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오(圜悟)스님께서 풍주(灃州)의 협산(夾山) 영천선원(靈泉禪院)에 주석하시면서
설두 중현(雪竇重顯)스님의 송고(頌古)에 대하여 평창한 말씀의 핵심.
- 벽암록 下
제74칙 금우의 춤(金牛作舞)
- [垂示]
垂示云. 鏌鎁橫按. 鋒前剪斷葛藤窠. 明鏡高懸. 句中引出毘盧印.
田地穩密處. 著衣喫飯. 神通遊戲處. 如何湊泊. 還委悉麽. 看取下文.
[수시]
막야(鏌鎁) 보검을 종횡으로 어루만지니 칼날 앞에 언어 갈등의 소굴이 끊어지고,
밝은 거울을 높이 거니 언구 속에 비로인(毘盧印)이 나온다.
평온하고 정밀한 경지에서 옷 입고 밥 먹으니,
신통력 부리는 곳에 무엇 하러 머물랴.
분명히 알았느냐? 아래의 글을 보아라.
[본칙]
擧. 金牛和尙每至齋時, 自將飯桶, 於僧堂前作舞, 呵呵大笑云, 菩薩子喫飯來.
雪竇云, 雖然如此, 金牛不是好心.
僧問長慶, 古人道, 菩薩子喫飯來, 意旨如何. 慶云. 大似因齋慶讚.
거론하다.(擧.)
금우(金牛)스님은 언제나 점심 때[齋]가 되면
몸소 밥통을 가지고 승당 앞에서 춤을 추면서 껄껄대며 말하였다.
“보살아! 밥 먹어라.”(金牛和尙每至齋時, 自將飯桶, 於僧堂前作舞, 呵呵大笑云, 菩薩子喫飯來.)
- 낚싯대 끝의 실이 그대가 움직이는 대로 흔들흔들 거리지만,
맑은 물결 어지럽히지 않으니 그 뜻이 남다르다.
제호와 독약을 동시에 활용한다. 옳기는 옳다.
모든 보배가 일시에 나열되었지만 알아주는 사람이 적은 것을 어찌하랴.
설두스님은 말하였다.
“그렇긴 하지만 금우스님은 마음씨가 좋지는 않다.”(雪竇云, 雖然如此, 金牛不是好心.)
- 도적이 도적을 알고 망상꾸러기가 망상꾸러기를 아는구나.
찾아와 시비하는 놈이 정말 시비하는 놈이다.
어떤 스님이 장경(長慶)스님에게 물었다.
“옛사람이 ‘보살아 ! 밥 먹어라’고 한 뜻은 무엇입니까?”
(僧問長慶, 古人道, 菩薩子喫飯來, 意旨如何.)
- 참으로 의심스럽네. 원래 귀결처를 몰랐구나.
장경스님이 무어라고 말할까?
“재(齋)로 인하여 축하하고 찬양하는 것과 똑같다.”(慶云. 大似因齋慶讚.)
- 분위기에 걸맞게 장단을 맞추네.
죄상에 의거하여 판결을 한다.
[평창]
금우스님은 마조스님 회하의 큰스님이시다.
점심때가 되기만 하면 밥통을 들고 승당 앞에서 춤을 추면서 껄껄대며 웃고 말하였다.
“보살아! 밥 먹어라.”
이같이 줄곧 20년 동안 하였는데, 말해보라, 그의 뜻은 어디에 있었는가를.
이를 단순히 ‘밥 먹어라’라는 뜻으로 생각한다면
평소에 목어(木魚)를 두드리고 북을 두드리는 것도 또한 밥 때를 알리는 것이다.
그런데 무엇 때문에 밥통을 들고 와서 숱한 재주를 피우는 것일까?
이는 그가 미친 게 아닐까? 아니면 법문을 하는 것인가?
만일 이를 법문을 하는 것이라 한다면
왜 보화왕좌(寶華王座 : 설법상) 위에서 선상을 두드리고 불자를 세우지 않았을까?
이처럼 해서 무엇 하려는 것이었을까?
요즈음 사람들은 옛사람의 뜻이 말 밖에 있다는 것을 모르고 있다.
왜 그들은 달마조사가 처음 붙인 제목이 무엇이었는가를 살펴보지 않을까?
분명히 말씀하시기를
“교(敎) 밖에 따로이 전하여 오직 심인(心印)만을 전한다”고 하였다.
옛사람의 방편이란 그대들에게 대뜸 알도록 하였는데,
후세 사람들은 헛되이 스스로 헤아리면서
“거기에 뭐 대수로운 일이야 있었겠나.
추우면 불 쪼이고, 더우면 시원한 바람 쏘이며,
배고프면 밥 먹고, 피곤하면 잠잔다”고 말들을 한다.
이와 같은 상정(常情)으로 뜻 풀이를 하고 주석을 붙이면[義解詮註]
달마의 일종(一宗)은 땅을 쓸어버린 듯 없어질 것이다.
이는 옛사람이 하루 종일 끊임없이 잊지 않고
이 일을 밝히려 했다는 점을 모른 것이다.
설두스님이 한 “그렇기는 하지만 금우스님은 마음씨가 좋지 않다”는 한 구절을
많은 사람들은 잘못 알고 있다.
이른바 으뜸가는 제호의 맛이란 세상에서 최고인데
이런 사람을 만나면 도리어 독약이 되는 경우이다.
금우스님은 한 수준을 낮추어서 사람을 지도하였는데,
설득스님은 무엇 때문에 “마음씨가 좋지 않다”고 말하였을까?
무엇 때문에 이처럼 말하였을까?
납승이라면 반드시 쌩쌩한 정신[生機]이 있어야 이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요즈음 사람은 옛사람의 경지에 이르지도 못하고서
오로지 “무슨 마음을 보며, 무슨 부처를 보랴”고 말들을 한다.
이런 견해를 지닌다면 금우 노작가를 헐뜯는 일이니,
반드시 자세하게 보아야 할 것이다.
오늘도 내일도 입으로만 지껄인다면 깨칠 기약이 없을 것이다.
그 뒤 장경스님이 상당 법문을 하자, 어떤 스님이 물었다.
“옛사람은 ‘보살아! 밥 먹어라’고 말씀하셨는데 그 뜻은 무엇입니까?”
“재(齋)로 인하여 축하하고 찬양하는 것과 똑같구나.”
존숙께서 너무도 자비로움이 많아 적잖은 허물을 지었다.
(대답이) 옳기는 옳지만 “재로 인하여 축하하고 찬양했다”하니,
그대들은 말해보라. 축하하고 찬양했던 것이 무엇인가를.
설두스님의 송을 살펴보라.
[송]
白雲影裏笑呵呵. 兩手持來付與他. 若是金毛獅子子. 三千里外見誵訛.
흰 구름 그림자 속에서 껄껄거림이여,(白雲影裏笑呵呵.)
- 웃음 속에 칼이 있다.
열을 내서는 안 되지.
천하의 납승들이 귀결점을 모르는구나.
두 손으로 가져다가 그대에게 전해준다.(兩手持來付與他.)
- 어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을까?
금우스님을 비방하지 않았으면 좋으련만.
밥통이라 말 해서야 되겠느냐.
본분 납승이라면 이런 밥은 먹지 않겠지.
황금빛 사자 새끼라면(若是金毛獅子子.)
- 반드시 격식을 벗어나야 할 것이다.
그가 안목을 갖추었다고는 인정하지만 안목이 바르지 못할까 걱정이다.
3천 리 밖에서도 어려운 곳을 알아차리리라.(三千里外見誵訛.)
- 반푼 어치도 안 된다. 한바탕 실수로군.
어려운 곳이 어디에 있느냐? 이 장님아!
[평창]
“흰 구름 그림자 속에서 껄껄거림이여”라고 하니,
장경스님은 “재로 인하여 축하하고 찬양한다” 말하였고,
설두스님은 “두 손으로 가져다가 그대에게 전해준다”고 하였는데,
말해보라, 이는 그에게 밥을 먹으라고 가져다 준 것일까,
(아니면) 따로이 기특한 것이 있을까?
이를 분명히 안다면 황금빛 사자의 새끼일 것이며,
황금빛 사자 새끼라면 다시는 금우스님이 밥통을 가지고
춤추며 껄껄댈 필요가 없을 것이며,
곧바로 3천 리 밖에서 그의 잘못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옛사람의 말에 거울은 기틀(언어) 이전에 있어서 약간의 조작도 필요치 않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납승이라면 평소에 격식 밖에서 활용해야
비로소 본분종사라고 불리울 것이며,
언어에 의거한다면 허물을 면치 못하리라.
'[佛敎] > 碧巖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암록(碧嚴錄)」 下 - 제76칙 안목을 갖추고 밥을 먹음(喫飯具眼) (0) | 2011.10.10 |
---|---|
「벽암록(碧嚴錄)」 下 - 제75칙 정주의 법도(定州法道) (0) | 2011.10.10 |
「벽암록(碧嚴錄)」 下 - 제73칙 마조의 백가지 모두 틀림(馬祖百非) (0) | 2011.10.10 |
「벽암록(碧嚴錄)」 下 - 제72칙 운암의 목도 입도 막은뒤(雲巖倂却) (0) | 2011.10.10 |
「벽암록(碧嚴錄)」 下 - 제71칙 오봉의 목도 입도 막은뒤(五峰倂却) (0) | 2011.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