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파정은 조선 제25대 철종과 제26대 고종 연간에 영의정 등
고위직을 지낸 김흥근(金興根 1796∼1870)이 경영한 별서(別墅)였으나,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 1820∼1898)이 집권한 후 몰수하여
자신의 별장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서울 성곽의 북쪽 밖에 위치한 이곳은 수려한 산수와 계곡을 배경으로
거암(巨巖)과 오래된 장송(長松)이 많아 세검정 자하문 밖으로
통칭될 정도로 한양 도성의 경승지로 꼽혔던 곳이다.
원래 석파정 서북쪽 뒤 바위 앞면에 '三溪洞'이라고 새겨진 글자가 있어
김흥근이 소유하며 살고 있을 당시에는
'삼계동정자(三溪洞亭子)'라고도 불렸다가,
훗날 흥선대원군의 소유가 되면서 '석파정'으로 불렸다.
대원군은 앞산이 모두 바위여서 자신의 아호를 '석파(石坡)'라고 한 뒤,
정자 이름을 '석파정'으로 바꾸었다.
조선말의 우국지사 황현(黃玹, 1855∼1910)의
《매천야록》 권1에는 석파정의 내력이 적혀 있다.
고종이 즉위하자 김흥근은 흥선 대원군이
정치를 간섭하지 못하게 하였다. 하지만, 곧 대권을 손에 넣은
흥선대원군은 김흥근을 미워하며 그의 재산을 빼앗기 시작했다.
삼계동에 있는 김흥근의 별장은 한성에서 가장 유명한 정원이었는데,
하루는 흥선대원군이 그 별장을 팔 것을 간청하였으나
김흥근이 듣지 않자 하루만 빌려 놀게 해달라고 하였다.
서울의 옛 풍습에 따라 정원을 가진 사람으로서 빌려주지
않을 수 없어 김흥근이 억지 승락을 하자 흥선대원군은
고종이 행차하도록 권하고 자신도 따라갔다.
그 후 국왕이 거처한 곳을 신하가 감히 거처할 수 없는 곳으로
생각하고 김흥근이 다시는 삼계동에 가지 않게 되자
결국 이 별장은 운현궁의 소유물이 되고 말았다고 한다.
그 후 석파정은 흥선대원군의 후손인 이희(李熹),
이준(李埈), 이우(李?)의 별장으로 세습되며 사용되어오다가
6·25 전쟁 후에는 천주교가 경영하는
코롬바고아원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석파정 입구를 들어서면 왼편으로는 인왕산의
자연 암석을 타고 흐르는 계곡이 있으며,
이 계곡의 물이 흘러들어 연못을 이루는 곳 바위 면에
'소수운렴암(巢水雲簾菴, 물 속에 깃들여 있으면서
구름으로 발을 친 암자)'이라고 쓴 권상하(權尙夏, 1641∼1721)의
글씨가 새겨져 있다.
이 계곡을 왼편으로 끼고 경사진
언덕을 조금 올라가면 석파정 건물들이 나타난다.
석파정에는 현재 전면 오른쪽인 동쪽에는 안채,
그 서쪽에는 사랑채, 안채 뒤 언덕 위에는 별채 등 건물들이 있다.
사랑채 서쪽 뜰에는 잘생긴 노송(老松, 서울특별시 지정보호수
제60호, 1968. 7. 3)이 옆으로 가지를 길게 펼치며 차일 치듯
드리워져 있고, 그 뒤 언덕 위 바위에 '三溪洞'이라 새겨져 있으며,
노송이 있는 곳에서 서쪽으로 더 들어가면 계곡 속에 정자가 있다.
안채 맞은 편 언덕 위에는 망원정(望遠亭) 터가 남아 있고,
사랑채와 '三溪洞'이 새겨진 바위 사이에 위치했던 건물은
서예가 소전(素筌) 손재형(孫在馨)이 1958년 종로구 홍지동
125번지로 옮겨갔는데,
그 후 1974년 '대원군별장'이라는
별도의 이름으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3호로 지정되었다.
남향〔癸坐丁向〕하며 'ㅁ'자형 평면으로 구성된 안채는
건물 서남쪽 모퉁이에 낸 대문간을 통해 동북쪽으로 한번 꺾여
안마당으로 들어가게 되어 있다.
안마당에서 봐서 안채는
동서 방향으로 5칸, 남북 방향으로 4칸 규모로 조영되어 있고,
안마당 동남쪽에는 동쪽 밖으로 통하는 편문이 나있다.
사랑채는 안채 서쪽에 역(逆)'ㄱ'자형 평면을 이루며 위치하였는데,
세벌대 화강석 기단 위에 정면 4칸, 측면 2칸 반 규모로 지은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왼쪽 끝 칸 전면에 누마루 1칸이
돌출되었는데, 뒤로 이어지는 2칸 반 모두 누마루이며 아래 부분은
벽을 막고 문을 내어 광으로 쓰고 있다. 정면에
유리문을 내어 원형에서 변형된 모습을 하고 있다.
안채 언덕 뒤에 있는 별채는 안채와 사랑채 사이에
난 문을 통해 왼편으로 담을 끼고 계단을 오르다가
별채 문을 지나면 그 오른쪽 앞에 자리잡고 있다.
현재 사랑채는 석파랑 주인이 소유하고 있으며,
식당 손님을 접대하는 용도로 쓰인다고 한다.
별장이 졸지에 식당 손님들 밥 먹는 곳으로 전락해 버리다니..
방 안에 환풍기 같은 시설이 얼마나 눈에
거슬리던지,
내부 모습은 식사하는 손님들로 하여
여기에 실을 수 없어 유감이였다.
그렇지만 사랑채는 그런데로 깨끗하게 보존되고 있으니,
이 정도면 뭐, 봐줄 만은 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