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집 / 이용악
날로 밤으로
왕거미 줄치기에 분주한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이 집에 살았다는 백성들은
대대손손에 물려줄
은동곳도 산호관자도 갖지 못했니라.
재를 넘어 무곡을 다니던 당나귀
항구로 가는 콩실이에 늙은 둥글소
모두 없어진 지 오랜
외양간엔 아직 초라한 내음새 그윽하다만
털보네 간 곳은 아무도 모른다.
찻길이 놓이기 전
노루 멧돼지 쪽제비 이런 것들이
앞뒤 산을 마음놓고 뛰어다니던 시절
털보의 셋째아들은
나의 싸리말 동무는
이 집 안방 짓두광주리 옆에서
첫울음을 울었다고 한다.
“털보네는 또 아들을 봤다우
송아지래두 불었으면 팔아나 먹지”
마을 아낙네들은 무심코
차거운 이야기를 가을 냇물에 실어 보냈다는
그날 밤
저릎등이 시름시름 타들어가고
소주에 취한 털보의 눈도 일층 붉더란다.
갓주지 이야기와
무서운 전설 가운데서 가난 속에서
나의 동무는 늘 마음 졸이며 자랐다
당나귀 몰고 간 애비 돌아오지 않는 밤
노랑고양이 울어 울어
종시 잠 이루지 못하는 밤이면
어미 분주히 일하는 방앗간 한구석에서
나의 동무는
도토리의 꿈을 키웠다.
그가 아홉살 되던 해
사냥개 꿩을 쫓아다니는 겨울
이 집에 살던 일곱 식솔이
어디론지 사라지고 이튿날 아침
북쪽을 향한 발자욱만 눈 위에 떨고 있었다.
더러는 오랑캐령 쪽으로 갔으리라고
더러는 아라사로 갔으리라고
이웃 늙은이들은
모두 무서운 곳을 짚었다.
지금은 아무도 살지 않는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제철마다 먹음직한 열매
탐스럽게 열던 살구
살구나무도 글거리만 남았길래
꽃피는 철이 와도 가도 뒤울 안에
꿀벌 하나 날아들지 않는다.
[아, 저詩] 이용악 특집-'낡은 집' 첫부분
날로 밤으로/
왕거미 줄치기에 분주한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이 집에 살았다는 백성들은/
대대손손에 물려줄/
은동곳도 산호관자도 갖지 못했니라
■ 어느날 식구 모두 야반도주해버린 그 집. 낡은 집은 더 이상 삶을 유지할 수 없는 사람들이 몸부림치듯 벗고 떠나간 '허물'같은 것이다. 함께 살던 이웃들은, 자신들의 운명일 수도 있는 그곳을 바라보는 것조차 싫어했다. 불행이 감염되는 것이 두려웠을 것이다. '날로 밤으로'는 '낮으로 밤으로'의 의미이다.
어린 소년은 이 집을 무서워하면서도 자주 훔쳐보았다. 집은 꿈쩍않고 거기 그냥 있었지만, 거미줄이 햇살에 철렁거렸다가 달빛에 흔들거렸다가 그랬다. '흉집'이란 이성적인 이유로 따질 수 없이 그냥 나쁜 집이다.
'이 집에 살았던 백성들'은 낡은 집의 옛 거주자를 말하는 것이지만, 조선 전체의 백성들의 형편을 함의하기도 한다. 동곳은 상투를 틀어지지 않게 꽂는 것으로 남자들의 노리개같은 것이고 관자는 상투를 튼 뒤에 머리를 정리하는 그물 속모자인 망건의 줄을 꿰는 작은 고리를 말한다.
은동곳과 산호관자는 값진 동곳과 관자를 가리킨다. 이 집에 살았던 사람들은 사치품이라고는 갖지 못했던 가난뱅이였다는 얘기다.
'낡은 집' 둘째연
재를 넘어 무곡을 다니던 당나귀/
항구로 가는 콩실이에 늙은 동글소/
모두 없어진지 오랜/
외양간엔 아직 초라한 내음새 그윽하다만/
털보네 간 곳은 아무도 모른다
■ 이용악의 고향, 경성이란 마을은 산과 바다를 끼고 있는 곳이다. 산마을에서 나온 물건을 바다에 가서 팔기 좋다. 당나귀를 이용해서 산을 넘어 무곡(貿穀)을 하러다닌다.
무곡은 곡식 장사이다. 곡식을 나귀에 실어 사와서 바다에 가서 판다. 항구로 갈 때는 동글소를 쓴다.
동글소는 큰 황소이다. '콩실이에 늙은'은 '콩을 싣고 다니다가 늙은'이란 뜻으로 오랫 동안 그 일을 했다는 의미이다. 그 집 외양간에 있던 당나귀와 동글소가 다 없어졌다. 왜 없어졌을까. 어떤 이유에선가 장사가 불가능해졌을 것이다.
시인은 나이 들어서 그 집 외양간을 둘러보며 감회에 젖는다. 아직 짐승들의 냄새가 다 떠나지 않았는데, 이 집 사람들의 행방은 알 수 없다. 흉집에 살던 식구의 가장이 털보였다는 얘기를 이쯤에서 꺼낸다. 털 달린 짐승들의 운명과 같은 방식으로 사라진 털보 아저씨가 자연스럽게 연상되었을지도 모른다.
'낡은 집' 셋째 연
찻길이 놓이기 전/
노루 멧돼지 족제비 이런 것들이/
앞뒤 산을 마음놓고 뛰어다니던 시절/
털보의 셋째아들은/
나의 싸리말 동무는/
이 집 안방 짓두광주리 옆에서/
첫울음을 울었다고 한다
■ 시인에게 이 집이 각별한 이유는 거기에 동무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 연에는 당나귀와 동글소가 필요없어진 이유를 살짝 비친다. 찻길이 놓였기 때문이다. 산과 항구를 잇는 교통편이 개선되면서 나귀와 소를 이용한 재래식 장사는 설 곳을 잃었다, 찻길이 놓인 뒤에는 산의 짐승들도 더 깊은 산으로 숨어들어갔다.
시인은 도로가 놓여지기 전의 평화롭던 시절에 태어난 동무를 추억한다.
털보네 셋째아들은 싸리말 동무이다. 싸리말은 싸리로 엮어 만든 조그만 장난감 말이다. 함경도에선 아이들이 이걸 죽마(竹馬)처럼 가지고 놀기도 했고, 마마에 걸린 아이들이 12일째 되는 날 역신을 쫓아내기 위해 이 말을 흔들기도 했다. 싸리말을 타고 놀던 죽마고우일수도 있고, 천연두에 걸렸다가 함께 나은 동지일수도 있는 동무이다.
짓두광주리는 반짇고리를 말한다. 반짇고리가 놓인 안방에서 일하느라 바빴던 어머니가 짬을 내서 아기를 낳았던 모양이다.
'낡은 집' 넷째연
"털보네는 또 아들을 봤다우/
송아지래두 불었으면 팔아나 먹지"/
마을 아낙네들은 무심코/
차가운 이야기를 가을 냇물에 실어보냈다는/
그날 밤/
저릎등이 시름시름 타들어가고/
소주에 취한 털보의 눈도 일층 붉더란다
■ 이야기를 꾸려가는 이용악의 솜씨는 참 멋지다. 아이를 낳고난 뒤에 동네 아낙들이 빨래를 하며 수군거린다. 가을이라 날도 슬슬 추워오는데 다시 아들을 하나 더 낳았다니 참 걱정이로군. 아낙들이 저런 얘기를 하는 것은, 털보네의 가계가 한심해진 상황을 짐작케 한다.
장사 일도 손을 놓아 놀고있는 소들이 새끼를 낳았더라면 팔아서 돈이라도 되지, 이 어려운 시절 자식은 뭐하러 낳았나 하는 핀잔이다. 아낙들이 무심코 차가운 이야기를 한 것은, 털보네를 비웃으려 한 게 아니라, 털보의 처지가 곧 스스로의 처지이기 때문이다.
저릎등(겨릎등)은 삼줄기에 불을 피운 등을 말한다. 기름처럼 잘 타지는 않는 등인지라 불빛이 꺼묵꺼묵했으리라. 그것을 시름시름 타들어간다고 표현했다.
털보네의 상황을 생각하면 적실한 첩어이다. 아이를 낳고난 뒤 털보는 술을 마셨고 또 어디선가 한참 울었나 보다. 안그래도 요즘 잠을 못자서 충혈된 눈이 더 뻘개졌다.
심란스럽게도 짓두광주리 옆에선 새끼가 운다.
'낡은 집' 다섯째연
갓주지 이야기와/
무서운 전설 가운데서 가난 속에서/
나의 동무는 늘 마음 졸이며 자랐다/
당나귀 몰고 간 애비 돌아오지 않는 밤/
노랑고양이 울어 울어/
종시 잠 이루지 못하는 밤이면/
어미 분주히 일하는 방앗간 한구석에서/
나의 동무는/
도토리의 꿈을 키웠다
■ 갓주지는 산에 사는 스님으로, 패악한 사람인듯 하다. 아이들의 오금이 저릴만큼 무서운 전설들을 어른들이 얘기해주는 까닭은, 바쁘고 가난한 일상 속에서 돌볼 틈 없는 아이들을 쉽게 통제하기 위해서였으리라. 아버지 털보는 당나귀를 몰고 산마을에 무곡을 간다며 나갔는데, 곡식들을 전혀 사들이지 못했는지 돌아오지 않는다. 사람 소리에 쫑긋해져 있는 아이의 귀에, 노랑고양이 한 마리가 자꾸 인기척 비슷하게 울어대니 잠을 잘 수가 없다. 하는 수 없이 어머니가 일하고 있는 방앗간으로 쪼르르 달려간다.
어머니는 묵을 만드느라 도토리를 찧고 있다. 먹고살 게 없으니 그거라도 먹어야할 상황이다.
그런데 아이는 튀어나간 도토리를 주우며 생각한다. 나중에 내가 산에 가서 도토리를 많이 주워 어머니에게 가져다 드리면 기뻐하겠지?
'낡은 집' 여섯째연
그가 아홉 살 되던 해/
사냥개 꿩을 쫓아다니는 겨울/
이 집에 살던 일곱 식솔이/
어데론지 사라지고 이튿날 아침/
북쪽을 향한 발자욱만 눈 우에 떨고 있었다
■ 이 대목을 들면서, 많은 해설자들은 일제의 수탈에 못이겨 야반도주한 일가족의 참상을 리얼하게 고발하고 있다고 말을 한다. 물론 틀리지는 않은 설명일 수 있다. 하지만 아직 일본 유학생의 신분인 이용악이 일제 치하인 1938년에 쓴 시라는 점을 감안할 필요는 있다.
이 시가 갖은 수탈로 대규모 유이민이 생겨난 것에 대한 저항적인 의식을 지니고 있다는 분석은, 그래서 약간 오버한 느낌이 든다, 오히려 고향에서 일어난 불행한 일에 관한 담담한 진술에 가깝다.
그들이 야반도주한 까닭은 무엇일까.
아마도 마을에 이런저런 빚이 늘어나 있지 않았을까. 산길을 넓혀놓은 차도와 일제 치하의 억압적인 상황들은, 한때 경기 좋던 '곡물중개상'을 빈털털이로 만들어버렸다. 소도 팔고 나귀도 팔더니 끝내 일곱 식구가 이고질 것도 없는 단촐한 차림으로 북쪽 눈길로 걸어가 버렸다. 그들이 도망갈 곳은 더 춥고 더 헐벗은 북쪽 뿐이다. 오죽 급했으면 눈내린 겨울밤에 그렇게 떠났을까.
'낡은 집' 마지막연
지금은 아무도 살지 않는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제철마다 먹음직한 열매/
탐스럽게 열던 살구/
살구나무도 글거리만 남았길래/
꽃피는 철이 와도 가도 뒤울안에/
꿀벌 하나 날아들지 않는다
■ 애초에 추억을 자아냈던 그 집으로, 시 말미에 다시 돌아왔다. 이용악은 다시 그집의 현실로 돌아와, 추억을 소개(疎開)하며 쓸쓸한 감을 돋운다.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이라는 대목을 반복하면서. 이 시가 사회의식을 담지하고 있는 것에만 주목하다보면, 마지막의 이 멋진 풍경을 놓치기 쉽다.
흉집 뒷 뜨락에는 살구나무가 있다. 아마도 이용악은 동무와 함께 이 나무 아래서 살구를 먹으며 놀았을 것이다. 그런 시절을 그리워하며 시인은 흉집 뒤안을 둘러봤나 보다. 집이 죽으니 나무마저 죽는 것인지 글거리(줄기)만 남아있고 꽃들도 피지 않았다. 지금쯤 딱 꽃필 철인데 꿀벌 하나 날지 않고 삭막하다. 폐가와 꽃도 없는 살구나무가 잔뜩 기억의 봇짐들만 진 채 주저앉아 있다.
문자 속에 편입된 스토리텔링이 이토록 생생하고 절절한 절정을 이루는 풍경을 봤는가.
이 시야말로 글자(文)에다가 '학(學)'이라는 경칭(敬稱)까지 붙여주며 우러른, 문학의 자부심으로 삼을 만하다.
아시아경제/ 빈섬 이상국 편집부장·시인
북쪽 / 이용악
북쪽은 고향
그 북쪽은 여인이 팔려간 나라
머언 산맥에 바람이 얼어붙을 때
다시 풀릴 때
시름 많은 북쪽 하늘에
마음은 눈감을 줄 모른다
■ 이용악의 시를 읽으면, 고통이 씻어낸 듯한 언어의 정결함을 느낀다. 이용악은 1914년 함북 경성에서 태어났다. 경성은, 조선의 시인 고죽 최경창이 발령받아 떠났던 그 변경(邊境)이다. 고죽은 여기서 여진족과 싸웠다. 500리 떨어진 홍원에 살던 기생 홍낭은, 북풍한설 몰아치는 날 이 남자를 그리워하여 경성까지 찾아가기도 했다. 시인 이용악은 고죽과 홍낭이 전선의 막사에서 사랑을 불피웠던 거기서 태어나 시심을 키웠다. 그러나 삶은 고단했다. 그의 부모는 러시아 국경을 넘나들며 무역하는 소금장수였다.
어린 시절 극한의 가난과 불안을 체험했다. 그는 1934년에 일본 상지(上智)대학으로 유학을 간다. 이용악이 '북쪽'을 발표하는 것은 유학 막바지인 1937년이다. 유년시절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밀려올 때 그는 저 스토리의 기억을 떠올렸을 것이다. 그러다가 그의 머릿속에 문득 '낡은 집' 하나가 떠오른다.
아시아경제/ 빈섬 이상국 편집부장·시인
'#시 > 영상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는 이유 / 최영미 - (0) | 2015.07.13 |
---|---|
쓸쓸한 건배 / 복효근 (0) | 2015.07.13 |
悲歌 28번 / 김춘수 (0) | 2015.07.13 |
우도댁 / 김정숙 (0) | 2015.07.13 |
만찬(晩餐) / 함민복 (0) | 2015.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