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問/風水.命理

풍수를 적용한 공동주택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경호... 2015. 7. 4. 05:33

풍수를 적용한 공동주택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Feng-Shui in Apartment House Space Design

 

 

차병건 / SK건설

Cha Byung Keon / SK E&C

 

김주연 /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교수

Kim, Joo Yun / Prof., Interior Architecture, School of Architecture, Hongik University

 

하은경 / 홍익대학교 공간디자인학과 박사과정

Ha, Eun Gyeong / Dept. of Spatial Design, Graduate School of Hongik University

 

 

목 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풍수와 주거
2.1 풍수의 개요
2.2 주거계획으로의 풍수 이론

 

3. 공간의 풍수적 접근
3.1 방위선택
3.2 가구배치
3.3 색채계획
3.4 재료계획
3.5 조명계획

4. 공간의 풍수적용
4.1 공간별 디자인 이미지
4.2 디자인 사례 분석

5. 결론

 

Keyword
풍수, 공동주택, 기 Feng-Shui, Apartment house, Energy

 

 

요 약

 

풍수(風水)는 자연과 인간의 생활공간에서 어울리는 이치를 연구하여 삶을 개선하는 학문이다. 이러한 학문
이론을 통하여 이것이 공동주택 공간에 적용 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여 기(氣)의 흐름이 인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문헌연구를 통해 그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서론은 주거공간에 풍수이론 적용의 필요성을 기술하엿으며, 본론에서는 품수의 개념과 기본이론을 바탕으로 공간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풍수적 접근을 통하여 인간과 공간이 어떤 상호작용과 영향이 있는지를 밝혔으며, 마지막으로 공동주택 실사례를 조사함으로써 현대의 주거환경과 생활 패턴에 어떠한 원리로 적용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연구는 이러한 이론이 자연환경과 건강에 관심이 고조되는 현대인에게 환경친화적인 공동주택 공간 형성에 기여하고, 향후 공동주택 공간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999년 분양가자율화를 통해서 국내 공동주택은 점점 고급화, 대형화, 고층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제 주거는 인간에게 고부가가치 상품으로서 또는 휴식의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주택하면 일반 주택보다는 편리한 내부시설 및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아파트)을 더 선호하는 추세로 변해가고 있다. 이런 변화를 본다면 일반 주택에 적용하던 풍수이론을 이제 공동주택에 적용하여 친환경적인 공간을 연출하는 것이 더 현실적이라고 하겠다.

 

풍수적으로 꼭 맞는 집을 짓기란 어렵다. 인간의 생활방식이나 사상은 인간이 처한 자연환경의 조건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동일한 방향과 공간배치에도 그 집에 사는 사람의 성격, 가족구성, 의식수준 등에 따라 사람의 운명이나 운세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담장과 대문, 마당이 있는 일반 주택에 적용했던 풍수이론을 이제 공동주택이란 새로운 주택구조에 적용하여 가장 이상적인 주거환경을 분석한다.

 

인간에게 주어진 자연환경, 주거환경, 공간배치 등을 분석하고 주거환경에 대한 실내 구조 및 구조물의 과학적, 합리적인 배치, 장식물의 적절한 선택 및 보완을 통하여 기(氣)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가정과 사업에서의 이윤을 극대화하고, 가정의 행복을 도모하는 가장 이상적인 기운을 가져다 줄 공간을 만드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동양의 다른 나라 풍수이론 보다는 한국의 풍수이론에 한정하여 정통풍수의 의미를 파악하고 주거 내부공간에 한정하여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방법은
첫째, 풍수의 문헌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개념과 원리를 파악하고 이것이 인간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둘째, 주거공간에 적용될 수 있는 풍수이론을 도출하고 공동주택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파악한다.

셋째, 이를 근거로 공동주택 공간디자인에 적용하여 인간에게 가장 이상적인 기(氣)의 흐름이 될 수 있는 공간디자인 방향을 제시한다.

 

 

2. 풍수와 주거

2.1 풍수의 개요

2.1.1 풍수의 정의

 

일반적으로 ‘풍수(風水)’라고 말하는 풍수지리학(風水地理學)의 정의를 내린다면 자연 환경의 이치를 파악하여, 살아서는 인간의 삶터를 정하고 죽은 후에는 시신을 매장할, 보다 더 좋은 터를 찾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풍수(風水)’란 말이 풍수지리학의 대명사로 통칭되게 된 것은 풍수지리의 5대 요소인 산(山), 화(火), 풍(風), 수(水), 방위(方位) 중 바람과 물이 다른 요소들보다 풍수에 끼치는 변화의 요인이 많아 혈장에 영향을 크게 끼친다는 것과, 좋은 터의 조건 중 하나가 ‘장풍득수(藏風得水)’에서 ‘풍’과 ‘수’를 따서 일컬어지게 된 것으로 본다.

 

2.1.2 풍수의 기원

 

풍수(風水)라는 말은 4세기경 중국 동진의 풍수대가인 곽박(郭撲)의 저서 <장경(葬經)>에서 찾을 수 있다. 이는 장풍득수(藏風得水)를 줄인 말로 물과의 만남을 득수(得水)라 하고, 기(氣)의 갈무리를 장풍(藏風)이라 한다.5) 중국에서는 한(漢) 시기에 음양설과 함께 구체적인 체계가 확립되기 시작하였으며, 우리나라에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삼국시대로 추정된다. 학문으로서 그 기틀을 세운 것은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인 도선
(道詵)에 이르러서였다는 것이 일반적 통설이다.6)

 

5) 김기범, 생활속의 풍수, 두양사, 2008, p72
6) 고영미, 풍수이론에 따른 건축배치 및 형태생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p15

 

2.1.3 풍수의 원리

 

산과 물, 방위 등은 일정한 법칙을 가지고 인간 생활에 영향을 끼쳐 왔다. 사람들은 오랜 세월 자연과 더불어 살아오면서 얻은 자연 이치를 정리했으니, 이것이 바로 풍수지리다. 따라서 풍수지리는 자연과학(自然科學)이라 할 수 있다.7)

 

우주의 삼라만상은 음양(陰陽)이라는 두 기(氣)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의 다섯가지 기(氣)로 되어 활동함으로써 비로소 생기(生氣)가 생기는 것이다. 만물은 이 생기에 따라 정교(精巧)함을 달리하여 성쇠(盛衰)의 차이를 가져온다.

 

음택풍수는 조상의 시신을 생기가 있는 곳에 모셔 생기를 받으면 그 생기가 자손에게 전달되어 자손이 행운을 받게 되는 것이고, 양택 풍수는 생기가 있는 좋은 땅에 집을 지어 삶으로써 건강하고 행운을 얻어 행복하게 살게 되는 것이다. 음택 풍수는 조상의 음덕으로 행복을 추가하는 반면 양택 풍수는 거주자가 직접 땅으로부터 혜택을 받는다.

 

이렇게 음과 양이 어울려 조화가 이루어질 때 인간에게 좋은 기가 많이 모이게 되는데 이것이 풍수의 간단한 원리다.

 

7) 주경숙, 풍수지리이론과 주택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p8

 

2.1.4 음양오행사상

 

음양오행 사상은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동양철학의 기본 이론이다. 한의학이나 사주, 침술, 관상 등 각종 동양 철학들이 대부분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풍수지리 역시 이러한 음양오행 사상에 근원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음양오행 사상의 음양설(陰陽說)과 오행설(五行說)은 초기에 각각 따로 발생하였다.

 

음양설이나 오행설의 핵심 개념은 기(氣)다.
기는 자연에 분산되어 있는 에너지를 말한다. 분산된 기가 모이면 생명체를 이루고, 생명체가 죽으면 다시 기로 분산된다. 기에는 양기와 음기가 있다. 양기는 하늘에서 발생되는 기를 말하며, 음기는 땅에서 발생되는 기를 말한다. 양기와 음기가 결합되면 하나의 생명체로서 작용한다.8)

 

오행이란 우주의 삼라만상을 형성하는 수(水). 화(火). 목(木). 금(金). 토(土)의 다섯 가지 활동의 원소를 말한다.

 

 

 

<그림1>오행의 상생상극도

 

 

오행은 상생상극 작용을 통해 만물을 생성하고 변화시킨다. 불은 나무가 없으면 존재할 수 없고, 흙은 불이 없으면 형체를 변경할 수 었다. 흙 속에서 광물이 나오고, 광물질이 많은 곳에서 물이 생성된다. 나무는 물이 없으면 살지 못한다. 이러한 관계를 상생(相生)이라 한다.

 

상극(相剋)은 서로를 극하는 것으로 나무는 땅속에 뿌리를 박고 살기 때문에 흙을 괴롭힌다. 흙은 물의 흐름을 막아버리고, 물은 불을 꺼버린다. 불은 금속을 녹여 버리고, 금은 나무를 베어낸다.
이처럼 오행의 상생상극 관계가 이루어지면서 우주의 모든 만물은 생성과 소멸을 해나가는 것이다.9)

 

 

 

  편중 오행          재료선택   방위선택   색채선택
     목(木)     금속재, 화학 마감재 ,타일, 목재, 황토   西, 南, 中央   백, 적, 황
     화(火)     황토, 금속재, 타일        北, 西, 中央   흑, 백, 황
     토(土)     목재, 금속재        北, 西, 東   흑, 백, 청
     금(金)     화학재료, 목재       南, 北, 東   적, 흑, 청
     수(水)     목재, 황토, 화학재료        東, 中央, 南   청, 황, 적

 

<표 1> 오행의 편중 시 선택 할 요소

 

 

각 공간의 구성 요소들을 살펴보면 재료와 색채와 방위의 구성에 있어서 불균형의 요소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려될 수 있는 방안들은 다음과 같다.

 

 

 

  편중 오행          재료선택   방위선택   색채선택
     목(木)     목재,   北, 東   청, 흑
     화(火)     목재, 화학재        東,  南   청, 적
     토(土)     황토, 타일류, 화학재   中央, 南   황, 적
     금(金)     금속재, 황토   西, 中央   백, 황
     수(水)     금속재   北,  西   흑, 백

 

<표 2> 오행의 편중 시 피해야 할 요소

 

 

 

  편중 오행          재료선택   방위선택   색채선택
     목(木)     목재,   東, 北,   청, 흑
     화(火)     목재, 화학재        南, 東,   적, 청,
     토(土)     타일, 흙, 도기류, 화학재   中央, 南   황, 적
     금(金)     흙, 도기류, 금속재   西, 中央   백, 황
     수(水)     금속재   北,  西   흑, 백

 

<표 3> 오행의 부족 시 선택할 수 있는 요소

 

 

 

  편중 오행          재료선택   방위선택   색채선택
     목(木)     금속재, 화학재   西,  南   적, 백
     화(火)     타일, 흙, 도기류   北,  中央   흑, 황
     토(土)     목재, 금속재   東,  西   청, 백
     금(金)     화학재   南,  北   적, 흑
     수(水)     타일, 흙, 도기류, 목재   中央, 東   황, 청

 

<표 4> 오행의 부족 시 피해야 할 요소

 

8) 김미영, 풍수사상이 인테리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p13

9) 정경연, 부자되는 양택풍수, 평단문화사, 2008, p181

 

 

2.2 주거계획으로의 풍수 이론

 

2.2.1. 방위론

 

주택을 비롯한 건물 방위의 길흉 분석은 주로 8방위를 사용한다. 주택의 출입구나 창문과 같은 개구부는 외부 공기와 빛을 받아들이는 통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개구부가 면하고 있는 방위에 따라 내부 공기의 성질이 달라지고 따라서 동일한 면적의 주택이라고 해도 배치된 방위의 기운에 의해 실내 분위기가 달라지며, 그 결과 주택에 사는 사람들의 정신적 육체적 영향도 달라진다고 본다.

 

주택의 실내 공간 배치에 따른 길흉을 알기 위해서는 양택풍수에서 기본이 되는 집의 중심점 구하기와 8방위에 따른 주택의 방위 내는 법, 방위별 운세의 작용력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양택풍수에서 8방위는 동, 서, 남, 북, 북동, 남동, 북서, 남서 등의 8방위를 말하는데 집의 방위를 구분하려면 자신이 살고 있는 집의 중심점을 구해야 한다.

사각형의 집일 경우에는 네 귀퉁이를 대각선으로 그어서 교차하는 지점을 중심점으로 본다. 집의 8방위 중심점을 구한 다음 중심점에 나침반을 위치한 후 자북을 북쪽으로 표시하여 8 방위를 정한다.10)

 

이와 같은 방위는 오행에 따라 상생되는 관계를 가지고 있다.

 

 

 

 8방위   東   南東   南   北東   南西   北西   西   北
 음양오행   목(木)  목(木)  화(火)  토(土)  토(土)  금(金)  금(金)  수(水)

 

<표 5> 8방위와 오행11)

 

10) 서진원, 풍수와 음양오행 이론의 인테리어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2003, p18

11) 유화정, 돈과 건강을 부르는 新풍수 인테리어, 예가, 2008, p123

 

 

2.2.2. 양택삼요(陽宅三樂)

 

양택의 3요소란 사람이 주로 거주하는 주거 내의 공간, 즉 안방, 대문, 주방을 가리킨다. 주거의 건물을 구성한 주요 공간들 중에서 가장 영향이 크다고 하여 안방, 대문, 주방을 양택삼요라 하고 매우 중요시 하였다.

 

2.2.3. 동서사택론

 

가택구성법을 살펴보면 4개 궁위는 길하고, 4개 궁위는 흉하게 나온다.

기두가 감방(북), 진방(동), 손방(동남), 이방(남)이면 좋은 방위로 모두 이곳에 해당되며, 이들 4방위를 동사택이라 한다.

기두가 간방(동북), 곤방(남서), 태방(서), 건방(서북)이면 이들 또한 좋은 방위로 서사택이라 한다.

 

따라서 기두의 방위만 알면 쉽게 길흉 방위를 알 수 있다. 즉 아파트의 현관문이나 사무실의 출입문이 동사택과 서사택 방위에 있으면 길하다.
그러므로 주거의 경우 대문, 안방, 부엌, 거실, 자녀방, 서재 등은 동일한 사택방위에 배치하면 좋다.12)

 

12) 정경연, 부자되는 양택풍수, 평단문화사, 2008, p208

 

 

3. 공간의 풍수적 접근

 

주거는 우리가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고 휴식과 안정을 얻는데 가장 중요한 기본 공간이다. 주거 환경이 건강하고 생기가 넘쳐야 그 속에 사는 사람들 역시 건강하고 활기차게 생활해 나갈 수가 있다.

서구에서 인테리어에 풍수 개념과 원칙을 도입하는 것도 바로 그런 이유다.

 

실내 기운은 그 곳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대자연에 흐르는 기의 흐름을 찾아내어 나쁜 기운은 차단하고 좋은 기운은 살려서 사는 동안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풍요로울 수 있게 최적의 조건을 만들자는 것이다.13)

 

13) 미도오 류우지, 생활풍수 인테리어, 느낌이 잇는 책, 2006, p4

 

3.1 방위선택

 

안방은 현관, 주방과 함께 양택삼요(陽宅三樂)의 하나로서 한 가정의 길운과 흉운을 구분 짓는 3대 요소이며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대부분의 집들은 햇볕이 많이 쪼이는 남쪽 창가의 한쪽 구석에 안방이 위치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부부만의 독립성을 위해 안방을 가장 구석진 장소에 배치하는 경향이 많다.

 

그러나 주거에서 구석진 공간은 생기가 모이지 못해 안방의 위치로는 지양하는 것이 좋다. 사람은 수면을 통해 새로운 기운을 축적함으로 매일 좋은 기를 받기 위해서는 집에서 가장 생기가 많이 모이는 곳에 계획하여야 한다.

 

현관은 외부의 생기가 주택 내부로 들어오게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현관이 생기가 많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야 주택 내부에 생기가 모이게 된다.

현관의 위치는 주택의 중심축, 즉 건물 중심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부득이하게 주택 내부 기능에 따라 중심에 설치할 수 없다면 약간 벗어나는 것도 무방하다. 그러나 주거공간의 끝 부분이나 모서리에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거실은 현관을 통하여 들어온 외부의 기가 집안 내부의 기와 접하는 요충지다.14) 안방보다 중심에 있어 집의 기운이 가장 많이 모이는 곳이다. 이상적인 거실은 집 안의 중심축에 넓게 자리 잡고, 천정도 높은 것이 좋다.

 

이런 거실에서 생기는 좋은 기는 그 집에 있는 사람들의 건강이나 사회적인 활동을 크게 촉진시켜 행운을 가져다 준다. 이처럼 강한 생기가 모여 있는 공간은 낮에는 거실로 사용하고 밤에도 침실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물론 침실이 독립적이지 못한 번거로움이 있지만, 생기의 기운은 매우 좋다.

 

주방은 음식을 조리하고 가족이 모여 식사와 대화를 하는 곳으로서 주택의 기능 중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곳 중 하나이다. 풍수 이론에 따르면 주방 위치에 따라 음식 맛도 달라진다고 했다. 이것은 주방의 기운이 위치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식을 맛있게 만들기 위해서는 주방의 위치나 형태가 매우 중요하다.

 

오늘날의 주방은 다른 실내공간이 한 덩어리로 어우러져 화기(火氣)가 각 방의 맑은 기운을 몰아내는가 하면, 음식의 탁한 기운이 합해져 가족들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방위로는 모든 기운이 생성되는 아침 해가 비치는 동쪽이 가장 좋다.

 

욕실 기운은 음기(陰氣)이므로 집 안의 다른 양기(陽氣)를 억제한다. 욕실 위치가 주택의 중심 부분에 있을 경우에는 욕실 공기가 실내에 확산되는 힘이 더욱 크다.

 

욕실은 수(水)의 기운인 음기를 지니고 있어 고려할 사항은 통풍, 배수, 방위이다. 항상 물기가 많은 욕실은 습기를 제거해야 하므로, 창문이 위치한 서쪽과 남서쪽이 좋으며, 창문이 없으면 창문이 있는 북쪽 욕실보다 못하다. 따라서 주택 내부의 수세식 욕실이라고 해도 가능한 가장자리에 설치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욕실 기운이 주택 내부에 퍼지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14) 정경연, 부자되는 양택풍수, 평단문화사, 2008, p254

 

3.2 가구배치

 

과거에는 실내에 되도록 옷장, 농, 궤 등을 두지 않는 것을 길하게 여겼다. 실내의 넓이와 개방감을 해친다고 보았고 장식이 많은 집은 흉하게 보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오면서 가구가 인테리어에 중요한 요소로써 자리하고 있는 만큼, 풍수인테리어에 근거한 가구 배치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들 중 하나인 것이다.

 

3.2.1 안방의 침대 배치

 

침실과 침대는 주택 생활에서 인간 개개인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수면시간이 하루의 3분1 이라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이 안방이며, 한 가정의 중추적 기둥을 맡고 있는 부부가 기거하는 곳이다. 침실의 위치도 중요하지만 침대 위치에 따라 방안에 있는 기의 흐름 또한 달라지므로 침대 위치도 중요하다. 기의 흐름이 어떠한가에 따라 수면 상태가 달라지며, 거기에서 잠을 자는 사람의 길흉화복이 좌우된다.

 

나아가 사람의 코를 어디에 두어야 하는 지는 중요한 문제이다. 왜냐하면 코는 기가 사람의 내부로 출입하는 통로이며, 코의 위치가 기의 순환 중에서 길한 곳을 택해야 사람이 건강하고 피로가 풀리고 활력을 되찾기 때문이다.

 

 

<그림2> 이상적인 침대배치

 

 

따라서 풍수인테리어의 구성 요소인 가구의 배치 방법에서 사람의 머리는 항상 창문에서 멀리 두며 침대는 문으로부터 대각선 방향 귀퉁이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그럼으로써 거주자는 가급적 넓은 시야를 확보하게 되고 들어오는 사람을 쉽사리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드럽게 균형있는 기의 흐름을 확보하게 된다.15)

 

또 발끝은 항상 창문 쪽으로 한다. 그리고 창문, 유리창도 침대위치에서 피하는 것이다. 또한 동서 사택의 이
론에 의해서 침대 위치는 동쪽이 좋고, 창문 밑에 침대를 두는 것은 제일 나쁘게 풍수적으로 해석된다.16)

 

15) 사라로스바크, 풍수로 보는 인테리어, 동도원, 2006, p80
16) 김미영, 풍수사상이 인테리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p39~40

 

 

3.2.2 자녀방의 책상 배치

 

자녀방은 먼저 집중력을 높여 주는 일이 중요하며 성장하는 시기임으로 방안의 기운이 활기차고 기가 충만하여 성장에 알맞은 기의 공급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공부방과 서재에서 책상의 배치는 책상을 한가운데 놓고 공부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창문을 향해 바라보고 책상을 배치하는 경우는 잘못된 배치이다.

 

3.2.3 거실의 소파 배치

 

어느 집이든 거실을 보면 그 구성원의 직업, 취미, 교양, 재산, 사회적 신분은 물론 집안 내력 등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가 있다.

 

현대 주택의 구조상 가족들이 함께하는 대부분의 시간을 거실에서 보내며 집안 화합의 중심 역할을 한다. 요즘에 와서는 그 중요도가 더욱 증대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거실은 생기가 충만하여 집안이 번창할 수 있게끔 가구의 자리배치와 내부 장식이 이루어져야 한다. 풍수인테리어에서 거실을 살필 때는 소파, 현관문, 부엌 및 창문의 위치 등 크게 네 가지 요소를 고려한다. 그 중에서 소파의 자리 배치가 가장 중요한데 그 곳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이 기의 흐름을 타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소파를 현관문과 창문에서 가급적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시키며 벽을 등지는 구조 배치가 이상적이다. 이럴 경우 소파와 현관문의 위치가 대각선으로 마주보고 있기 때문에 기의 흐름이 좋을 뿐만 아니라 거실 전체를 통해 혹은 조망할 수 있는 이상적인 배치가 된다.

 

3.3 색채계획

 

현대에 와서 다양한 색채의 구현이 가능해지고 색채의 명칭이 생겨남에 따라 모든 색채를 오행의 색채 언어로 해석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색채는 상생상극관계를 고려하여 8방위와 음양오행 이론을 근거로 색채계획이 가능하다.

 

 

<표 6> 색상관계 및 적용조건

 

 

3.3.1 침실

 

침실은 수면공간으로 자신에게 부족한 기운의 색채를 사용하면 잠을 자는 동안 부족한 기운을 보충하게 되므로 심신이 안정되고 숙면을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강렬한 원색은 피하고, 유사 색상이나 옅은 색채로 배색하는 것이 좋다.
부부간에 필요한 색채가 서로 다르다면, 일단 가장에게 필요한 색채를 옅게 사용한다.

 

3.3.2 공부방 및 서재

 

학습 때문에 파란색이나 녹색의 벽지는 바를 수도 있지만 만약 목(木)의 기운이 선천적으로 많으면 파란색과 녹색이 타고난 기운을 더 자극하여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사람은 자신에게 필요한 색채로 꾸며진 공간에서 활력과 충만한 생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우선 색채로 기의 균형을 조절한다. 따라서 공부방은 부족한 기운을 보완할 수 있는 색채의 바닥재와 벽지를 사용한다.

 

3.3.3 거실

 

가족에게 공통적으로 필요한 색채나 가장에게 필요한 색채를 선택한다. 거실이 좁다면 짙은 색채보다는 옅은 색채를 사용한다. 거실은 실내의 중심으로서 가족의 기가 모이기 때문에 풍수색채의 중심인 토(土)를 상징하는 황토색, 옅은 갈색, 아이보리색상을 사용하면 무난하다. 또 주변의 상황을 고려하여 색채를 선택할 수 있다.

7층 이상의 고층아파트라면 부족한 땅의 기운을 보완하기 위해 거실을 토의 색상으로 사용하고 반대로 아
파트가 저층이어서 인접한 조경수로 인해 햇빛이 차단되어 습기가 많아 거주자가 우울증이나 잡다한 질병에 자주 걸린다면 목(木)의 기운을 막아주는 금(金)의 색상인 흰색으로 거실을 꾸며서 기의 균형을 조절할 수 있다.

 

3.3.4 현관

 

전체적으로 밝은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이 좋으며 거실과 동일한 색채를 주로 사용한다. 40평 이상이어서 중문으로 현관과 실내가 구분되어 있다면, 기의 원활한 유입을 위해 옅은 초록색 벽지를 사용해도 좋다. 또 입구와 바로 연결된 현관에 가장 적절한 색채는 밝고 옅은 색이다.

 

3.3.5 주방 및 식당

 

주방에 적절한 흰색은 아무것도 채워지지 않은 캔버스와 같아서 빨간 토마토, 푸른 후추, 노란호박 등으로 만든 음식의 색깔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순수와 청결을 의미하는 흰색은 주방을 상징하는 오행의 화(火)와 조화를 이룬다. 또한, 빨간색은 부엌에 너무 많은 열을 제공해서 가족의 건강을 책임지는 주부의 마음을 조급하게 한다.

그러나 흰색이 주종을 이루는 주방이라면 빨간색과 검은색으로 액센트를 주는 것도 무방하다.

 

식당은 검은색을 피하고 식욕을 돋우는 밝고 연한 색을 택한다. 가족에게 공통적으로 필요한 색채나 가장에게 필요한 색채 중 알맞은 색을 찾아서 꾸민다.

 

3.3.6 욕실

 

타일과 위생기구는 흰색이나 아주 옅은 아이보리 색을 사용하고 습기를 제거하고 쾌적한 공간으로 만든다. 수(水)를 상징하는 욕실은 검은색이나 옅은 갈색이 아주 좋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피하도록 한다. 또 화장실은 검은색이나 흰색, 또는 이 두 가지 색을 혼합해 사용할 수 있다.

두가지 색을 혼합해 사용할 때는 이 보다 밝은 색의 타월을 사용하여 욕실의 배경에 액센트를 주는 것이 좋다. 분홍색, 파스텔색, 회색 역시 욕실에 좋은 색깔이다.

전신이 보이는 거울은 사람의 기를 다치게 할 수 있으므로 상반신이 보일정도의 크기가 좋으며, 기를 몰아낼 수 있는 흰색도 좋다.

 

 

3.4 재료계획

 

<표 7> 음양오행과 재료와의 관계

 

 

첫째, 재료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서로간의 상생되는 재료를 선택하며 상극관계의 재료 선택은 피한다. 예를 들어 목재가 주로 쓰일 경우 지나친 철제 장식이나 금속재 사용은 피하는 것이 좋다.

 

둘째, 공간의 오행 의미와 일치, 상생되는 재료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금속을 취급하는 공간일 경우 금의 기운을 생(生)하여 주는 흙의 기운인 점토나 타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셋째, 오행의 지나친 편중이 있을 때에는 생(生)이나 극(剋)할 수 있는 재료로 선택한다. 예를 들어 흙의 성격이 강한 부동산사무실 공간에 토(土)의 기운과 화(火)의 기운이 강한 재료를 사용하면 기운이 편중되어 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상생 이치에 따라 금(金)의 기운과 화(火)의 기운을 추가하여 균형과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3.5 조명계획

 

조명은 태양의 역할을 하는 풍수인테리어라 할 수 있다. 밝은 조명은 사람의 발길이 잘 닿지 않거나 어두운 공간에서 흘러나오는 불순하고 탁한 기운, 한기(寒氣)나 사기(邪氣)를 순화시켜 온화한 기가 순조롭게 흘러 다니도록 해준다.

 

공간에서 조명의 형태와 불빛, 색깔과 조도, 설치 위치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지만 설치하는 그 즉시 기(氣)의 변화와 흐름을 느낄 수 있다. 즉 조명으로 좋은 기운을 강화 시키는 것이다.

조명을 적절히 활용하면 주택에서 기운이 약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으며 기운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조명이 좋은 기운을 강화 시킨다고 해도 모든 곳에 조명을 비추는 것은 기의 균형을 깨뜨릴 수 있다. 기운이 가장 강화되길 원하는 자리에 적절한 조명을 비춰 그 자리의 기운을 더욱 강화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풍수 디자인이다.

 

예를 들어 평형대가 작은 집의 경우, 대부분 출입문을 열자마자 좁은 현관의 막힌 벽과 거실이 동시에 보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렇게 현관에 들어서자마자 시선이 두 군데로 분산되는 구조의 집에서는 평형감과 균형이 깨져 정서가 불안정하게 되고 피로를 느끼게 된다.

이런 문제는 여기에 벽부등이나 스포트라이트처럼 액자를 비추는 조명을 적절히 설치하면 멀고 가까운 두 곳으로 갈라지는 시선을 한쪽으로 집중시켜 더욱더 집 안의 기운을 안정시키고 균형을 바로 잡을 수도 있다. 그리고 실내는 대부분 사각 형태이므로 둥근 형태의 조명기구를 사용하여 기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좋다.

 

4. 공간의 풍수적용

 

4.1 공간별 디자인 이미지

 

공간디자인을 잘 하려면 각 방위에 맞는 색이나 소품을 잘 선정해야 한다.

 

 

 

 

 

 

4.2 디자인 사례 분석

 

4.2.1 분석 개요 및 방법

 

위에서 연구한 이론들이 인간과의 관계를 하나의 현상으로 해석하고 적용되었으며 이러한 이론들이 공동주택에 어떠한 원리로 접근시킬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공동주택의 실별 방위와 디자인을 파악한 후, 여기에 내포하고 있는 기의 흐름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림 3> 풍수를 적용한 공동주택 디자인 순서도

 

 

4.2.2 사례 분석

 

??안방은 신선하고 생동감 있는 기운을 가졌다. 침실은 수면을 취하기에는 적당한 방위이나 탁한 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깨끗하게 관리하고 가구는 원형이 좋다.

??자녀방은 자녀가 지나친 자만과 우월감에 도취될 가능성이 있다. 소품은 고급스럽게 하고 녹색이나 주황색 계열로 연출하는 것이 좋다.

??서쪽 욕실은 음기가 강해 소비가 클 수 있다. 탁한 기가 들지 않도록 청결하고 건조하게 관리하는 것이 좋다.

 

<표 13> 사례분석

 

<표 15> 사례분석

 

 

 

5. 결론

 

본 연구는 공간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풍수를 중심으로 이론적인 연구를 해보았으며 공동주택에 있어 풍수는 쾌적하고 건강한 환경을 추구하기 위해 자연과 인간 생활환경의 조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풍수는 여러 가지 이론들이 상호 보완 및 유기적으로 연관성이 있다고 하겠다. 이처럼 공간디자인에 있어서도 상호간의 불균형 요소를 가구배치, 재료, 색채, 조명 등으로 보완하면서 상생과 상극 관계를 염두 하여야 할 것이다.

 

실내공간에 좋은 기운을 모이게 하는 것은 좋은 잠자리를 만들고, 좋은 환경에서 활동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풍수를 적용한 공간디자인은 기가 잘 흐를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들고 가구배치, 재료, 색채, 조명 등의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이 합쳐져 기의 흐름을 활발하게 만드는 것으로 정리된다. 이와 같은 적용 방법은 공동주택에 있어서도 친환경적인 공간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방법으로는 풍수 이론을 중심으로 공간디자인의
상호 불균형의 요소들의 조화를 통하여 만들어 갈 수 있는 것이다.

 

기존의 공동주택 공간디자인이 미적인 요소와 조형적, 효율적 가치를 위주로 한 디자인이었다면 풍수를 적용한 디자인은 자연에 근거한 전통사상과 철학이 내포된 작업이며 인간과 자연의 조화인 것이다.

 

풍수를 적용한 디자인이 길, 흉을 판단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계속 연구해야 할 것이지만 이러한 사상이 향후 공동주택 공간디자인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Geomancy(Feng-shui) is the study for improving life by researching the harmonious rason in the space of nature and human's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ground that can be applied to the space of public housing through the geomancy and study the effect of energy flow on human through literature study. In the study, introduction describes the necessity to apply geomancy to residential space and main body searches for the possibility to apply it to space on the basis of concept and basic theory of geomancy and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and its effect through geomantic approach. In conclusion, the study analyzes what principle can be applied to moder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lifestyle by researching actual example of public housing. It is expected that the theory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eco-friendly public housing space for modern people, who have higher interests in natural environment and health, and it will suggest a new design direction for public housing space in the future.

 

 

참고문헌

 

1. 김기범, 생활속의 풍수, 두양사, 2008 미도오 류우지, 생활풍수 인테리어, 느낌이 잇는 책, 2006
2. 사라로스바크, 풍수로 보는 인테리어, 동도원, 2006
3. 유화정, 돈과 건강을 부르는 新풍수 인테리어, 예가, 2008
4. 이성준, 돈 잘 버는 사람은 뭐가 다른 걸까, 도서출판 예문, 2002
5. 정경연, 부자되는 양택풍수, 평단문화사, 2008
6. 정판성, 주택 아파트 인테리어 풍수와의 만남,태웅출판사, 2006
7. 고영미, 풍수이론에 따른 건축배치 및 형태생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5
8. 김미영, 풍수사상이 인테리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9. 서진원, 풍수와 음양오행 이론의 인테리어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3
10. 이유영, 현대적 의미의 풍수를 적용한 주거계획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공학, 2003
11. 주경숙, 풍수지리이론과 주택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7

 

?1차 원고접수 : 2009. 09. 10.
?수정원고접수 : 2010. 02. 12.
?최종원고접수 : 2010. 0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