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念處 - 마음챙김의 집중
-.身:몸에 대한 있는 그대로의 관찰
-.受:느낌에 대한 있는 그대로의 관찰
-.心:마음에 대한 있는 그대로의 관찰
-.法:부처님의 가르침에 대한 있는 그대로의 관찰
4意斷=4正勤 - 선(善)을 키우고 악(惡)을 멀리하는 네가지 법
-.아직 생기지 않은 惡은 미리 방지한다.
-.이미 생긴 惡은 아주 끊어 버린다.
-.아직 생기지 않은 善은 생기도록 한다.
-.이미 생긴 善은 더욱 증대시킨다.
4神足 - 4禪定을 체득하는데 필요한 네가지 조건
-.욕신족(欲神足): 禪定을 얻고자 원하는 일
-.근신족(勤神足): 더욱 더 禪定에 드는 일
-.심신족(心神足): 마음을 올바로 유지하는 일
-.관신족(觀神足): 지혜에 의해서 생각하는 일
8定 = 4禪+4無色定(空無邊處定+識無邊處定+無所有處定+非想非非想處定)
-.초선(初禪): 언제든지 내가 원하는대로 감각적 욕망과 착하지 못한법을 멀리 떠남에서
생겨나는 희열과 행복을 갖추며 이때에 사유와 숙고가 있는 첫번째 선정에
든다.
-.2禪: 언제든지 내가 원하는대로 사유와 숙고의 멈춤에서 오는 내적인 평온과 마음의
통일을 이루고 무숙고와 무사유로 비롯되는 희열과 행복을 갖추며 두번째 선정에
든다.
-.3禪: 언제든지 내가 원하는대로 희열이 사라진뒤 평정하고 주의깊고 행복한 세번째
선정에 든다.
-.4禪: 언제든지 내가 원하는대로 행복을 버리고 고통을 버려서 괴로움도 없고 즐거움도
없는 평정하고 주의깊은 네번째 선정에 든다.
-.공무변처정: 언제든지 내가 원하는대로 지각을 뛰어넘어 공간이 무한한 무한공간의
세계에 든다.
-.식무변처정: 언제든지 내가 원하는대로 완전한 무한공간을 뛰어넘어 의식이 무한한
무한의식의 세계에 든다.
-.무소유처정: 언제든지 내가 원하는대로 완전한 무한의식의 세계를 뛰어넘어 아무것도
없는 세계 에 든다.
-.비상비비상처정: 언제든지 내가 원하는대로 아무것도 없는 세계를 뛰어넘어 지각하는
것도 아니고 지각하지 않는 것도 아닌 세계에 든다.
멸진정(滅盡定)=상수멸정(想受滅定): 8定을 넘어선 깨달음과 해탈의 단계
-. 언제든지 내가 원하는대로 지각하는 것도 아니고 지각하지 않는 것도 아닌 세계를 넘어서
지각과 감수가 소멸하는 선정에 든다.
※ 세존이 이세상을 떠나시기 직전에 멸진정(滅盡定)에 드신후 멸진정에서
깨어나시고 비상비비상처정(非想非非想處定)에 드셨고 비상비비상처정에서
깨어나신후 무소유처정(無所有處定)에 드셨다.그렇게 차례로 식무변처정-->
공무변처정-->제4선-->제3선-->제2선-->초선에 드셨다. 그리고 초선에서
깨어나 2선.3선.4선에 드셨고 제4선에서 반열반 하셨다.
5根과 5力 - 해탈열반에 이르는 5가지 수단
-.믿음(信): 佛,法,僧,戒 이 네가지를 믿는다.
-.정진(精進): 4正勤에서 선을 키우고 악을 멀리한다.
-.염(念): 4念處에서 마음챙김을 확립한다.
-.정(定): 삼매는 네가지 禪定(초선->2선->3선->4선)에서 얻는다
-.혜(慧): 통찰지의 기능은 4聖諦=고집멸도(苦集滅道)에서 보아야 한다.
7覺支
-. 택법각지(擇法覺分) : 지혜로 모든 법을 살펴 선법을 택하고 악법을 버리는 것.
-. 정진각지(精進覺分) : 갖가지의 수행을 할 때 치우친 고행은 피하고 올바른 중도의
이치에 전력하여 게으르지 않음.
-. 희각지(喜覺分) : 참된 법을 얻어 언제나 기뻐함
-. 제각지(除覺分) : 그릇된 견해나 번뇌를 끊어 버리면 능히 참되고 거짓됨을 알아 올바른
선근을 기름.
-. 사각지(捨覺分) : 바깥경계에 집착하던 마음을 떠날 때 거짓되고 참답지 못했던 것을
추억함을 버림
-. 정각지(定覺分) : 선정으로 마음을 안온하게 하여 번뇌망상을 일으키지 않음
-. 념각지(念覺分) : 불도를 수행함에 있어 잘 고루어 선정(定)과 지혜(慧)를 균등하게
조화시킴
※수행할때 마음이 혼미하면 택법.정진.희각지로 마음을 일깨우며
수행할때 마음이 들떠서 흔들리면 제.사.정각지로 마음을 고요하게 한다.
8正道- 팔정도는 괴로움의 소멸로 이끈다.
-. 바른 견해(正見): 괴로움/ 괴로움의 원인/괴로움의 소멸/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
즉, 고집멸도(苦集滅道)를 아는 것이다.
-. 바른 생각(正思惟): 악을 행하지 않으려는 생각.남을 해치지 않으려는 생각을 한다.
-. 바른 말(正語): 거짓말하지 않고/ 이간질하지 않고/ 악담하지않고/ 쓸떼없는 잡담을
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 바른 행동(正業): 살아있는 생명체를 죽이지 않고/ 주지 않는 것을 갖지 않고/ 삿된
음행을 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 바른 생활수단(正命): 잘못된 방법으로 생계를 유지하지 않고/ 바른 방법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 바른 정진(正精進): 악한 생각이 일어나지 않도록/ 악한 생각을 버리도록/선한 생각을
일으키도록/ 선한 생각을 더욱더 일으키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 바른 마음챙김(正念): 분명하게 알아차리고/ 세상에 대한 탐욕을 버리고/ 자신의 처지를
낙담하는 것을 버리고/ 몸을 몸 그 자체로 관찰하고 [몸은 무상하고
불완전하고 고정된 실체가 없으며 더러운 것으로 가득찼다.]
느낌을 그 느낌 자체로 관찰하고/마음을 마음 그대로 관찰한다./
담마(부처님의 가르침)을 있는 그대로 관찰한다.
-. 바른 집중(正定): 굶주린 사자가 사냥하기 직전에 사냥감을 직시하듯/잘 벼린 칼날
처럼 날카롭게/ 첫 번째 선정 --> 두번째 선정-->세번째 선정-->
네번째 선정에 머문다.
4無量心
-. 慈: 중생에게 즐거움을 주려는 마음
(천지 사방을 자애로운 마음으로 물들여 가득 채우면서 머뭅니다.)
-. 悲: 중생의 고통을 없애 주려는 마음
(천지 사방을 자비로운 마음으로 물들여 가득 채우면서 머뭅니다.)
-. 喜: 중생의 기쁨을 함께 기뻐하는 마음
(천지 사방을 기쁨으로 물들여 가득 채우면서 머뭅니다.)
-. 捨: 중생을 평등하게 보는 마음
(천지 사방을 평정의 마음으로 물들여 가득 채우면서 머뭅니다.)
6通
-.신족통(神足通): 어떤 장소에나 자유자재로 임의로 갈 수 있음.
물위를 걸을수도 있으며 축지법을 씀.
-.천안통(天眼通): 무엇이든 꿰뚫어볼 수 있고 천상이나 지옥도 볼수 있음.
-.천이통(天耳通): 모든 소리를 분별해 들을 수 있음.
-.타심통(他心通): 타인의 마음속을 들여다볼 수 있음.
-.숙명통(宿命通): 생명체의 과거와 미래를 꿰뚫어 볼 수 있음.
-.누진통(漏盡通): 모든 번뇌를 소멸하고 이 세상에 다시 태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음.
※부처님은 보리수나무에서 멸진정에 이르러 깨달은 후 3明
(천안통,숙명통,누진통)을 찾으셨다.
※5신통없이 누진통만 찾아도 해탈에 이를 수 있다.(慧解脫)
'[佛敎] > 佛敎에關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 기초 교재 (0) | 2011.09.15 |
---|---|
[초심자를 위한 불교예절과 일반상식] (0) | 2011.09.15 |
가장 먼저 알아야 할 불자의 기초 지식 (0) | 2011.09.15 |
수계란 (0) | 2011.09.15 |
종은 왜 108번을 치나?| (0) | 2011.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