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작품산책]/한국화,동양화

꽃에 빠지고 매화음(梅花飮)에 취하고 / 옛 그림에서 보는 민속문화

경호... 2015. 7. 9. 02:43

 

 

 

옛 그림에서 보는 민속문화

 

꽃에 빠지고 매화음(梅花飮)에 취하고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1759)의 <독서여가도(讀書餘暇圖)>라는 그림이 있다. 더운 여름 한 선비가 책을 읽다 말고 툇마루에 비스듬히 앉아 부채를 부치며 더위를 식히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뒤로 보이는 책장엔 책들이 가지런히 쌓여 있고, 열려 있는 책장문의 안쪽에는 정선 화풍의 산수화가 붙어 있다. 부채에도 그림이 그려져 있다. 이 부채그림 역시 얼핏 보기에 정선화풍의 분위기가 물씬 풍긴다. 누군가는 이런 이유등을 들어 이 그림이 정선의 자화상이지 않을까 추측하기도 한다.

 

잠시 책을 물리고 휴식을 취하는 주인공 선비는 고급스런 도자기 화분에 심어 놓은 화초를 감상하고 있다. 그 화초는 작약과 난초다. 그런데 보면 볼수록 선비의 모습이 흥미롭다. 꽃을 바라보는 그 모습이 망연(茫然)하기 때문이다. 마치 꽃에 넋을 잃은 듯하다. 저렇게 꽃에 빠져 있다니…….

 

요즘도 집 마당에 꽃을 키우거나 화분에 화초를 키우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조선시대라고 지금의 우리와 크게 달랐을 리가 없다. 그런데도 이 그림이 인상적으로 다가오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꽃을 표현한 그림은 많지만 누군가가 꽃을 감상하고 있는 모습을 그린 그림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리라.

 

 

겸재 정선, 독서여가도(讀書餘暇圖), 1727년경, 비단에 채색, 24×16.5.cm, 간송미술관

 

 

꽃 얘기 하는데 단원 김홍도(檀園 金弘道, 1745~1805년경)를 빼놓을 수 없다. 김홍도는 이런 일화를 남겼다.

 

 

"김홍도는 집이 가난하여 더러는 끼니를 잇지 못하였다.

하루는 어떤 사람이 매화 한 그루를 파는데 아주 기이한 것이었다. 돈이 없어 그것을 살 수 없었는데 때마침 돈 3000전을 보내 주는 자가 있었다. 그림을 요구하는 돈이었다.
이에 그중에서 2000전을 떼어내 매화를 사고, 800전으로 술 두어 말을 사다 가는 동인들을 모아 매화음(梅花飮)을 마련하고, 나머지 200전으로 쌀과 땔나무를 사니 하루의 계책도 못 되었다."

 

 

매화를 감상하면서 술을 마시는 것을 옛사람들은‘매화음(梅花飮)’이라고 불렀다. 단원은 매화음을 꽤나 좋아했던 것 같다. 매화음의 분위기를 잘 보여주는 그림이 있다. 단원의 <주상관매도(舟上觀梅圖)>다.

 

 

단원 김홍도, 주상관매도(舟上觀梅圖), 18세기말, 종이에 담채, 164×76cm, 개인 소장

 

 

그림 아래쪽을 보자. 선비 두 사람이 한가로이 뱃놀이를 하고 있다. 왼쪽의 흰옷 입은 사람은 좀 젊어 보이고, 오른쪽 연한 치자빛 옷을 입은 사람은 그보다는 나이가 많아 보인다. 치자빛 옷 색깔이 참 인상적이다.
그림 윗부분으로 눈길을 돌리니 언덕에 봄날의 매화가 피었다.

작은 배에서 두 사람의 선비가 고개를 들어 언덕 위의 매화를 바라보고 있다. 배 한가운데에는 작은 서안(書案)이 있고 그 위엔 도자기 술병이 놓여 있다.
저 여유로운 매화음! 그 분위기만큼이나 그림은 온통 여백이다. 그 여백이 무척이나 깊다.

시정(詩情)도 그윽하다.

 

김홍도는 그림 오른쪽 위에 중국 시인 두보(杜甫)의 시 한 구절을 써 넣었다.

 

‘老年花似霧中看(노년화사무중간)’,

‘늙은이가 보는 꽃은 안개 속에서 보는 것 같다’는 뜻.

 

이 구절을 읽고 나니 화면의 여백이 안개 속 같아 보인다. 욕심을 버리고 매화를 벗하며 살아가는 조선 선비들의 낭만이 저런 것일까.

 

조선시대 선비나 문인예술가들은 이렇게 꽃을 사랑하고 매화음을 즐겼다. 그럼, 대체 어느 정도 꽃을 좋아했던 것일까. 18, 19세기 꽃에 대한 관심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이 었다.

꽃의 감상은 물론이고 수집과 재배도 유행이었다고 한다.소나무, 대나무, 국화, 매화의 분재를 좋아했다.

동백처럼 남녘 땅에서 자라는 꽃나무들도 한양으로 들여와 사고팔았다. 국화꽃도 인기가 높았다. 다산 정약
용(茶山 丁若鏞) 역시 서울 명례방 집에 16종의 국화 화분을 갖고 있었다고 한다. 다양한 종류의 국화로 집을 꾸미는 사람도 많았고 국화꽃을 감상하는 모임까지 열렸을 정도였다.

이렇다보니 한양엔 꽃을 팔아 생계를 이어가는 사람도 적지 않았다. 매화 분재를 출세길의 뇌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는 수선화를 좋아했다. 그는 제주 유배시절, 수선화의 청순함을 보면서 시련을 견뎠고 다산 정약용에게 수선화를 선물하기도 했다. 18, 19세기 사람들은 이렇게 꽃을 좋아했다.

 

 

현재 심사정, 선유도(船遊圖), 1764년, 종이에 담채, 27.3×40cm, 개인 소장

 

 

현재 심사정(玄齋 沈師正, 1707~1769)의 <선유도(船遊圖)>에서도 꽃을 좋아했던 선비들의 청완(淸玩) 취미를 엿볼 수 있다. 파도가 거칠게 일렁이는 바다에서 뱃놀이를 하는 선비 두 명의 모습이다.

그런데 이들의 뱃놀이가 범상치 않다. 파도가 소용돌이치는데도 두 선비는 태연자약이다.
안달이 난 파도를 향해 외려 옅은 미소를 보내며 관조하고 있다. 엉덩이를 쭉 빼고 배의 균형을 잡으려 힘겹게 노를 젓고 있는 사공의 모습과는 사뭇 대조적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배 위의 풍경이다. 그 소용돌이의 와중에 배 한가운데에 서안이 떡 하니 놓여 있고 그 위에 서책과 자기 화병, 술잔이 놓여 있다. 화병에 홍매(紅梅)가 꽂혀 있으니 이 또한 선상(船上)의 매화음이다.
서안 바로 옆엔 고목등걸이 있고 그 꼭대기에 학이 앉아 있다. 이것도 경이로운 풍경이다.

배는 흔들리는데 학은 아무렇지도 않은 모양이다. 학은 바다에서 날아온 학이 아니라 두 선비가 키우는 애완용 학일 것이다. 조선 후기엔 집에서 학을 키우는 선비들도 있었다.

 

저 위태롭기 짝이 없어 보이는 파도 속에서도 매화음을 즐기며 뱃놀이를 하는 옛 사람들의 여유로운 아취! 그림으로 보니 더욱 이색적이고 흥미롭다.

 

 

 

 

 

 

출처 :

문화재보호재단. 월간문화재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August 2013

 

 

..............

 

 

 

詩題: 小寒食舟中作

 

佳辰?飯食猶寒,

隱?蕭條帶?冠。

春水船如天上坐,

老年花似霧中看。

娟娟?蝶過閒?,

片片輕鷗下急湍。

雲白山?萬餘里,

愁看直北是長安。

 

 

作者: 杜甫

皇帝紀年: 大曆五年

寫作時間: 770年

寫作年紀: 59歲

 

詩題: 小寒食舟中作

文體: 七言律詩

 

寫作地點: 潭州(江南西道 / 潭州 / 潭州)

寫及地點: 長安 (京畿道 京兆府 長安) 別名:京、京師、中京、京城、上都、京畿、西都

 

 

2、注釋:

小寒食:寒食節的次日,?明節的前一天。因禁火,所以冷食

佳辰:指小寒食節。?飯:勉?吃一點飯。

隱:倚、?。隱幾,?席地而坐,?著小?幾,見《莊子·齊物論》:南郭子?隱幾而坐。“幾”在這里指烏皮幾(以烏羔皮蒙幾上),是杜甫心愛的一張小?幾,一直帶在身邊,在一首詩中還寫道:“烏幾重重縛”(《風疾舟中伏枕書懷三十六韻奉呈湖南親友》),意思就是烏幾已經破舊,縫了?多遍了。

?(音h?合),雉類,據說是一種好斗的鳥,見于《山海經》。這里“?”通“褐”,指?色。

仇兆鰲注:“ 趙注:?冠,隱者之冠。”?王端履《重論文齋筆錄》卷五:“渾忘憔悴無?色,?笑他人戴?冠。”

 

春水船如天上坐,老年花似霧中看:  春來水漲,江流浩漫,所以在舟中漂蕩起伏猶如坐在天上云間

詩人身體衰邁,老眼昏蒙,看岸邊的花草猶如隔著一層薄霧。“天上坐”、“霧中看” 帶出了作者起伏的心潮,

這種心潮起伏不只是詩人暗自傷老,也包含著更深的意?:時局的動蕩不定,變亂無常,不也如同隔霧看花,?象難明?

 

娟娟?蝶過閑?,片片輕鷗下急湍:  語含比興。見蝶鷗往來自由,各得其所。益覺自己的不得自由。

娟娟,狀蝶之?。片片,狀鷗之輕。閑?,一作開?。

 

云白山?萬余里:極寫潭州(今長沙)距長安之遠。這是詩人的?張實際上長沙距長安也就一千多公里

直北: 正北。亦見“直北關山金鼓震”(《秋興八首·其四》)。

朱瀚注:蝶鷗自在,而云山空望,所以對景生愁。毛奇齡說:船如天上,花似霧中,娟娟?蝶,片片輕鷗,極其閑適。忽望及長安,驀然生愁,故結云:“愁看直北是長安”,此紀事生感也(《西河詩話》)。

 

 

3、譯文:

乘著美好節日勉??酒,有些?食依然冷寒。蕭條地?著憑幾,頭上戴的是隱士的?冠。

春水?澈坐在船上如同在天上。年紀衰老賞花好像在霧中觀看。

美麗的嬉?的蝴蝶,幽閑地飛過船上的布?。輕盈的一片片白鷗,高高?下大江的激湍。

無邊的白云?山,綿延一萬余里。愁看正北方,那里是自己懷念的長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