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별전(別錢) 별전(別錢)이란 조선시대에 정상적으로 통용되는 주화(鑄貨)와 구분하기 위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별전은 고려시대에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으나, 본격적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한 시기는 조선 숙종 4년(1678) 이후이다. 별전의 제작은 상평통보를 만드는 곳에서 상평통보의 소재인 구리의 질과 무게 등을 시험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따라서 별전은 일종의 기념화로서 상평통보처럼 유통되지 않고, 당시의 왕실 또는 사대부 등 상류사회의 패물이나 장식품으로 사용되었다. 별전에는 길상(吉祥) 및 벽사(僻邪)에 관련된 문자와 문양 등 여러 형태의 것들이 있다. 특히 조선 말기인 고종 때 여러 개의 별전을 연결해 만든 열쇠패는 당시의 상류사회에서 신부의 귀중한 혼수품으로 소중히 여겨졌다. 이처럼 조선시대의 별전은 실용성보다는 장식용으로서, 다남부귀(多男富貴)를 위한 다양한 길상 문자와 문양은 당시의 사회풍속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가 된다. | |
|
|
|
|
|
|
|
|
|
|
|
|
|
|
'#사색 > 史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정희 기념비 (0) | 2010.09.04 |
---|---|
백년전 한국담은 생생한 사진들 (0) | 2010.08.26 |
'한일병합 무효' 입증 문건 처음으로 확인 (0) | 2010.08.26 |
6.25가 남긴 자료 동영상 (0) | 2010.08.24 |
잊어서는 안될 우리의 역사. 한국전쟁에 대한 역사적 평가 (0) | 2010.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