안산(安山)으로 이주한 뒤에도 오랫동안 학문과 서화에만 전념하였다.

처음 벼슬을 한 것은 61세로, 영조의 배려에 힘입어 관계에 진출하게 되었다.

이후 64세 때 기구과(耆耉科), 66세 때 문신정시에 장원급제하였으며, 영릉참봉·사포별제(司圃別提)·병조참의·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하였다.
72세 때 북경사행(北京使行), 76세 때 금강산 유람을 하고, 기행문과 실경사생 등을 남겼다.

시·서·화의 삼절로 불렀으며, 식견과 안목이 뛰어난 사대부 화가였다.

그 자신은 그림제작과 화평(畵評)활동을 주로 하였는데, 이를 통해 당시 화단에서 ‘예원의 총수’로 한국적인

남종문인화풍을 정착시키는 데 공헌하였다.
이밖에도 진경산수화를 발전시켰고, 풍속화·인물화를 유행시켰으며, 새로운 서양화법을 수용하는 데도 기여하였다.

평생 동안 추구한 그의 서화의 세계는 궁극적으로 습기(習氣)도 속기(俗氣)도 없는 경지에 이르는 것이었다.

산수·화훼가 그림의 주소재였으며, 만년에는 묵죽으로 이름을 날렸다.

작품으로는 《첨재화보(添齋畵譜)》 《벽오청서도》 《표현연화첩》 《송도기행첩》 《삼청도》 《난죽도》 《피금정도》

《임왕서첩(臨王書帖)》 등이 있으며, 54세 때 쓴 《표옹자지(豹翁自誌)》에 있는 자화상을 비롯하여 7~8폭의 초상화를 남겼다.
.... 웹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