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敎]/佛敎에關한 글

만공(宋滿空) 스님

경호... 2012. 11. 13. 02:37

만공 <상>

 

“전생빚 갚으려 중이 되었네”

 

 

<사진설명>1900년대 한국불교계의 선풍을 진작시킨 만공 스님의 진영.

 

5백년 이어진 숭유배불정책으로 조선시대의 불교는 그야말로 근근히 그 맥을 이어오다가 조선조말 경허 선사의 등장으로 홀연 불교증흥의 불꽃이 타오르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1900년대 우리나라 불교계에서는 ‘북(北) 오대산에 방한암이 있고, 남(南) 덕숭산에 송만공이 있다“는 말이 든든한 버팀목처럼 회자되고 있었다. 그만큼 오대산의 한암 스님과 덕숭산의 만공 스님은 당시 우리 불교계를 상징하는 두 거목이셨다.

 

“스승 위해 선 살도 베어 올리리라”

 

송만공(宋滿空) 스님은 1871년 3월7일, 전라북도 태인읍에서 출생, 14세의 어린 나이로 야반도주하여 봉서사, 송광사, 쌍계사를 거쳐 계룡산 동학사에서 진암(眞岩) 노사(老師)문하에 머물다가 천하의 선지식 경허 선사를 만나 충남 서산의 천장암에서 경허 선사의 속가 형인 태허 스님을 은사로, 경허 선사를 계사로 득도, 월면(月面)이라는 법명을 받고 사미승이 되었다. 그후 천장암 마곡사의 토굴에서 수행하였고 부석사를 거쳐 통도사의 백운암에서 마침내 두 번째 깨달음을 얻어 경허 선사로부터 인가를 받고 만공이라는 법호와 함께 전법게를 받았다.

 


이후 만공 스님은 금강산 마하연을 비롯 명산대찰에서 수행하였고 충남 예산의 덕숭산에

 

 

이후 만공 스님은 금강산 마하연을 비롯 명산대찰에서 수행하였고 충남 예산의 덕숭산에 머물며 수덕사, 정혜사, 견성암을 중창하고 기라성 같은 제자들을 길러내며 선풍을 드날리다가 1946년 10월 20일, 세수 76세, 법랍 62세로 열반에 들었다.

 

옛날 부처님 살아계실 때, 아난존자가 부처님을 ‘입안의 혀’처럼 극진히 시봉했다고 불전(佛傳)은 전하고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만공은 그의 스승 경허 선사를 얼마나 존경하고 얼마나 극진히 모셨는지 모른다.

 

만공이 젊었을 때, 경허 선사를 모시고 해인사에서 수행하고 있었다. 이 때 경허 선사는 술과 고기를 마다 않으시고 드시는지라 일부 수행자들 간에 말들이 많았다. 그러나 당시 해인사의 눈푸른 선객이었던 제산 스님과 주지 남전 스님은 남들이 뭐라고 하건 경허 선사께 곡차와 고기안주를 올려드렸다.

 

“나는 누가 뭐라고 하든, 경허 큰 스님께는 곡차와 닭고기를 계속 올릴 것이오.”

 

주지였던 남전 스님도 맞장구를 쳤다.

 

“경허 큰 스님같은 어른을 위해서라면 나는 닭 아니라 소라도 잡아 올리기를 서슴지 않겠소.”

 

이 때 만공 스님은 결연한 얼굴로 이렇게 말했다.

 

“제가 만일 경허 큰 스님을 모시고 깊은 산속에 살다가 양식이 떨어져 공양 올릴 것이 없게 된다면, 저는 기꺼이 제 살점을 점점이 오려서라도 스님을 봉양할 각오입니다.”

 

그만큼 스승 경허는 제자 만공에게 절대적인 존재였으니, 오늘날에 과연 이토록 극진히 스승을 모시는 제자가 남아 있을까.

 

“나는 전생에 기생이었지”

 

만공 스님은 참으로 지혜와 복덕을 두루 갖춘 분이었다. 모든 백성들이 초근목피로 연명하고 있던 시절이라 큰절이건, 작은 절이건 늘 양식조차 넉넉한 편이 아니었다. 그러나 만공 스님이 와 계시기만 하면 그 절에는 신도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고 시주도 줄을 이어서 절살림이 금방 넉넉해지곤 하였다.

 

어느날 비구니 일엽(一葉) 스님이 만공 스님께 여쭈었다.

 

“스님 참 이상한 일입니다. 스님께서 금강산 마하연에 계실 때도 그랬고, 이 수덕사도 그렇고, 스님이 계시기 전에는 끼니걱정하기 바빴는데, 스님께서 머물기만 하시면 시주가 줄을 이어 양식 걱정을 안하게 되니, 스님께서는 대체 전생에 무슨 복을 그리도 많이 지으셨습니까?”

 

“전생에 내가 고생고생 해가면서 저축을 좀 해 두었더니 그게 지금 돌아오는 거야.”

 

“무슨 저축을 어떻게 하셨는데요?”

 

만공 스님은 잠시 허공을 쳐다보시더니 말씀을 이어 나갔다.

 

“전생에 나는 여자였느니라. 그것도 복도 지지리도 없는 여자였다. 부모복도, 형제간 복도 없는 박복한 여자였어. 그래서 전라도 전주땅에서 기생노릇을 했었지.”

 

“예에? 기생을요?”

 

“그 때 내가 육보시(肉布施)를 좀 했지. 그리고 버는 돈이 있으면 굶은 사람들 양식을 사다 주고, 전주 봉서사에 계신 스님들 양식도 대어드리고... 그 때 그 양식들이 저축이 되어서 이제 조금씩 돌아오는 거야.”

 

만공 스님은 조금도 스스럼없이 당신의 전생이야기를 제자들에게 들려주시고는 하였다. 당신께서는 3생 전에 전주에서 향란이라는 기생노릇을 했는데, 그 때 바로 진묵대사께서 전주 봉서사에 계셨다고 말씀하셨다. 그리고 그 후생에는 장수였고, 바로 전생에는 소였다고 말씀하셨다.

 

“아니 스님께서 바로 전생에 소였다는 말씀입니까?”

 

“그래. 전생이 빚을 갚느라고 소로 태어났었는데, 소노릇을 하면서도 제대로 빚을 못 갚아 그 남은 빚을 갚으려고 중이 되었다.”

 

“소로 사셨으면 빚을 다 갚으셨을 텐데 무슨 빚이 또 남으셨다는 말씀입니까?”

 

“이 녀석아! 소도 소 나름이지. 여물만 배터지게 먹고 일할 때 게으름을 피우면 소노릇을 하면서도 빚을 갚기는커녕 오히려 빚을 늘이는 거야. 그러니 너희들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옛스님들은 이렇게 경계하셨느니라. 출가승려라고 해서 신도들이 갖다 주는 시주물을 받아 먹고 중노릇을 게을리 해서 불도를 제대로 이루지 못하면, 이는 신도들의 재물을 도적질한 것과 같은 것이니, 마땅히 죽어서 소가 되어 그 빚을 갚아야 하는 것이야. 무슨 말인지 알아 들었느냐?”

 

오늘 우리 중생, 한 사람 한 사람은 과연 어떠한가? 전생에 진 빚을 이생에 갚아나가기는커녕, 행여라도 새로운 빚을 늘이고 있는 것은 아닌지, 겸허한 마음으로 되돌아볼 일이다.

 

 

 

 

만공 <중>

 

“데라우찌 지옥 가 있으니 구제해 보아라”

 

1937년 3월10일 아침의 일이었다. 잠시 충남 마곡사의 주지를 맡고 있던 만공 스님은 그날 서울행차를 준비하고 계셨다. 다음날인 3월11일 조선총독부 회의실에서 미나미(南次郞)총독이 주재하는 조선불교31본산 주지회의가 소집된 때문이었다.

 

총독 꾸짖은 스님의 사자후

 

당시 스님은 시봉하고 있던 어린소년 몽술행자가 스님께 여주었다.

 

“공양간에서 듣자니 노스님께서 오늘 경성(京城)에 가신다고들 하던데 정말시옵니까요?”

 

이 물음이 채 끝나기도 전에 만공 스님은 벽력같이 소리를 지르셨다.

 

“너 이녀석 몽술아! 몽술이 너는 도대체 조선사람이더냐, 왜놈이더냐?”

“예에? 그야 저는 조선사람입니다요. 노스님.”

 

“그런데 어째서 조선사람 입에서 ‘경성’이라는 소리가 나오는고? 경성이라고 하는 소리는 왜놈들이 억지를 갖다 붙인 이름이요, 무학대사께서는 한양이라고 하셨느니라!”

“아, 예 노스님. 잘못했사옵니다.”

 

“다시는 경성 소리 입에 담지 말아라!”

“예, 노스님 명심하겠습니다.”

 

만공 스님은 그만큼 나라 잃은 통분을 가슴 속에 늘 담고 계셨고 단 한번도 ‘경성’이라는 소리를 입에 담지 않으셨다.

 

1937년 3월11일 오전 11시, 조선총독부 회의실에서는 조선8도의 도지사와 조선불교 3본산주지들이 참석한 가운데 미나미총독의 주재로 회의가 시작되었다.

“조선불교의 승려들이 도성출입을 할 수 있게 된 것도 다 일본의 덕분이요. 그렇지 않소?”간교한 미나미총독의 인사말이 끝나자 조선의 여러 주지들이 이구동성 아부하고 나섰다.

 

“사찰령을 선도한 것은 정말 잘한 일이었습니다.”

“데라우찌 전 총독의 은혜가 정말 중합니다.”

 

바로 그 때였다. 마곡사 주지 만공 스님이 더 이상 치사한 아부를 견디지 못하고 자리를 박차면서 일어섰다.

 

“청정이 본연커늘 어찌하여 산하대지가 나왔는가!”

“조선불교는 조선승려에 맡겨라”

 

회의장이 떠나갈 듯 큰소리로 할을 한 만공 스님은 계속해서 사자후를 토했다.

 

“한일합방 이전에는 절 안에서 음행하거나 술마시는 파계자가 있으면 뒤통수에 대고 나팔을 불어 내쫓거나 북을 지워 두들기며 산문출송을 해온 관계로 규모있는 교단생활을 하여 불조의 혜명을 이어왔다. 그러나 합병되어 사찰령 사법이 시행된 뒤로는 주지의 전단이 자행되어 승통이 문란하게 되고 일본승려의 파계하는 영향을 받아 취처, 음주, 육식을 공인하게 되었으니 조선승려 전부가 파계승이 되고 말았다.

나는 이 책임이 모두 총독부 당국에 있다고 생각한다.

경(經)에 이르시기를 ‘한 비구를 파계시켜도 삼아승지겁동안 아비지옥에 덜어진다’하였거늘, 7천승려 전부를 일시에 파계하게 한 공밖에 없는 총독부 당국에 무슨 대단한 업적이 있겠는가?.

..(중략)...

이같은 죄를 지은 데라우찌(寺內)총독 이하 당국자들은 지금 어디에 가 있겠는가? 무간아비지옥에서 한량없는 고통을 받고 있을 것이다."

 

회의장은 순식간에 만공 스님의 사자후로 엉망이 되어 버렸다. 미나미총독이 부들부들 떨며 소리쳤다.

 

“마곡사 주지는 조금 전에 내뱉은 망언을 당장 취소하시오!”

 

이에 만공 스님은 사정없이 주장자를 높이 들어 세 번 내리친 뒤 또 한번 사자후를 토했다.

 

“마곡사 주지 송만공은 내가 한 말을 절대로 취소할 수 없다. 그리고 조금 전에 온갖 교언영색으로 데라우찌 전임 총독을 칭찬한 조선승려들은 잘 들어야 할 것이오!

데라우찌의 은혜를 갚고자 하거든 부지런히 도를 닦아 성불하여 데라우찌를 지옥에서 건져내기부터 해야 할 것이오! 그리고 조선불교를 진정으로 진흥시키고자 한다면 총독부가 조선불교를 간섭해선 안될 것이니 조선불교를 조선승려들에게 맡기시오!”

 

이날, 피를 토하듯 내쏟는 만공 스님의 사자후로 총독부 회의는 산통이 깨지고 말았다. 2천만 조선인의 생사여탈권을 한손에 쥐고 있던 미나미 총독 옆에서 이토록 거침없는 사자후를 통쾌하게 내쏟을 수 있는 스님이 과연 만공 스님 말고 또 누가 있었을 것인가.

 

이날 밤, 이 통쾌한 소식을 전해들은 만해 한용운 스님은 만공 스님의 속소까지 찾아와 기뻐 어찌할 줄 몰랐다.

 

“참으로 잘하셨소! 과연 천하의 만공 스님이시오! 천하의 만공이 칼을 뽑아들었으니 저 쥐새끼 같은 왜놈들 간담이 서늘했겠구먼. 음, 하하하 헌데 만공, 기왕이면 할만 하지 말고 주장자로 한방씩 갈겨주지 그러셨나?”

 

이에 만공 스님이 한마디 응수했다.

“이 좀스런 사람아, 미련한 곰은 몽둥이를 쓰지만 큰 사자는 원래 할을 하는 법이네.”

 

과연 만공 스님은 스러져 가던 우리불교를 지켜낸 통큰 사자였음에 틀림없다.

청와대에서 밥만 먹자고 해도 쭈루루 달려가는 스님들, 장관, 국회의원만 뜨면 버선발로 달려나가 굽실거리는 스님은 설마 아니계시겠지?

 

“나라 잃은 백성은 송장이거늘”

 

만공 스님이 총독부회의를 망쳐버린 당시 조선총독부의 경무총감은 공교롭게도 전임 데라우찌 총독의 아들이었다. 그야말로, 날아가는 새도 떨어트릴 수 있는 경무총감인데, 자기 아버지가 아비지옥에 떨어져 있다는 모욕을 당했으니 그는 만공 스님은 무슨 죄목으로든 잡아 넣으려고 했다.

그러나 미나미총독이 “만공은 그렇게 다룰 인물이 아니다”고 극구 만류하고 오히려 만공 스님에게 당근정책을 쓰기로 했다.그래서 미나미 총독은 충청도 도지사를 시켜 만공 스님께 일본유람을 시켜드리도록 유회책을 썼다.

 

“미나미 총독 각하께서 스님께 특별히 은전을 베푸시는 것이니 일본유람을 다녀오십시오.”

 

이 말을 들은 만공 스님은 일언지하에 일본유람을 거절했다.

 

“일본 유람. 난 일없네!”

“아니 이건 총독각하의 특별한 은전인데....”

“이 사람아, 나라잃은 백성은 이미 송장이거늘 송장을 데려다가 일본천지를 돌아다니면서 ‘자 보아라, 저자들이 바로 조선불교계의 송장들이다’하고 구경이나 시키자는건데, 내 어찌 그런 망신을 당하러 일본에 간단 말인가! 일본 유람 못가서 안달이 난 놈들이 수두룩 할테니 그자들이나 데리고 가게!”

 

만공 스님은 그런 분이셨다.

 

 

 

 

 

 

만공 <하>

 

거울 보며 “이제 이별해야겠네 그려”

 

1930년대 말경, 만공스님이 충남 예산의 덕숭산 수덕사에 주석하고 계실때의 일이었다. 당시 만공스님을 시봉하고 있던 어린 나이의 진성사미(오늘의 수덕사 원담 노스님)는 어느날 사하촌(寺下村)의 짓궂은 나뭇꾼들을 따라 산에 나무하러 갔다가 “재미있는 노래를 가르쳐줄 것이니 따라 부르라”는 나뭇꾼들의 말에 속아 시키는 대로 ‘딱따구리노래’를 배우게 되었다.

“저 산의 딱따구리는
생나무 구멍도 잘 뚫는데
우리집 멍터구리는
뚫린 구멍도 못 뚫는구나.“

이 노래는 그야말로 음란한 내용이었다. 그러나 아직 세상물정을 몰랐던 철없는 나이의 진성사미는 이 노랫말에 담긴 음란한 뜻을 알 리가 없었다. 그래서 진성사미는 이 노래를 배운 이후, 절안을 왔다갔다 하면서도 제법 구성지게 목청을 올려 이 해괴한 노래를 부르곤 하였다. 그러던 어느날, 진성사미가 한창 신이 나서 이 노래를 부르고 있는데 마침 만공스님께서 지나가시다가 이 노래를 듣게 되었다. 스님은 어린사미를 불러 세웠다.

“네가 부른 그 노래, 참 좋은 노래로구나, 잊어버리지 말거라.”
“예, 큰스님.”

 

 

<사진설명>만공 스님에 의해 크게 중창된 예산 수덕사, 이후 이곳은 한국선의 중심지로 널리 알려지게 됐다.

 

 

궁녀들 모아 놓고 ‘딱따구리 노래’ 법문

진성사미는 큰스님의 칭찬에 신이 났다. 그러던 어느 봄날, 서울에 있는 이왕가(李王家)의 상궁과 나인들이 노스님을 찾아뵙고 법문을 청하였다. 만공스님은 쾌히 청을 승낙하시더니 마참 좋은 법문이 있느니 들어보라 하시면서 진성사미를 불러 들였다.

“네가 부르던 그 딱따구리 노래, 여기서 한번 불러 보아라.”

많은 여자손님들 앞에서 느닷없이 딱따구리 노래를 부르라는 노스님의 분부에 어린 진성사미는 얼굴이 붉어졌지만, 그전에 노스님께서 그 노래를 칭찬해주신 일도 있고 해서 목청껏 소리 높여 멋들어지게 딱따구리 노래를 불러 제꼈다.

“저 산의 딱따구리는 생나무 구멍도 자알 뚫는데….”

철없는 어린사미가 이 노래를 불러대는 동안 왕궁에서 내려온 청신녀(淸信女)들은 얼굴을 붉힌채 어찌할줄을 모르고 고개를 숙이고 있었다.

이때 만공스님께서 한 말씀하셨다.

“바로 이 노래속에 인간을 가르치는 만고불력의 직설 핵심 법문이 있소. 마음이 깨끗하고 밝은 사람은 딱따구리 법문에서 많은 것을 얻을 것이나, 마음이 더러운 사람은 이 노래에서 한낱 추악한 잡념을 일으킬 것이오. 원래 참법문은 맑고 아름답고 더럽고 추한 경지를 넘어선 것이오.

범부중생은 부처와 똑같은 불성을 갖추어 가지고 이 땅에 태어난, 누구나 뚫린 부처씨앗이라는 것을 모르는 멍텅구리오. 뚫린 이치을 찾는 것이 바로 불법(佛法)이오. 삼독과 환상의 노예가 된 어리석은 중생들이라 참으로 불쌍한 멍텅구리인 것이오. 진리는 지극히 가까운데 있소. 큰길은 막힘과 걸림이 없어 원래 훤히 뚫린 것이기 때문에 지극히 가깝고, 결국 이 노래는 뚫린 이치도 제대로 못찾는, 딱따구리만도 못한 세상 사람들을 풍자한 훌륭한 법문이 것이오.”

 

 

<사진설명>만공스님이 조성한 미륵입상.

 

 

만공스님의 법문이 끝나자 그제서야 청신녀들은 합장배례하며 감사히 여겼다.

서울 왕궁으로 돌아간 궁녀들이 이 딱따구리 법문을 윤비(尹妃)에게 소상히 전해 올리자 윤비도 크게 감동, 딱따구리 노래를 부른 어린 사미를 왕궁으로 초청, ‘딱따구리’노래가 또 한 번 왕궁에서 불려진 일도 있었다.

만공스님은 조선총독 앞에서도 할 소리를 하신 무서운 스님이셨지만, 또 한편으로는 천진무구한 소년같은 분이셨다.

특히 제자들이 다 보는 앞에서 어린이처럼 손짓 발짓으로 춤을 추며 ‘누름갱이 노래’를 부르실 때는 모두들 너무 웃어 배가 아플 지경이었다.

“오랑께루 강께루/ 정지문뒤 성께루/
누름개를 중께루/ 먹음께루 종께루.”

우리나라 불교계에서 첫째 가는 선객이신 만공선사는 또한 타고난 풍류객의 끼를 지닌 멋쟁이 스님이셨다.

1930년대 중반, 운현궁에 있던 의친왕(義親王) 이강(李剛)이 민공스님께 귀의하면서 그 신돌(信)로 스님께서 원하시면 무엇이든 한가지 드리겠다고 말했다. 그러자 만공스님은 주저없이 운현궁에 내려오는 거문고를 달라고 하였다. 이 거문고는 고려때 것으로 역대 왕조의 임금들 가운데서 가장 풍류를 즐겼던 공민왕이 신령한 오동나무를 얻어 만든 신품명기(神品名器), 조선왕조 대대로 전해내려오며 대원군을 거쳐 의친왕에게 전해진 가보중의 가보. 통근 의친왕은 약속을 지키기 위해 이 거문고를 밤중에 수채구멍을 통해 내보내 선학원에 머물고 계신 만공스님께 전하게 했다.

만공스님은 이 보물같은 거문고를 소림초당에 걸어두고 명월이 만공산하면 초당앞 계곡에 놓인 갱진교에서 현현법곡(泫泫法曲)을 타면서 노래를 불렀다.

“흐르는 물소리는 조사의 서래곡이요 너울거리는 나뭇잎은 가섭의 춤이로세.”

“주인공아 정신차려 살필지어다”

만공스님은 당신 스스로에게는 물론 제자들에게 늘 당부하셨다.

“주인공아, 정신차려 살필지어다. 나를 낳아 기르신 부모의 은혜를 아느냐? 모든 것을 보호하여주는 나라의 은혜를 아느냐? 모든 씀씀이를 위해 가져다주는 시주의 은혜를 아느냐? 정법을 가르쳐주는 스님의 은혜를 아느냐? 서로 탁마하는 대중의 은혜를 아느냐? 이 더러운 몸이 생각생각에 썩어가고 있음을 알고 있느냐? 사람의 목숨이 호흡사이에 있음을 알고 있느냐?

중생이 가이 없는지라 서원코 건져야할 것이며, 번뇌가 다함이 없는지라 서원코 끊어야할 것이며, 법문이 한량이 없는지라 서원코 배워야할 것이며, 불도가 위 없는지라 서원코 이루어야 할 것이니라.”

해방된 이듬해인 1946년 10월 20일 아침, 만공스님은 목욕 단좌한 후 거울에 비친 당신의 모습을 보고 거울속의 만공에게 마지막 이별을 고하였다.

 

“여보게, 자네와 내가 이제 이별할 때가 되었네 그려….”

 

윤청광/논설위원

 

/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