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kr.img.blog.yahoo.com/ybi/1/5e/e7/kang_1801/folder/10/img_10_20146_0?1153321002.jpg)
- 천년을 홀로 살아 간데도 고려 속요 서경별곡(西京別曲) -
-大同江 너븐디 몰라셔 배내여 노한다 샤공아 네가시 럼난디 몰라셔 녈배예 연즌다 샤공아
- 대동강이 얼마나 넓은지 몰라서 배를 꺼내 놓았느냐. 이 사공아! 네 마누라 간수나 잘하지, 왜 애꿎은 우리 님을 가는 배에 얹었느냐. 이 사공아! 그녀는 야속한 님을 향해 직접 원망을 퍼붓지는 못하고, 공연히 사공에게 심술을 부려 볼 따름이다. 그러나 그 숨김 없는 감정의 표현은 얼마나 진솔하고 핍진한가.
- 大同江 건넌편 고즐여 배타들면 것고리이다 나난
- 끝에 가서 여인은 가슴 속에 담아둔일말의 불안감을 마침내 드러내고 만다. 그 뜻이 님이 나를 떠나 배를 타고 강 건너에 들어가기만 하면 강 건너에 있는 꽃, 즉 다른 여인을 꺾을 것이라는 지레 짐작이고 보면, 당시 강가의 여인들이 얼마나 속고 속이는 사랑 놀음에 익숙해져 있는지를 알 수 있을 법 하다. 그러고 보면 `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라는 오늘날의 푸념은, 기다리는 여인의 마음과 무정한 남정네의 마음이 고금에 다를 바 없음을 보여준다.
-
- 자료출처 鄭 珉 한문학 그림 -장일순 선생-
|