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든 곳→ 한국 네티즌본부카페: 변조방지표시](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008/11/2010081100435_1.jpg)
한.일병합이 국제법상 무효임을 입증하는 조약문건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연합뉴스가 10일 서울대 이태진 명예교수로부터 입수한 '일본측 한.일병합 조서' 사진자료에 따르면 1910년 8월29일 일왕(천황)이 한일병합을 공포한 조서에 국새(天皇御璽)를 찍고 '睦仁'이라는 이름을 서명한 사실이 확인됐다.
반면 대한제국 순종황제가 같은 날 반포한 조서(칙유) 원본에는 국새가 찍히지 않았고 '李拓'이라는 이름도 서명되지 않았다. 그 대신 행정적 결재에만 사용하는 '勅命之寶'라는 어새가 날인돼있다. 이와같은 사실은 최서면 국제한국연구소장이 최근 입수해 연합뉴스에 제공한 일본측 한.일병합과 관련된 일본측 공문조서에서도 확인된다. 이 일본측 공문조서에도 국새 날인과 함께 일왕의 이름인 '睦仁'(일왕 메이지의 본명. 무쓰히토)이 서명돼있다. /연합뉴스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008/11/2010081100435_2.jpg)
한.일병합이 국제법상 무효임을 입증하는 조약문건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연합뉴스가 10일 서울대 이태진 명예교수로부터 입수한 '일본측 한.일병합 조서' 사진자료에 따르면 1910년 8월29일 일왕(천황)이 한일병합을 공포한 조서에 국새(天皇御璽)를 찍고 '睦仁'이라는 이름을 서명한 사실이 확인됐다. 사진은 병합 공포 한국황제(순종)의 '칙유'(왼쪽)와 일본 명치 천황(睦仁, 무쓰히도)의 병합 공포 조서 詔書(오른쪽). /연합뉴스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008/11/2010081100435_3.jpg)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008/11/2010081100435_3.jpg)
한.일병합이 국제법상 무효임을 입증하는 조약문건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연합뉴스가 10일 서울대 이태진 명예교수로부터 입수한 '일본측 한.일병합 조서' 사진자료에 따르면 1910년 8월29일 일왕(천황)이 한일병합을 공포한 조서에 국새(天皇御璽)를 찍고 '睦仁'이라는 이름을 서명한 사실이 확인됐다. 사진은 일본 명치 천황(睦仁, 무쓰히도)의 병합 공포 조서 詔書. '天皇御璽'가 날인되고 천황 이름자 친서가 제대로 되어 있다. 한국황제의 조서(칙유)도 이런 모습이 되어야 승인했다고 볼 수 있는데 그렇지 못하다. 일본 국립공문서관 소장. /연합뉴스
![만든 곳→ 한국 네티즌본부카페: 변조방지표시](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008/11/2010081100435_4.jpg)
▣ 日정부 보관’-‘圖書’ 범위 어디까지
![](http://image.donga.com/photo/udata/photonews/image/201008/11/20100811051/20100811051_1.jpg)
![만든 곳→ 한국 네티즌본부카페: 변조방지표시](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008/11/2010081100435_4.jpg)
한.일병합이 국제법상 무효임을 입증하는 조약문건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연합뉴스가 10일 서울대 이태진 명예교수로부터 입수한 '일본측 한.일병합 조서' 사진자료에 따르면 1910년 8월29일 일왕(천황)이 한일병합을 공포한 조서에 국새(天皇御璽)를 찍고 '睦仁'이라는 이름을 서명한 사실이 확인됐다. 사진은 병합 공포 한국황제(순종)의 '칙유'. 통감부가 고종황제 강제 퇴위 때 빼앗아 가지고 있던 어새(勅命之寶)만 찍히고 황제의 이름자(?) 서명이 없다. 원래 詔書로 하기로 했는데 순종황제의 거부로 칙유로 바꾼 것으로 보인다. 현재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연합뉴스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008/11/2010081100435_5.jpg)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008/11/2010081100435_5.jpg)
한.일병합이 국제법상 무효임을 입증하는 조약문건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연합뉴스가 10일 서울대 이태진 명예교수로부터 입수한 '일본측 한.일병합 조서' 사진자료에 따르면 1910년 8월29일 일왕(천황)이 한일병합을 공포한 조서에 국새(天皇御璽)를 찍고 '睦仁'이라는 이름을 서명한 사실이 확인됐다. 사진은 일본 명치 천황(睦仁, 무쓰히도)의 병합 공포 조서 詔書. '天皇御璽'가 날인되고 천황 이름자 친서가 제대로 되어 있다. 한국황제의 조서(칙유)도 이런 모습이 되어야 승인했다고 볼 수 있는데 그렇지 못하다. 일본 국립공문서관 소장. 기사 더보기: 손님보기 /연합뉴스
![](http://image.donga.com/photo/udata/photonews/image/201008/11/20100811051/20100811051_1.jpg)
일본의 왕실도서관인 궁내청 쇼로부에 있는 조선왕실의궤. 위쪽부터 보인소의궤(寶印所儀軌), 보인소의궤에 실린 어보 그림, 선원보략수정의궤(璿源譜略修正儀軌).
![한국 네티즌본부카페 작성: ← 변조방지표시](http://image.donga.com/photo/udata/photonews/image/201008/11/20100811051/20100811051_2.jpg)
![한국 네티즌본부카페 작성: ← 변조방지표시](http://image.donga.com/photo/udata/photonews/image/201008/11/20100811051/20100811051_2.jpg)
일본의 왕실도서관인 궁내청 쇼로부에 있는 조선왕실의궤. 위쪽부터 보인소의궤(寶印所儀軌), 보인소의궤에 실린 어보 그림, 선원보략수정의궤(璿源譜略修正儀軌).
'#사색 > 史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년전 한국담은 생생한 사진들 (0) | 2010.08.26 |
---|---|
조선시대 별전(別錢) (0) | 2010.08.26 |
6.25가 남긴 자료 동영상 (0) | 2010.08.24 |
잊어서는 안될 우리의 역사. 한국전쟁에 대한 역사적 평가 (0) | 2010.08.14 |
60년대 서울 (0) | 2009.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