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영상시

일색변(一色邊) / 무산(霧山) 조오현

경호... 2012. 12. 19. 19:36

 

 

 일색변(一色邊) .1

 

  / 무산(霧山) 조오현

 

 

 

 

무심한 한 덩이 바위도

바위소리 들을라면

 

들어도 들어 올려도

끝내 들리지 않아야

 

그 물론 검버섯 같은 것이

거뭇거뭇 피어나야

 

 

 

 

 일색변. 2

 

 

 

한 그루 늙은 나무도

고목소리 들을라면

 

속은 으레껏 썩고

곧은 가지들은 다 부러져야

 

그 물론 굽은 등걸에

장독(杖毒)들도 남아 있어야

 

 

 

 일색변. 3

 

 

 

사내라고 다 장부 아니여

장부소리 들을라면

 

몸은 들지 못해도

마음 하나는 다 놓았다 다 들어올려야

 

그 물론 몰현금(沒弦琴)한 줄은

그냥 탈 줄 알아야

 

 

*몰현금: 줄 없는 거문고

 

  

 

 일색변. 4

 

 

 

여자라고 다 여자 아니여

여자소리 들을라면

 

언제 어디서 봐도

거문고줄 같아야

 

그 물론 진겁(塵劫)다 하도록

기다리는 사람 있어야

 

 

*진겁: 과거 또는 미래의 아주 오랜 시간

 

 

 

 

 

                                                                                                                                                     오원 장승업 / 군마도

 

 

 

 

 일색변. 5

 

 

 

사랑도 사랑 나름이지

정녕 사랑한다면

 

연연한 어울목에

돌다리 하나는 놓아야

 

그 물론 만나는 거리도

이승 저승쯤은 되어야

 

 

 

 일색변. 6

 

 

 

놈이라고 다 중놈이냐

중놈소리 들을라면

 

취모검(吹毛劍) 날 끝에서

그 몇 번은 죽어야

 

그 물론 손발톱 눈썹도

짓물러 다 빠져야

  

 

* 취모검 : 칼날 위에 솜털을 올려놓고 입으로 불면 끊어지는 예리하고 날카로운 칼

 

 

 

 

 일색변. 7

 

 

 

세상은 산다고 하면

부황이라고 좀 들어야

 

장판지 아니라도

들기름을 거듭 먹여야

 

그 물론 담장 밖으로

내놓을 말도 좀 있어야

 

 

 

 

 

          결구(結句).8

 

 

 

그 옛날 천하장수가
천하를 다 들었다 놓아도

 

한 티끌 겨자씨보다
어쩌면 더 작을

 

그 마음 하나는 끝내
들지도 놓지도 못했다더라

 

 

 

 

*일색변(一色邊) : 일색나변(一色那邊)의 준말로 유무색공 미오득실

(有無色空 迷梧得失)의 이견대대(二見待對)를 초월한 일색의 경계

 

 

 

                  

                                                                                                                        고구려의 魂 / 슬기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